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예방의학 1).jpg

호주에서는 매년 1만6,700명이 암 진단을 받고 있다. 이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우 높은 비율로, 호주인의 행동 습관을 고치는 것만으로도 40%는 예방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흡연은 암 발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QIMR Berghofer Medical Research Institute’, 8가지 행동 지적

 

일련의 위험한 행동으로 매년 호주에서는 무려 1만6,700명이 ‘암’이라는 질병을 얻고 있다. 이는 다른 국가에 비해 상당히 높은 비율이다.

이런 가운데 브리즈번(Brisbane) 기반의 ‘QIMR Berghofer Medical Research Institute’(이하 ‘QIMR’) 연구원인 데이빗 화이트먼(David Whiteman) 교수가 여러 암 질환을 피할 수는 없지만 암으로 인한 사망의 40%는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금주 화요일(12일) ABC 방송이 전했다.

QIMR은 퀸즐랜드 주 정부 의학 연구기관으로, 암, 감염, 정신건강 장애 등 3개 분야를 집중 연구하고 있다.

화이트먼 교수는 “현재 호주에서 높은 비율로 발생하는 암의 경우 상당 부분이 호주인들의 라이프스타일에서 직접적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암을 유발하고 사망에 이르게 하는 호주인의 8가지 생활 형태로 △흡연(간접흡연 포함), △과일, 채소 섭취가 적고 붉은색의 가공 육류 섭취가 많은 점, △지나친 음주, △과체중 상태 지속, △적은 신체 활동(운동 부족), △과도한 자외선 노출, △C형 간염 및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자궁경부암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지는 바이러스), △갱년기에 사용하는 호르몬 요법을 꼽았다.

화이트먼 교수는 “위에 언급한 위험 요소들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여러 유형의 암을 유발한다는 공통적 요인이 된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흡연이 폐암, 구강암, 인후암 발병 요인이 된다는 것은 오래 전 밝혀진 것이지만 흡연은 이뿐 아니라 췌장, 신장, 방광을 비롯해 신체의 더 먼 곳에서도 암을 유발한다는 게 점차 알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화이트먼 교수는 예방 가능한 암의 가장 큰 요인은 흡연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013년 암으로 사망한 4만4천 명 가운데 2천329명은 식이요법을 잘못한 것으로 진단됐다.

잠재적으로 예방 가능함에도 사망자가 많은 암 유형은 폐, 장, 피부, 흑색종, 간 및 위암이었다.

특히 남성의 경우 강한 햇살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고 음식과 과다한 알코올 섭취 가능성이 더 많으며, 이로 인해 예방 가능한 암으로 인한 사망률도 높았다.

‘QIMR’의 이번 연구는 ‘International Journal and Cancer’을 통해 소개됐다. 연구원들은 이 보고서가 정책 결정자들로 하여금 어떤 유형의 암에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한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예방의학 1).jpg (File Size:37.9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01 호주 호주인, 주택융자 신청서류 정직히 작성할까? 톱뉴스 17.09.15.
6700 호주 호주인, 일본 방문 급증…평창올림픽 앞둔 한국은? 톱뉴스 17.08.11.
» 호주 호주인, 생활습관 변화로 암 사망의 40% 예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14.
6698 호주 호주인 흡연자 비율, 30년 만에 절반으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697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96 호주 호주인 평균수명 84.32세로 늘어나, 모나코-일본 이어 전 세계 세 번째 장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695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6694 호주 호주인 태운 비행기 네 대 이번 주 퍼스 도착, 확진자 수 급증 가능성 있어 file 퍼스인사이드 20.04.28.
6693 호주 호주인 질병 부담의 3분의 1은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08.19.
6692 호주 호주인 직장선호도 1위는 항공업, ‘버진 항공’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691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690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6689 호주 호주인 음주량 감소... ‘위험 수준의 술꾼’ 비율은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20.02.06.
6688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687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686 호주 호주인 선교사들이 남긴 한국의 근·현대 모습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6685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4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683 호주 호주인 기대수명... 여 84.5세, 남 80.4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6682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681 호주 호주인 거주 지역별, 심장건강 차이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6680 호주 호주인 개인 소득 지속 증가... 일부 지역은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20.02.13.
6679 호주 호주인 가구당 평균 자산 100만 달러 첫 돌파 톱뉴스 19.07.16.
6678 호주 호주인 가계자산, 최고 수준... ‘잘못된 부의 분배’ 경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6677 호주 호주인 ‘중간 순자산’ 규모,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6676 호주 호주인 ‘비만’ 비율 상승, 거주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9.12.12.
6675 호주 호주인 IS 테러리스트 ‘프라카시’, 터키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1.
6674 호주 호주인 90% “재정적 안정을 위해 주택 소유는 필수” 톱뉴스 17.07.14.
6673 호주 호주인 7명 목숨 앗아간 호주산 멜론 9개국에 수출 톱뉴스 18.04.12.
6672 호주 호주인 71%, “턴불 총리, 잔여임기 마쳐야...”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12.07.
6671 호주 호주인 60%, 무슬림과의 결혼에 ‘우려’ 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6670 호주 호주인 5대 사망요인은? file 한호일보 16.03.14.
6669 호주 호주인 40%, 해외여행 경험 없어... 그 이유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6668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6667 호주 호주인 25%, 매주 기부금 요청 전화 수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666 호주 호주인 10명 중 7명, “자녀의 삶, 더 악화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6665 호주 호주인 100만 명 이상 불량주택 거주, ‘슬럼화’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6664 호주 호주의 평균 소득자들, 어느 지역에서 주택구입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6663 뉴질랜드 호주의 키위 전과자들, 매일 두 명꼴로 뉴질랜드 돌아와 NZ코리아포.. 18.01.11.
6662 호주 호주의 크리스마스 톱뉴스 17.12.25.
6661 호주 호주의 코로나 바이러스, 실제 확산은 어느 정도일까... file 헬로시드니 20.08.07.
6660 호주 호주의 첫 중국계 여성 연방의원 글래디스 리우 ‘구설수’ 확산 톱뉴스 19.09.17.
6659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8 호주 호주의 전기차 현황, 이용자 늘고 있지만 다른 국가 비해 크게 뒤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6657 호주 호주의 여름나기, 유의해야 할 ‘치명적 위험’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656 호주 호주의 에어비앤비 숙소, ‘주택부족’ 문제에 미치는 영향 “크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655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6654 호주 호주의 봄... ‘Golden fields’와 ‘Purple rain’ 최고의 명소는 file 헬로시드니 20.10.01.
6653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6652 호주 호주의 대표적 공화제 전환 운동그룹, ‘헌법 개정’ 캠페인 전개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