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너리 소유 상당수가 앨버타 자본

 

news_img1_1519147229.png

(사진: 캘거리 헤럴드) 

트랜스마운틴 사태로 인해 노틀리 주정부가 B.C주에 대한 경제적 보복 조치를 시행하면서 일부에서는 이번 조치로 인해 오히려 앨버타 비즈니스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윌로우 파크 와인 앤 스피릿의 구매 담당 부사장 페기 페리 씨는 “이번 주정부의 B.C주 와인 수입금지 조치로 매우 당혹스럽다. 노틀리 주정부가 B.C주 와이너리 상당수의 주인이 앨버타 자본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지 의문이다”라고 밝혔다. 
그녀는 “오카나간 와이너리의 50%의 소유주는 앨버타 자본이다. 제 발등을 찍는 조치가 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밝혔다. 또한, “B.C와인 수입금지 조치가 한 달 이상 지속될 경우 얼스와 같은 대규모 레스토랑 체인은 와인 리스트를 변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주 수요일을 기점으로 수입금지 조치가 시행되어 AGLC는 앨버타에 현재 B.C주 와인 재고가 약 16만 케이스, 한 달 정도의 공급량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앨버타의 경제 보복조치에 대해 B.C주 존 호간 주수상은 앨버타에 대한 재보복 조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히며 앨버타 산 소고기 수입 금지 등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호간 주수상은 B.C주의 이번 조치에 대해 주정부의 고유 권한이라는 점과 B.C주 시민들의 이익을 위한 결정임을 재확인했다. 
페리 부사장은 “B.C와 앨버타 간의 정치적 분쟁이 결국 비즈니스를 볼모로 잡고 있는 형국”이라며 분석했다. 
오카나간의 킨혼 크릭 바인야드 젠 넬스 매니저는 “만약 앨버타 주정부가 수입금지조치를 지속할 경우 우리는 다른 지역으로 판매처를 확보할 수 밖에 없다”라고 밝혔다. 현재 이 와이너리에서 생산된 와인의 15%는 앨버타 지역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77 미국 “시끄러워 못살겠다” 이웃 남성 총격 살해 file 코리아위클리.. 18.02.17.
6576 미국 자전거에도 ‘우버 시스탬’… 중국 업체 플로리다 상륙 채비 코리아위클리.. 18.02.17.
6575 미국 미국 교실에 침투하는 중국, ‘공자학당’을 경계하라 코리아위클리.. 18.02.17.
6574 미국 뉴욕의 ‘교도소 섬’ 아시나요 file 뉴스로_USA 18.02.19.
6573 캐나다 12월 실업급여자 수 12% 감소 밴쿠버중앙일.. 18.02.20.
6572 캐나다 1월 캐나다 주택 거래 큰 폭 감소 밴쿠버중앙일.. 18.02.20.
6571 캐나다 "행복하자 아프지 말고" 자이언티 밴쿠버 공연 밴쿠버중앙일.. 18.02.20.
6570 캐나다 해외 한식당 방문컨설팅 신청 업체 모집 밴쿠버중앙일.. 18.02.20.
6569 캐나다 "BC 와인 거부"에 "우리 와인 마시자"로 맞대응 밴쿠버중앙일.. 18.02.20.
6568 미국 케빈 앤더슨 뉴욕오픈 우승 file 뉴스로_USA 18.02.20.
6567 캐나다 BC페리 "비싼 요금 내면 예약 변경이 무료" 밴쿠버중앙일.. 18.02.21.
6566 캐나다 패툴로 대교 새로 놓는다 밴쿠버중앙일.. 18.02.21.
6565 캐나다 이민부 신속처리 예산 4.4억 달러 증액 밴쿠버중앙일.. 18.02.21.
6564 캐나다 "봄방학 여행 계획전 꼭 점검하세요" 밴쿠버중앙일.. 18.02.21.
6563 캐나다 캐나다 모조총 학교 가져가면 체포 밴쿠버중앙일.. 18.02.21.
6562 캐나다 C3, 커리어 컨퍼런스 개최 밴쿠버중앙일.. 18.02.21.
6561 캐나다 평창 올림픽에서 한국 소년 살린 RCMP 밴쿠버중앙일.. 18.02.21.
6560 캐나다 알버타 보복에 BC주 반격 시작됐다 밴쿠버중앙일.. 18.02.21.
6559 캐나다 캘거리 눈 폭탄 이후 40중 충돌 사고 발생 CN드림 18.02.21.
» 캐나다 B.C와인 수입금지 조치에 비즈니스 업계 우려 표명 CN드림 18.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