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치매 1).jpg

멜번에서 심리학을 공부하면서 치매 진단을 받은 어머니를 돌보고 있는 이사벨 버크(Isabelle Burke, 왼쪽)씨. 그녀는 ‘Dementia Australia’를 통해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며, 알츠하이머 환자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다른 환자 가족들도 알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치매 질환 42만 명 넘어... 치매학회, “도울 수 있는 방법 있다” 강조

 

호주의 치매 환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조사 보고서가 나왔다.

금주 수요일(28일) ABC 방송은 호주 치매학회(Dementia Australia) 조사 자료를 인용, 현재 호주 전역에 치매 진단을 받은 환자 수가 42만5천 명을 넘으며, 매일 250명의 치매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Dementia Australia’의 마리 맥케이브(Maree McCabe) 대표는 “치매 환자를 도울 수 있는 길이 있다는 것을, 치매 환자 가족 또는 환자 간병인들이 알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맥케이브 대표는 이어 “우리가 환자를 좀더 일찍 확인할수록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며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우연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지난 2014년, 54세의 어머니 크리스틴 오브라이언(Christine O'Brien)이 알츠하이머 질병이라는 진단을 받았을 당시 이사벨 버크(Isabelle Burke)씨는 스무 살이었다.

버크씨는 “어머니가 치매라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어머니를 위해 아무 것도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그래도 우리 가족은 어머니를 위해 모든 것을 다 했다”고 말했다.

당시 그녀의 가족은 서로 다른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오브라이언씨와 막내딸은 NSW 북부 리스모어(Lismore)에 거주하고 있었지만, 18세의 막내딸은 외국에 나가 있던 상태였다.

둘째인 이사벨 버크씨는 멜번(Melbourne)에서 심리학을 공부하던 중이었고 두 살 위의 첫째 오빠는 NSW 북부의 다른 타운에 살고 있었다.

오브라이언씨가 치매 판정을 받아 그녀를 도울 수 있는 사람은 이사벨 버크씨였다. 그녀는 어머니를 고향인 멜번 알버트 파크(Albert Park)로 모시고 와 어머니를 간병하는 데 치중했다.

오브라이언씨는 현재 멜번의 한 요양소에서 지내고 있으며 이사벨씨는 어머니에게 문제가 생겼을 경우 1차 연락 대상자이다. 그녀는 매일 요양원을 찾아 어머니를 만나고 있다.

이사벨 버크씨와 형제들은 ‘Dementia Australia’를 통해 환자가족 상담 서비스 기간을 방문, 어머니의 상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조언을 받고 있다. 이들은 또한 다른 치매 환자 가족들에게도 이를 권하고 있다.

그녀는 “환자 가족들이 환자를 위해 할 수 있는 많은 일들이 있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매번 어머니를 면회할 때마다 환한 웃음을 보이고 있다”며 “지금은 상태가 많이 나아졌다”고 덧붙였다.

버크씨는 이어 “알츠하이머 질환을 가진 이들은 언어나 어딘가로 이동하는 데 있어 현저하게 영향을 받지만 이들을 도울 수 있는 길이 많다”며 “치매 환자를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알았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 각 지역별 치매 인구

-NSW : 142,352

-Vic : 107,594

-Qld : 80,391

-WA : 41,149

-SA : 35,725

-Tas : 10,883

-ACT : 5,563

-NT : 1,794

-호주 전체 : 42,5416

Source : The National Centre for Social and Economic Modelling 2016, Economic Cost of Dementia in Australia 2016-2056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치매 1).jpg (File Size:101.0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1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0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9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8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7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6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5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4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3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2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1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9 호주 조지 펠 추기경, 바티칸 재정장관 사임 밝힐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8 호주 비판 직면 ‘곤스키’ 교육개혁, 향후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7 호주 주식시장 회복... 상위 부자 자산, 빠르게 늘어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6 호주 시드니 폭풍, 콜라로이-나라빈 지역 ‘심각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유권자 조사, 노동당 지지도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 other signs-2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3 호주 한정된 공급, 주택구입자-투자자 가격경쟁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2 호주 뇌졸중 발병 요인, 국가 소득 수준 따라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1 호주 최근 개통 베넬롱 브릿지, 승용차 불법 운행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지역 추가 버스노선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9 호주 정규 과정서 제2외국어 선택 학생,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8 호주 빌 쇼튼 대표, “투표로 복지 축소 막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7 호주 “의료복지 예산 삭감, 그 피해는 우리들 모두...”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6 호주 “호주 정부, 지난 20년 넘게 유엔 아동협약 위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5 호주 “다문화 사회에서 반차별법의 축소나 변경은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4 호주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상당’... 평균 38%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대표의 선거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2 호주 대화의 기술... 직장 내에서 피해야 할 말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1 호주 모스만의 낡은 주택, 300만 달러도 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20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9 호주 “불명예 전역 간부후보생 자살은 교육대 가혹행위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8 호주 ATO, 업무용 경비 세금환급 부문 집중 조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7 호주 이너 웨스트 카운슬 행정관, ‘조기선거 가능’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6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실업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 주택정책이 판세 가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의 시드니 서부 관련 공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2 호주 NSW Budget- 기반시설 투자 집중...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1 호주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개장 2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브렉시트 불안감’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9 호주 왕립위원회, “군 내 성범죄는 국가적 망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8 호주 시드니 동부 역사적 건축물, 매각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7 호주 리드 지역구 후보들, 연방 정부 교육정책 토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6 호주 시드니 남서부 워윅팜 기차역서 승객 사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5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4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3 호주 호주 가정 음식 폐기물, 연간 8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2 호주 대중교통 시설의 갖가지 세균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