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이 급증해 2~4위 3개 국가를 합친 것보다 많고, 한국의 1위 품목을 23배 이상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합뉴스가 코트라와 한국무역협회의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2013년 '유엔 상품 교역 통계(UN Commodity Trade Statistics)'에 따르면 중국의 세계시장 점유율 1위 품목은 1천538개에 달했다. 2010년 1천351개이던 중국의 1위 품목 수는 2011년 1천417개, 2012년 1천485개 등으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 자료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중국의 1위 제품은 특히 2위 독일 733개, 3위 미국 550개, 4위 이탈리아 216개 등 3개국을 합친 1천499개보다 39개나 많다.


  같은해 한국의 1위 품목 65개보다는 무려 23.7배나 많은 상황이다. 중국의 1위 품목 대비 한국의 1위 품목 비율은 4.2%에 불과하다. 중국의 대표적 1위 상품은 섬유제품과 전자기계, 비전자기계 등이며 한국의 1위 품목은 메모리 반도체, 자동차 부품, 탱커, 특수선, 철·비합금강 평판압연제품 등으로 나타났다.



2015042710143727216.jpg


중국의 대표적 1위 상품인 섬유제품 생산라인


  이 같은 수출 호조에 힘입어 포천지 선정 500대 기업에 포함된 중국 기업 수도 2011년 73개에서 2012년 89개, 2014년 95개 등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구매력 평가 기준 국내총생산(GDP)은 17조6천억달러로, 17조4천억달러의 미국을 2위로 밀어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비시장도 계속 팽창해 5년 후인 2020년에는 10조달러 규모에 달하고 100만달러 이상 현금 자산가도 24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고 코트라는 전했다.


  코트라의 한 관계자는 "중국 기업들은 선진국 대비 저렴한 비용 구조에 기술력과 자본까지 겸비하고 있다"며 "또 기업의 체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세계의 공장' 역할을 지속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54 중국 훈춘 대황구유적 전국홍색관광전형풍경구로 연변방송국 17.01.26.
753 중국 중국.돈화. 2017 국제빙설등불절, 보름 시즌 화려한 개막 연변방송국 17.01.17.
752 중국 중국 뉴미디어 취재단 연변의 발전전망 높이 평가 연변방송국 17.01.16.
751 중국 중국 연변 연길 TV 음력설야회 “고향의 새 꿈” 29일 방송 연변방송국 17.01.16.
750 홍콩 ‘홍콩한국국제학교’ 각종 횡령과 비리…누가 그래쓰까? 홍콩타임스 17.01.14.
749 중국 2016-2017년 주 및 연길시 빙설체육 계렬활동 가동 연변방송국 17.01.09.
748 중국 송혜교, 中상해 윤봉길기념관 한글안내서 기증 file 뉴스로_USA 16.12.20.
747 홍콩 홍콩한국국제학교, 2016 크리스마스 콘서트 성황리에 개최 홍콩타임스 16.12.15.
746 홍콩 홍콩 한인 대학생, 시국선언 발표 및 촛불집회 열어...일부 교민 적극 동참 홍콩타임스 16.12.08.
745 중국 연변가무단 창단 70돐, 그 화려한 나날들 연변방송국 16.12.02.
744 홍콩 아듀 ‘10월 문화제-페스티브 코리아 2016’…’라 메르 에 릴’ 연주회 마지막 장식 홍콩타임스 16.11.29.
743 중국 ‘박근혜시국’ 중국 등 해외 집회 신기록 file 뉴스로_USA 16.11.28.
742 홍콩 [포토뉴스]홍콩한국국제학교, '2016 홍콩한인회 주최 백일장' 시상 홍콩타임스 16.11.25.
741 홍콩 홍콩한국국제학교, 2016 홍콩한인회 주최 백일장 시상식 거행 홍콩타임스 16.11.25.
740 홍콩 홍콩한국국제학교, 중등부 '24시간 레이스' 참가...한국인 저력 과시 홍콩타임스 16.11.24.
739 홍콩 독도사랑축제-라 메르 에 릴 2016년 홍콩 공연 홍콩타임스 16.11.24.
738 중국 '2016 홍콩 한국유학박람회' 성황리에 개최 홍콩타임스 16.11.22.
737 홍콩 “누구의 나라냐?” 홍콩대 한인유학생들 시국선언문 file 뉴스로_USA 16.11.18.
736 홍콩 불붙은 홍콩한국국제학교 사태...무엇이 중한디? 홍콩타임스 16.11.15.
735 중국 장위안 ‘막걸리 유랑단’ 中미디어 큰 관심 file 뉴스로_USA 16.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