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Walking route.jpg

전 세계 곳곳에는 멋진 풍경을 간직하고 있되 가까이 접근할 수 없어 아쉬움을 주는 여행지가 많다. 이런 여행지에 만들어진 보행로(walkway)는 숨겨진 풍광을 더욱 즐기면서 또한 짜릿함을 주는 ‘어드벤처 코스’가 되기도 한다. 사진은 스페인 말라가(Malaga) 엘 초로(El Chorro)의 한쪽 바위 절벽에 만들어진 ‘엘 까미니토 델 레이’(El Caminito del Rey).

 

빼어난 풍경 속, 몸서리치는 아찔함과 짜릿한 스릴... 그리고 쾌감

 

오늘 날 여행 패턴은 단순한 ‘관광’을 벗어나고 있다. 멋진 풍광으로 여행자들을 끌어들이기는 하지만 여기에 더해 색다른 맛을 선사함으로써 ‘산업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배가하려는 움직임은 전 세계 유명 여행지들이 시도하는 새로운 트렌드이다.

이 같은 움직임 가운데 하나가 멋진 풍경을 보다 속 깊이 보여주기 위한 ‘Walkway’이다. 더불어 이는 여행자들에게 색다른 스릴과 짜릿한 쾌감을 선사함으로써 이들로 하여금 다시 찾아오게 만들기도 한다.

이런 여행지는 전 세계 곳곳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런 곳들 가운데 여행가들이 소개하는 11곳의 짜릿한 또는 아름다운 ‘Walkway’를 소개한다.

 

 

1. Europabruecke, Switzerland

 

1 Europabruecke.jpg

 

스위스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 중 하나인 돔(Dom) 산(해발 4545미터)에 설치된 보행자 도로이며 총 길이 777미터에 달하는 세계 최장 길이의 다리로 기록되어 있다. 제르마트(Zermatt)와 그래첸(Graechen) 마을을 잇는 알프스 최고 하이킹 코스 중 하나로, 그라벤구퍼(Grabengufer) 협곡 위, 190미터의 아찔한 높이를 자랑한다.

이 다리는 오스트리아의 대표적 관광도시이기도 한 인스부르크(Innsbruck) 남쪽 지점에 자리하며, 예전에는 오스트리아 서부에서 이탈리아 사우스 티롤(South Tyrol)을 연결하는 주요 루트이기도 했다.

 

 

2. Camonito Del Rey, Spain

 

2 Caminito Del Rey.jpg

 

‘왕의 좁은 길’(The King's Little Pathway)이라고도 불리는 엘 까미니토 델 레이(El Caminito del Rey)는 스페인 말라가(Malaga) 엘 초로(El Chorro)의 한쪽 바위 절벽에 만들어진 좁은 길이다. 본래 ‘왕의 길’(King's Pathway)이라는 뜻의 ‘Camino del Rey’에서 유래됐으며, 스페인 현지에서는 ‘엘 까미니토’(El caminito)라 부른다. 지상에서 100미터 높이의 절벽에 볼트로 받침대를 만들어 낸 이 길은 3킬로미터 길이이며 목재 바닥의 폭은 약 1미터 남짓하다. 지난 1999년과 2000년, 이 길에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산책로’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난 2001년부터 4년간의 보수 공사를 거쳐 2015년 재개방됐다.

 

 

3. Tianmen Mountain Skywalk, China

 

3 Tianmen Mountain.jpg

 

용이 몸을 뒤틀고 있는 듯한 모습에서 ‘Coiling Dragon Path’라고도 불리는 중국 후난성의 ‘장자제 국립삼림공원’(Zhangjiajie National Forest Park)에 있는 ‘하늘길’(skywalk)이다. 높이 300미터 지점에 놓인 100미터 길이의 다리로, 바닥이 내려다보여 더욱 아찔한 공포감을 준다. 그야말로 공중을 걷고 있는 듯한 가상체험을 주는 다리인데, 300미터의 까마득한 산 아래 계곡이 그대로 드러나 일부 여행자는 네 발로 기어가는 모습도 종종 볼 수 있다. 장자제는 한국에서 장가계(張家界)로 불리며, ‘중국 명산 여행’ 상품도 다수 나와 있다.

