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561139162cc5175cbbb8f5429c6dd4d_1520401
 

지난 2월 26일 (월요일) 오클랜드 미술관 Mackelvie Gallery 에서 열린 “A Night of Art and Opera” 는 한국의 소프라노 김민지(한국예술종합학교)교수의 독창회 형식으로 미술 전시회의 테마인 Love, Longing, Loss 의 각 테마 마다 오클랜드 미술관의 큐레이터 Emma Jameson 의 미술 작품의 배경및 작가소개와 교민음악가 왕주철 박사가 연주곡을 소개하는 형식으로 관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휴식없이 한 시간에 걸쳐 진행된 이번 음악회는 미술전시회 주제에 맞게 르네상스 시대부터 현대의 미술작품과 시대적으로 연결된 음악 프로그램으로 이태리 예술가곡, 오페라 아리아및 한국의 정애련 곡의 “별을 캐는 밤” 등  8곡을 독창으로 그리고 왕주철 박사의 더블베이스 독주도 2곡 연주 되었다. 

 

관객으로는 현지인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다양한 민족의 관객은 물론 연령층도 20대 초반부터 장년층의 키위 현지인들이 주 관객이었지만 인도, 중국등 아시안들도 몇몇 눈에 뛰었다. 각 곡이 끝날때 마다 관객의 뜨거운 호응으로 미술관의 음악회는 공간예술과 시간예술의 좋은 만남이었으며 공연후 관객들은 미술품들을 감상하는 시간을 갖음으로 눈과 귀를 통해 예술을 접하는 아주 알찬 시간을 보냈다.

 

그동안 대다수의 한국에서 온 음악가들이 교민들의 대상으로 이루어진 공연 이었다면, 이번 음악회는 뉴질랜드 공공단체의 초청에 의해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며, 무료 음악공연이 대부분인 오클랜드 겔러리는 상당히 높은 가격($45-55)의 유료 음악회를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서 이와 비슷한 공연이 지속되기를 희망한다고 미술관의 총 실무를 담당한 Johnny Hui (Public Programmes Manager) 는 자신감을 내비치며, 이번 음악회의 기획은 한국 음악가들에 대한 믿음이 있어 준비 할수 있었다고 전했다.

 

미술관 공연담당 총 책임자인 Neal Stimler (Head of Public Engagement)은 서신을 통해 오클랜드 미술관은 유능한 음악가들의 아름다운 음악회를 통해 미술작품을 더 홍보하고 새로운 관객들이 미술관과 더욱 친밀해지고 나아가 정기회원으로 발전하는 기회를 얻은 계기가 되었으며 이 공연이 가능할 수 있게 collaboration 해준것에 감사의 이메일을 보내왔다고 왕주철박사는 전해왔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83 호주 마스터쉐프 개리 메히건 출연 ‘파플렁 한국’ 편 방영 호주한국신문 15.08.27.
2082 호주 한국문화원, VIC서 ‘찾아가는 한국문화원’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8.27.
2081 호주 ‘2015년 서호주대학교 한국문화축제’ 성료 호주한국신문 15.08.27.
2080 호주 정정호 작가, 호주사진센터 개인전 ‘Fragments’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8.27.
2079 호주 스트라필드서 한인 연루 패싸움, 1명 칼 찔려 중태 호주한국신문 15.08.27.
2078 호주 NSW 주 대학 서중석(경제학) 교수 타계 호주한국신문 15.08.27.
2077 호주 호주 부동산 동향- 시드니 주택 소유자들, ‘매매시장’ 돌진 호주한국신문 15.08.27.
2076 호주 ‘임대주택 거주’가 주는 다섯 가지 행복 호주한국신문 15.08.27.
2075 호주 엘리자베스 베이 호화 주택, 1천4백만 달러 매매 호주한국신문 15.08.27.
2074 호주 해외 유학생들, 호주 달러화 약세에 ‘활짝’ 호주한국신문 15.08.27.
2073 호주 ‘외국인 불법 부동산 투자 처벌’ 강화, 새 법안 도입 호주한국신문 15.08.27.
2072 호주 HSC 시험 수험생들, 시험장 ‘애플 와치’ 반입 금지 호주한국신문 15.08.27.
2071 호주 NSW 주 해안 상어공격 늘어, 각별한 주의 요구 호주한국신문 15.08.27.
2070 호주 ‘주택구입 능력’에 대한 걱정, “여성이 더 많다” 호주한국신문 15.08.27.
2069 호주 “성 노예 피해 신고자, 보복 위험성 크다” 호주한국신문 15.08.27.
2068 호주 호주 영화산업, 지난 20년 이래 최고 활황 호주한국신문 15.08.27.
2067 호주 애보트 정부의 정책, 지난 50년래 가장 더뎌 호주한국신문 15.08.27.
2066 호주 ‘애슐리 매디슨’(Ashley Madison) 가입자 정보 유출 호주한국신문 15.08.27.
2065 호주 NSW 주 재무부 매트 킨 정무차관, 9월초 방한 예정 호주한국신문 15.09.03.
2064 호주 한국교육원, ‘2015 한국어 문화공연’ 대회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