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성추행).jpg

시드니 대학교 연구원들이 발표한 한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직장 내 여성 성차별과 성추행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 같은 문제와 함께 젊은 여성들이 커리어를 위해 출산을 늦추거나 아예 포기하는 추세임을 밝혀냈다. 사진은 여성에 대한 신체 접촉은 여성의 ‘Yes’에서만 허용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폭력적 성추행 거부 이미지. 사진 : Pixabay

 

시드니대학교 연구팀, 16-40세 직장여성 대상 조사 보고서 발표

 

지난해 미 할리우드 영화제작 거물 하비 웨인스타인으로 시작된 성추행 피해자들의 고백과 가해자 처벌을 촉구하는 ‘#Me too’가 전 세계 여성계의 관심과 호응 속에서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호주 내 직장에서도 여성 차별은 물론 성추행이 만연돼 있다는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현재 한국에서는 지난 1월 검찰의 한 여성 검사가 오래 전 상사로부터 받은 성추행과 이로 인한 긴 시간의 고통을 고발한 이후. ‘Me too’와 여성계의 ‘With you’가 연극-영화에 이어 사회 각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금주 화요일(6일) 시드니대학교(University of Sydney) 연구원들이 발표한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의 젊은 여성 3분의 1 이상이 직장 내에서 성차별 대우를 받고 있음을 느끼고 있다.

연구원들은 16-40세 젊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장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를 실시, ‘2017 호주 여성들의 직업 미래’(Australian Women's Working Futures 2017)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국제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 3월8일)을 이틀 앞두고 발표됐다.

보고서는 조사를 통해 직장 내 성추행 수위가 ‘충격인’ 수준이며, 최근 커리어를 위해 출산을 늦추거나 아예 포기하는 여성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한편 호주 정부가 2천100명 이상의 여성과 500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직장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5명 중 4명의 여성들이 “내가 존중받는 직장”이라고 답변했다. 같은 답변을 한 남성은 이보다 적은 67%로, 이들은 “안정적인 직장”을 최고로 꼽았다.

시드니대학교의 정치경제학 학과장이자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엘리자베스 힐(Elizabeth Hill) 박사는 “여성들이 흥미나 보수보다 ‘존중받는 것’을 우선시한다는 사실이 놀랍다”며 “호주 직장이 젊은 여성들의 커리어를 향한 포부와 성공적인 미래를 향한 열망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여성 10명 중 한 명이 현재의 직장에서 성추행을 겪고 있다고 답변한 사실에 대해서도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를 통해 노골적인 성추행뿐 아니라 직장 내에 만연돼 있는 여러 형태의 성차별도 밝혀졌다. 여기에는 여성 직원의 업무성과가 인정받지 못하고 무시되거나 신체적 외모가 중시되고 있음이 포함됐다.

한 여성 변호사는 직장에서 당한 가장 기본적인 수준의 성추행 중 “한 치안판사가 ‘금발머리와 파란 눈만 가진 게 아니라는 걸 증명해 달라’고 말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브리즈번에 거주하는 한 전문직 여성은 “내가 무슨 옷을 입고 머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직장 내 대우가 달라진다”며 “머리를 위로 묶거나 짧은 단발머리를 하고 출근하면 (웃긴 사실이지만) 남성들과 훨씬 더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출산으로 인한 경력 단절을 우려하는 여성들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응답자 중 자녀가 한 명 이상인 여성은 10명 중 4명뿐이었으며, 미래에 한 명을 출산할 계획이라고 답변한 여성도 절반에 달해 직장 여성들의 출산률 감소가 확인됐다.

심지어 경력을 위해 출산을 늦추거나 아이를 낳지 않겠다고 답변한 고숙련 전문직 여성들도 상당한 비중에 달했다. 한 여성은 “아이를 키우면서 현재 직업을 유지한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다”며 “아이를 갖지 않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또한 ‘추후 직장 내 성차별 문제가 개선될 것이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젊은 직장인 여성 53%만이 “그렇다”고 답했으며, 약 30%는 “지금과 같을 것”이라는 반응이었다.

이 중 가장 긍정적 전망을 보인 연령대는 16-20세로, 63%가 “개선될 것”이라고 답했고 31-40세 여성들 가운데에는 46%만이 같은 반응이었다.

직장 내 스트레스와 관련해서는 5명 중 2명의 여성(43%)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응답자의 25%는 “현재 역할에서 내가 가진 기술과 지식 및 능력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퇴직금’ 부문에서는 3분의 2 이상의 여성이 “은퇴 후 편안한 삶을 누릴 만큼 충분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직장 내 성차별’과 관련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여성의 대우를 높게 평가했다. 응답자 중 12%의 남성들이 “직장에서 여성들이 더 이득을 많이 받는다”고 답변했으며, 25%는 “동등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여성들의 경우 절반 이상(52%)이 “직장에서 남성에 대한 대우가 더 좋다”고 답했으며, 3%의 여성들만이 “동등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답변이었다.

