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TA에 분쟁해소 공식 제기

제소 전 합의 도출에 관심 집중

 

알버타주의 BC산 와인 수입 금지 조치에 대해 BC주정부가 공식적으로 분쟁 조치를 개시했다. 브루스 랄스톤(Ralston) BC통상부 장관은 캐나다 자유무역협정(Canadian Free Trade Agreement·CFTA)에 따라 분쟁 해소를 공식 요청했다고 19일 발표했다. 랄스톤 장관은 "정부는 BC의 중요한 경제축인 와인업계와 함께 하며 분쟁 해결의 성공적 결과를 확신한다"고 말했다.

 

CFTA는 국내 지역간 무역 규제를 없애고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연방 및 각 주 장관들이 모여 합의한 협정으로 2017년 7월 발효됐다.

 

정해진 분쟁해결 절차에 따라 BC주는 1차적으로 알버타주에 공식 협상 제의를 건넸다. 이에 따라 양 주는 갈등을 해소할지 당사자간 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 단계에서 양측이 합의하지 않으면 조정위원회의 심리를 거쳐 판정이 내려진다.

 

한편 레이철 노틀리(Notley)알버타주수상은 16일 BC주가 트랜스 마운틴 송유관 공사를 재개하지 않으면 추가 제재에 들어갈 방침이라고 경고했다.

 

당초 BC주가 송유관 공사를 제한한 이유는 2가지다. 첫째는 알버타주와 BC주 버나비를 잇는 1000km 길이의 송유관에서 유출 사고가 날 경우 환경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평가할 동안 기존의 수송량을 유지하자는 것이다. 둘째는 송유관이 지나는 기초자치단체의 조례를 무시하고 공사가 계속되도록 한 연방에너지위원회(NEB) 결정이 위헌이라는 것이다.

 

연방정부는 BC주와 알버타주 사이의 갈등에 대해 두 지역이 해결해야 할 일이라며 뒤로 물러선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 이광호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77 캐나다 [넬리 신 연방하원의원 특별 인터뷰-1] 한인과 모든 소수민족의 대변자로 활동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6576 캐나다 BC주 변이바이러스 감염자 수 전국 2위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3.
6575 캐나다 퀘벡주, 26일부터 체육관 영업 재개 Hancatimes 21.04.02.
6574 캐나다 퀘벡주, ‘새로운 경제’에 관한 예산안 발표 Hancatimes 21.04.02.
6573 캐나다 교원협회, 학생들의 학교 복귀로 인한 3차 웨이브 경고 Hancatimes 21.04.02.
6572 캐나다 학교 스포츠 인프라 개선을 위해 약 1억 2,500만 달러 투자 Hancatimes 21.04.02.
6571 캐나다 퀘벡주 고등학생들 3월 29일부터 다시 학교로 돌아가… Hancatimes 21.04.02.
6570 캐나다 퀘벡주, 이전에 COVID-19 감염된 사람들에게 단일 백신 접종 권장 Hancatimes 21.04.02.
6569 캐나다 퀘벡주, 다음 백신 예방접종을 위한 우선순위 여전히 고민중 Hancatimes 21.04.02.
6568 캐나다 퀘벡주정부와 연방정부, 초고속 인터넷 확장을 위해 약 8억 달러 투자 Hancatimes 21.04.02.
6567 캐나다 약국들이 예방접종에 동참함에 따라 몬트리올 지역의 접종 연령 60세까지 확대 Hancatimes 21.04.02.
6566 캐나다 퀘벡주, COVID-19 백신 접종을 위해 민간기업을 이용할 것 Hancatimes 21.04.02.
6565 캐나다 BC주 6월말까지 18세 이상 성인 접종 가능한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2.
6564 캐나다 4월 1일 기준 전국 백신 접종률 9.18%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2.
6563 캐나다 캐나다에서 인종 증오 자체는 범죄가 아니다 밴쿠버중앙일.. 21.04.02.
6562 캐나다 캐나다, 55세 이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중단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1.
6561 캐나다 경찰 ‘아시안 증오범죄’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화상회의 개최 밴쿠버중앙일.. 21.04.01.
6560 캐나다 BC주로 1톤의 아편 몰래 들여오다 적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01.
6559 캐나다 COVID-19 이후 ‘아시안 증오범죄’ 급증 file Hancatimes 21.03.31.
6558 캐나다 코비드19 확진 캐나다인 96%, '경고 앱' 제대로 이용 못해 Hancatimes 21.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