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체류 글] 몽골 캠퍼스, 2017-2018학년도 제1학기 종강(2017. 12. 15)

 

이번 주로 대부분의 몽골 캠퍼스가 2017-2018학년도 제1학기 종강에 들어가면서 다음 주부터 기말 시험에 들어갑니다.
 

 
짧은 고국 방문 일정을 앞둔 저는, 어제 한국문학 작품 번역 과목 시험 채점과 문제 풀이 설명을 끝낸 뒤, 오늘도 아침 일찍 대학 캠퍼스에 나가 나머지 과목 학기말 시험 채점과 학점 산출을 마무리하고 교내 전산망에 학점 입력 작업까지 완료하였습니다. 참으로 피곤한 하루였습니다. 아침에 살짝 내린 눈 탓에 캠퍼스에 주차된 승용차 지붕에는 눈이 아직도 쌓여 있었습니다. 
 

 
각 과목 별 평가 항목은, 1. 출석 2. 리포트 3. 중간 시험 4. 기말 시험 등 모두 4개 항목입니다. 
 
모든 항목 평가가 중요하긴 하나, 제가 제일 중점을 두는 항목은 아무래도 학기말 시험 점수입니다. 하여, 저는 오랜 시간 동안 책상 앞에 앉아 애제자들의 학기말 시험지를 몇 번이고 정독하고 또 정독하여 애제자들의 억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학기말에 애제자들에게 학점을 후하게 주려고 노력하나 100점은 쉽사리 주지 않는 편인데, 1학년 애제자 베. 바트친(Б. Батчин=B. Batchin) 군과 엔. 산치르(Н. Санчир=N. Sanchir) 양이 기어이 100점을 획득하고야 말았습니다. 한글맞춤법은 물론이고, 띄어쓰기, 쉼표, 마침표 등등 어디 하나 흠을 잡을 데가 없었습니다. 아직 1학년이니 향후 대성이 기대됩니다.
 
가끔, 몽골 애제자들에게 물어 봅니다. "갑자기, 몽골에 이웃 나라가 쳐들어 와서, 너희들한테 '앞으로 너네 몽골어 사용하면 안 된다! 몽골어 사용은 불법이므로, 모두 감옥에 처넣겠다. 앞으로 (이웃 나라의) 우리 말만 써라!' 하면 너희들 어떻게 할래?"
 
애제자들 표정이 갑자기 비장해집니다. 중간 과정 다 생략하고 결론만 말하자면 "끝까지 결사항전 (決死抗戰)하겠다!"였습니다. 몽골 애제자들의 패기(覇氣)가 부러웠습니다. 몽골 민족의 미래가 밝습니다!
 
올해 2017년으로 세종대왕이 나신 지 620돌이자, 훈민정음 반포 571돌이 지난 지금, 그에 견주면 그야말로 별것 아닌 일제 강점 35년이 우리말을 아프게 했습니다. 그러나, 그 치욕(치욕이라고 썼다. 치욕=恥辱=부끄럽고 욕됨=disgrace, dishonor, shame=辱め)의 사슬을 끊고 이제 바야흐로, 한국어가 로봇 태권 브이처럼 힘차게 세계를 훨훨 날고 있습니다. 지구촌 각국이 문화 각축전을 벌이는 이 중차대한 시기에 우리말과 우리 한글, 그리고 우리 문화가 없었더라면 이 어찌 가능한 일이었겠습니까? 조국 대한민국이 없었더라면 저의 몽골 입국은 없었을 것이고, 설사, 있었다 하더라도 저의 몽골에서의 존재 의미는 없었을 겁니다.
 
하지만, 몽골 현지에서 한국어 교육에 나선 사람들은 많은데, 몽골 낱말 한글 표기에 대한 한국어 외래어표기법 준수는 아직도 오리무중입니다. 한국어의 본산 국립국어원의 지침 외래어표기법이 산으로 갑니다. 이거 이래도 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몽골 캠퍼스 2017-2018학년도 제1학기가 집니다. 몽골 캠퍼스 겨울 방학을 이용한 잠정 고국 방문이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새해 2018년 1월엔 1월의 태양이 뜰 것이고, 저는 다시 해맑아질 겝니다.
 
201401243017305.gif
2014012431167852.gif
2014012431257700.gif
2017121555222979.jpg

 

 

  • |
  1. 5_704Ud018svci69uhhkgn92y_8d5dgh.jpg (File Size:39.6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7 기사 등록시 필독사항입니다. ( 내용에 대한 공지사항 게재) 옥자 14.02.25. 326
156 회원여러분, 2015 재언협 봄 대회에 많은 참석을 기대합니다. 옥자 15.03.11. 193
155 카자흐스탄에서 인사드립니다. 한인일보 15.04.17. 228
154 재외동포저널 발간에 대한 회장의 입장 유로저널 15.07.11. 163
153 제5회 재외동포언론인 국제심포지엄 언론사 게재 링크 모음 굿데이뉴질랜.. 15.10.13. 220
152 재외동포저널 창간호 굿데이뉴질랜.. 15.10.19. 173
151 재언협 발전을 위한 의견 교환에 대해서 [1] 굿데이뉴질랜.. 15.10.30. 190
150 재언협 사무실 이전건에 대해 건의 [3] 옥자 15.10.31. 253
149 제5회 가을 국제심포지엄 참석자 회비납부 사무총장 15.11.09. 306
148 00사단 방문 기념 격려금 US$ 500불 전달 사무총장 15.11.09. 153
147 재언협 발전에 대한 제언 [7] file 프랑스존 15.11.24. 234
146 재언협 유럽대회 [참가비 전액지원] [17] file 러시아겨레일.. 15.11.29. 428
145 사진도 기사 입니다 [5] 호주한국신문.. 15.11.30. 235
144 2016 재언협 유럽대회 첫날 스케치 file 프랑스존 16.01.05. 301
143 OK~ 더할나위 없어라, 재언협 유럽대회 둘째날 스케치 file 프랑스존 16.01.06. 266
142 회상 [1] YTN_인도 16.01.06. 213
141 유럽대회 셋째날, 모스크바 아르바뜨 거리를 점령하다 [1] file 프랑스존 16.01.07. 265
140 겨울왕국 모스크바 여행기 [3] file 프랑스존 16.01.17. 336
139 짧고도 강한 여운.... '동화의 나라' 수도 모스크바를 가다 [2] file 코리아위클리.. 16.01.19. 285
138 러시아 자작나무는 왜 그렇게 길게 자랄까? file 코리아위클리.. 16.01.28.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