‘근무시간의 유연성’에서는 응답자 10명 중 9명의 여성이 “유연한 근무시간이 미래의 성공에 ‘중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현재 일하는 직장에서 유연한 근무시간을 가지고 있다는 여성은 10명 중 6명에 불과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성추행).jpg (File Size:53.6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51 호주 호주 최악의 연쇄살인마 아이반 밀랏, 일요일(27일) 감옥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6450 호주 호주 최악의 연쇄 살인마 아이반 밀랏의 최후의 몇 마디... 톱뉴스 19.10.30.
6449 호주 호주 최대 직업학교 ‘Careers Australia’ 부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6448 호주 호주 최대 육가공업체 ‘토마스 푸드’, 이민자 착취 이익 극대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6447 호주 호주 최대 유통기업 웨스트필드 해외 매장, 프랑스 기업에 "매각" 톱뉴스 17.12.15.
6446 호주 호주 최대 빛의 축제 ‘Vivid Sydney’, 올해부터 ‘보타닉 가든’은 유료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6445 호주 호주 최대 두 도시가 직면한 문제, “너무 크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6444 호주 호주 최대 도시, 시드니를 위협하는 8가지 요소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11.24.
6443 호주 호주 최대 규모 목장, 광산재벌 품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10.13.
6442 호주 호주 최대 국경일... 시드니서 즐기는 ‘Australia Day’ 이벤트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6441 호주 호주 최대 경마대회... 올해 멜번컵 우승마는 ‘레킨들링’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6440 호주 호주 최대 경마, 올해 멜번컵 우승마는 ‘알만딘’ file 호주한국신문 16.11.03.
6439 호주 호주 최고의 해안가 주택 구입, 얼마만큼의 자금이 필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5.30.
6438 호주 호주 최고의 엔터테이너 중 하나인 주디스 더엄씨, 7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6437 호주 호주 최고 지도자로 꼽히는 밥 호크 전 총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9.05.23.
6436 호주 호주 최고 소득자들, 퍼스에 거주... 연소득 최저는 NSW 주 일부 지방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6435 호주 호주 최고 부자들은 누구... 호주한국신문 14.07.03.
6434 호주 호주 최고 부자들, 평생 50배 이상 부 축적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433 호주 호주 최고 부자 지나 라인하트, 자산 80억 달러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6432 호주 호주 최고 부자 라인하트 자산, 1년 사이 80억 달러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3.23.
6431 호주 호주 최고 디자인의 레스토랑-카페-바-호텔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6430 호주 호주 최고 권위의 방송대상, Logies awards 2018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05.
6429 호주 호주 총리, “세계 경제가 공포에 휩싸였다”…G20 긴급 재무장관 회의 개최 제안 호주브레이크.. 20.03.15.
6428 호주 호주 총리, 중국 방문 라이프프라자 23.10.23.
6427 호주 호주 초등학교 남학생 5명 중 1명, ‘정서행동장애’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6426 호주 호주 청소년들, 소셜 미디어 순위에 매달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425 호주 호주 청량음료업계, 설탕 함유량 20% 감량 계획 발표…의학계 반응은 ‘써늘’ 톱뉴스 18.07.01.
6424 호주 호주 청량음료, 높은 포도당 수치로 당뇨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6423 호주 호주 직장평등 수준, 여전히 낮아... 여성 임금 23%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7.
6422 호주 호주 직장인 절반 가까이, “직장에서 외로움 느껴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 호주 호주 직장 내 여성 성차별과 성추행, ‘충격적’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8.03.08.
6420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호주 기준금리 1.5%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6419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2.5%) 유지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6.05.
6418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키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6417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6416 호주 호주 중앙은행, 한 달 만에 기준금리 또 인하... 1%로 (1)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415 호주 호주 중앙은행, 최저 기준금리 15개월째 이어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09.
6414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사상 최저 1.25% file 호주한국신문 19.06.06.
6413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0.75%→0.5%로 역대 최저치 호주브레이크.. 20.03.03.
6412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19개월 연속 file 호주한국신문 18.04.05.
6411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50베이시스포인트 또 인상, 4개월 연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641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50베이시스 포인트 인상 결정... 0.85%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6409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3.35%로... 로우 총재, “추가인상 필요”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640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407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6406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6405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404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6403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 금리 1.5% 유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402 호주 호주 중앙은행, “하락하는 물가 수치 지켜보겠다”... 이달 금리 인상 ‘보류’ file 호주한국신문 2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