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입국 후 5년이 영주권 취득 고비

2005년 이후 취업비자 정착률 높아

 

임시취업비자로 캐나다에 들어온 이후 영주권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10명 중 1명 또는 2명 정도로 아주 낮았다. 또 첫 입국 후 2년 이내에 근로자의 80%가 캐나다를 떠났다.

 

연방통계청은 1990년부터 2009년까지 5년 단위로 단기 임시취업비자로 입국한 근로자들에 관한 통계자료를 29일 발표했다.

 

이 자료의 추산 통계(Observed residence status) 따르면 1990년에서 1994년에 캐나다에 임시취업비자로 들어온 근로자 중 3년 후까지 캐나다에 남아 있는 비율은 27.8%, 5년 후까지는 20.6%, 10년 후까지는 11.4%로 나타났다.

하지만 1995년에서 1999년 사이 입국 근로자는 15.8%, 13%, 14.7%로 오히려 5년 전 근로자에 비해 캐나다 정착 비율이 낮아졌다. 

이는 다음 5년 간인 2000년에서 2004년에도 22.4%, 19.6%, 그리고 17.9%로 직전 5년 근로자보다는 증가했지만 10년 전 근로자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았다.

그러나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입국한 근로자는 3년 후가 39.3%, 5년 후가 37.1%로 직전 5년에 비해서도 크게 늘어나는 등 지난 20년 장기 추적 조사 기간 중 가장 많은 수가 캐나다에 정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장 최근 임시취업비자 근로자들은 캐나다에 정착을 선호하는 경향이라는 분석이다.

 

취업비자가 아니라 영주권자 신분으로 캐나다에 남는 비율을 봐도 1990-1994년은 3년 후 12.3%, 5년 후 16.7% 그리고 10년 후 17.8%였다. 그러나 1995-1999년에는 7%, 9.2% 그리고 10.2%로 낮아졌으며 2000-2004년에 8.1%, 13.8% 그리고 15.6%로 다소 회복을 했다. 그리고 2005-2009년은 3년 후 13%, 5년 후 21.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5년 후 대부분의 근로자가 영주권 취득 자격이 대부분 생겨 영주권을 취득 비율이 최고점을 찍은 후 이후 증가율은 거의 제자리 걸음상태를 유지한다. 심지어는 영주권 취득 후 출국을 해 오히려 정착자 중 영주권 비율이 하락하기도 한다.

 

처음 취업비자를 받을 때 연령별을 기준으로 캐나다에 정착한 비율을 보면 25세에서 34세 사이가 가장 높은 비율로 캐나다에 남았는데 3년, 5년, 10년으로 33.7%, 31%, 21.3%였다. 다음이 35세에서 44세로 35%, 31.6%, 그리고 17.8%였다.  18세에서 24세는 14.8%, 13.4% 그리고 10.3%였으며 45세에서 64세는 20.8%, 17.3%, 그리고 7.8%로 가장 낮아졌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10년 후까지 남는 경우는 9.9%, 여성은 28.5%로 여성이 3배 가깝게 캐나다에 정착했다. 10년 후 영주권자로 남는 비율도 7.8% 대 28%로 여성이 3.5배에 달했다.

출신 국가의 일인당 국민 소득이 낮을수록 캐나다에 정착하는 비율도 높아 정착 후 10년까지 남는 비율이 저소득 국가 출신은 50.6%로 높았으며, 고소득 국가 출신은 고작 6.8%에 불과했다.

 

출신국가의 비행거리와 비교하면 멀수록 정착 비율이 높아 10년 후 비율이 가까운 국가는은 7.6%인 반면 먼 국가는 30.8%로 기록됐다.

영어와 불어 등 공식언어를 쓰는 나라 출신이 10년 후까지 남는 비율은 15.7%로 그렇지 못한 국가 출신의 16.8%에 비해 약간 낮았다. 하지만 영주권을 받고 정착한 비율은 14.7% 대 13.9%로 공식언어 사용자 비율이 오히려 높았다. 

