FT “韓노년층 절반 빈곤 시달려”

JNC TV 외신 브리핑 소개

 

 

Newsroh=임지환기자 nychri@yahoo.com

 

 

파이낸셜 타임스가 최근 한국의 노인 빈곤 문제를 비중있게 조명했다.

 

미주한인네트워크 정상추의 JNC TV는 외신 브리핑에서 80세의 ‘박카스할머니’ 등 빈곤의 그늘에 처한 한국 노인들의 비참(悲慘)한 현실을 소개했다고 전했다.

 

 

100617 김대비기자 외신브리핑.jpg

 

 

파이낸셜 타임스는 첫 번째로 68세의 오숙자 씨를 예로 들었다. 오 씨는 서울에서 녹슨 리어카에 4년 동안 폐지를 주워왔다. 움직이는 게 힘들지만, 자신과 남편을 지원해줄 사람이 아무도 없기 때문에 운명이라 생각하고 일을 하며, 하루 노력으로 2만 원을 번다고 했다.

 

두 번째 사례는 서울 도심 공원에서, 박카스를 팔면서 성매매를 하는 박카스 할머니였다. 파이낸션 타임스는 나이가 많게는 80세 여성이 근처의 낡은 모텔로 데려갈 손님을 찾는다고 전해 충격을 주었다.

 

숭실 사이버대학교의 이효선 교수는 “이런 일을 하는 유일한 이유는 어떻게든 살아가기 위해서다”라면서. “이 여성들은 늙은 나이에 이런 일은 한다는 것에 수치심과 경멸을 느끼며, 이것은 육체적인 고통도 유발(誘發)시킨다”고 지적했다.

 

한국 노년층의 거의 절반이 빈곤에 시달리고 있으며, 매달 지급되는 연금 2십만 원은 의식주를 겨우 해결할 정도여서, 많은 이들이 충당하기 위해서 단순 노동이나 체면을 떨어트리는 일 심지어 성매매까지 한다는 것이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노년층의 빈곤 문제는 점점 악화될 것이라며 그 원인으로 극적으로 늘어난 수명, 저출산율 및 경제 침체 속에서 급증하는 노인 인구를 들었다, 2015년에 13%였던 65세 이상 노년 인구가 2060년이 되면 41%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이삼식 교수는 "노년층 인구의 증가와 노동 인구 감소로 경제가 상당히 위축될 것"이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출산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책을 긴급히 마련하고, 교육비와 보육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숭실대학교 이상은 교수는 “한국에서 은퇴를 준비하는 노인들은 거의 없고, 상당수가 자식들의 교육에 거액의 돈을 써서 말년에 곤란에 빠지게 된다”면서 “많은 노인들이 자식들로부터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글로벌웹진 NEWSROH www.newsroh.com

 

<꼬리뉴스>

 

“한국여성 차별과 성추행, 폭력 노출” 호주미디어 (2017.11.30.)

JNC TV,호주 뉴스닷컴 한국여성 인권문제 보도 소개

 

http://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6877

 

 

  • |
  1. 100617 김대비기자 외신브리핑.jpg (File Size:66.4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57 캐나다 6월 3일부터 몬트리올 구 항구지역 자정에는 폐쇄 file Hancatimes 21.06.17.
6856 캐나다 캐나다 국립접종자문위원회, '백신 혼합 접종' 관련 지침 발표 file Hancatimes 21.06.17.
6855 캐나다 몬트리올 및 라발 지역 6월 7일부터 ‘주황색 구역’으로 변경 file Hancatimes 21.06.17.
6854 캐나다 대학교 및 세젭들, 백신 접종률 75% 이상이면 9월 대면수업 재개 file Hancatimes 21.06.17.
6853 캐나다 올 여름 밴쿠버의 또 다른 명소...선셋비치 공원의 팝업 플라자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2 캐나다 재외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모집 중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1 캐나다 7월 1일 이후 한국 방문 계획 있다면 꼭 확인할 사항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6.
6850 캐나다 코로나19 환자, 당뇨병 걸릴 가능성 높다?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9 캐나다 백신 접종자 7월 1일부터 한국 방문 때 격리면제 방침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8 캐나다 몬트리올 영사관, 반아시아 혐오 및 인종주의 대응 언론회견 참석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5.
6847 미국 바이든 "백신 맞고 자유 찾자"... 6월 '백신접종 행동의 달' 선포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6 미국 허리케인 시즌이 돌아왔다... 메이저급 6~10개 전망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5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 백신접종 감소 ‘비상’… 7월4일 이후가 위험하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4 미국 마이애미서 집 사는 게 힘들다? 다른 도시들만 하랴!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3 미국 플로리다 초대형 크루즈선, 8월부터 운항 재개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2 미국 지붕 이음새에 '세 번째 못 박기', 들어보셨나요?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1 미국 활기 찾은 미국 소도시들... '디지털 노마드'가 늘고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40 미국 일자리 늘고 실업률 하락 지속...회복세 다지는 미국 경제 file 코리아위클리.. 21.06.14.
6839 미국 뉴욕 ‘백신지갑’을 아시나요? file 뉴스로_USA 21.06.12.
6838 캐나다 버나비 학생을 분노케 한 뉴라이트식 왜곡 역사시험 file 밴쿠버중앙일.. 21.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