 

취업비자 카테고리별로 보면 재택요양프로그램(Live-in Caregiver Program)으로 들어온 임시취업비자 근로자의 캐나다 정착률은 다른 카테로기에 비해 현격하게 높았다.

이들의 3년 후 캐나다 체류 정착률은 91.9%, 5년 후도 91.1%를 기록했으며 10년 후에도 거의 대부분인 87.4%가 캐나다에 남았다. 특히 이들이 10년 후에 캐나다에 영주권자 신분으로 체류하는 비율도 86.9%로 대부분 영주권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단기 임시취업비자 근로자의 대부분이 캐나다 첫 입국 후 첫 2년 동안 60%에서 80%가 캐나다를 떠난다는 결론이다. 그러나 2년을 넘기고 나면 오래 정착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또 2005년 이후 들어온 근로자가 캐나다에 정착하는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는데 이는 연방정부가 숙련기술자나 저숙련기술자 모두에게 영주권을 부여하는 다양한 임시근로자 영주권 프로그램을 증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또 이번 조사의 다른 발견점은 저소득 국가나 사회가 안정적이지 못한 국가 출신의 경우가 더 정착할 비율이 높다는 사실이다. 즉 고숙련의 선진국 출신 근로자는 다른 나라에서도 일자리가 보장되고 고소득이 보장되기 때문에 캐나다에 정착하는 매력이 적다는 분석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77 캐나다 뉴웨스트민스터, 청소년 30명 패싸움에 자상 피해자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2.
2876 캐나다 한국방문계획 있다면 꼭 알아보고 떠나야 할 사항들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3.
2875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김 이사장, "진정한 공공외교 세계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3.
2874 캐나다 21일 오전 랭리 스포츠플렉스서 살인사건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3.
2873 캐나다 통행금지 반대시위로 6명 체포 및 192명에게 벌금 발부 Hancatimes 21.04.23.
2872 캐나다 에어캐나다, 연방정부와 합의안을 통해 59억 달려 지원계획 발표 Hancatimes 21.04.23.
2871 캐나다 퀘벡주 총리, 젊은이들에게 COVID-19 관련 ‘규칙을 존중’하라고 강조 Hancatimes 21.04.23.
2870 캐나다 퀘벡주, COVID-19 확산 통제를 위해 야외 마스크 규칙 변경 Hancatimes 21.04.23.
2869 캐나다 퀘벡주 여성, 캐나다에서 최초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관련된 혈전 발견 Hancatimes 21.04.23.
2868 캐나다 일부 전문가들, “COVID-19 백신 접종 속도를 높어야 할 때”라고 강조 Hancatimes 21.04.23.
2867 캐나다 퀘벡주, 장기요양센터에 대한 새로운 정책 목표 설정 Hancatimes 21.04.23.
2866 캐나다 캐나다 보건부 "AZ백신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 혈전 위험성도 낮아" file Hancatimes 21.04.23.
2865 캐나다 BC 코로나19 입원환자 또 다시 최고 기록...비응급 수술들 연기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4.
2864 캐나다 한국 외국인 토지 중 외국 국적 한인이 56%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4.
2863 캐나다 23일, 60세 이상 백신 접종 예약 시작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4.
2862 미국 소형 헬리콥터 화성에서 날다... 우주탐사에 신기원 file 코리아위클리.. 21.04.26.
2861 미국 취임 100일 앞둔 바이든, 국정 지지율 59% '고공행진' file 코리아위클리.. 21.04.26.
2860 미국 경기부양법 덕택에 '오바마케어' 보험료 낮아진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4.26.
2859 미국 미국령 푸에르토리코, 정식 주로 편입될까? 코리아위클리.. 21.04.26.
2858 미국 플로리다 23세 청년, 2억 3천만 달러 잭팟 당첨 file 코리아위클리.. 21.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