 

 

4. Walkways, Iguazu Falls, Argentina / Brazil

 

4 Walkways.jpg

 

캐나다의 나이아가라 폭포, 잠비아와 짐바브웨의 국경을 가르는 빅토리아 폭포와 함께 세계 3대 폭포 중 하나인 이과수 폭포에 있는 산책로이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국경에 걸쳐 있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나이아가라 폭포에 비해 폭과 낙차는 더 크다.

이과수 폭포의 Walkway는 폭포를 가장 잘 관람할 수 있는 지역까지 만들어진 철제 다리로, 이 폭포 여행의 핵심인 ‘악마의 목구멍’(Garganta del Diablo)으로 가는 1 킬로미터의 보행로이다.

 

 

5. Skybridge, Russia

 

5 Skybridge.jpg

 

동계올림픽이 열렸던 러시아 소치(Sochi)의 여름 휴양지인 흑해(Black Sea) 인근의 끄라스나야 뽈리아나(Krasnaya Polyana) 계곡에 있다. 최고 높이 439미터 상공에 만들어진,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이다. 다리는 52밀리미터 굵기의 8개 강철 케이블에 매달려 있으며 한 번에 최대 3만 명이 건널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하늘 다리’(Skybridge)의 하이라이트는 중간 지점에 있는 번지점프대로, 무려 207미터의 자유 낙하가 가능하다.

 

 

6. Pont Des Arts, France

 

6 Pont Des Arts.jpg

 

파스렐데자르(Passerelle des Arts)라고도 불리는 퐁데자르(Pont des Arts)는 프랑스 파리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는 명소 중 하나로, 루브르 박물관과 프랑스 학사원(Institut de France)을 이어주는 센 강(River Seine) 위의 보행자 다리이다. 다리 한쪽으로 사랑을 맹세하는 자물쇠가 수시로 가득 찰 만큼 연인들이 즐겨 찾는 데이트 명소이자 사랑을 고백하는 장소로도 유명하다. 그만큼 파리에서 가장 잘 알려진 산책로 중 하나이다. 특히 시테 섬(Ile de la Cite)과 노틀담 타워로 이어진 산책로와 함께 다른 한쪽으로, 강둑을 따라 린든나무(linden tree)가 이어진 길 또한 에펠탑을 보며 걸을 수 있어 파리의 야경을 만끽하기에 좋은 길이다.

 

 

7. Zhangjiajie Grand Canyon Glass Bridge, China

 

7 Zhangjiajie-1.jpg

 

7 Zhangjiajie-2.jpg

 

중국 후난성 장자제(Zhangjiajie)에 있는 또 하나의 Skywalk이다. ‘장자제 그랜드 캐니언’(Zhangjiajie Grand Canyon)의 300미터 높이에 만들어진, 430미터 길이의 유리바닥으로 된 이 다리는 장자제의 빼어난 풍경을 감상하면서 아찔함과 함께 짜릿한 스릴로 여행자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거대한 협곡 양쪽의 절벽을 이어주는 이 다리는 이스라엘 건축가 하임 도탄(Haim Dotan)의 디자인으로, 한 번에 최대 800명이 건널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난 2016년 8월 개통됐다.

 

 

8. High Line, New York, US

 

8 High Line.JPG

 

뉴욕 맨해튼 웨스트사이드(West Side) 위, 2.3킬로미터 길이의 공중 녹지 겸 보행자 전용도로이다. 애초 화물열차를 위한 도로였으나 그 기능이 사라지면서 시민들을 위한 녹지 및 산책로로 개발돼 맨해튼의 새로운 여행 명소가 되고 있다. 특히 이 도로를 단순한 산책로가 아닌 생태공원, 다양한 문화 행사 공간 등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전 세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수년 전, 서울역 고가도로 철거와 관련해 한국의 시민단체들이 철거 대신 새로운 시민 공간으로 만들자는 제안을 하면서 모델로 삼은 곳이 바로 뉴욕의 ‘하이라인’(High Line)이다. 현재 이곳의 각 문화 공간에서는 오페라, 라틴댄스, 타이치 등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서 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으며 빼어난 조경으로 사랑받는 산책로가 되고 있다.

 

 

9. Cesana Claviere Bridge, Piedmont, Italy

 

9 Cesana Claviere.jpg

 

프랑스와의 국경지대인 이탈리아 산 게르바시오(San Gervasio) 협곡 위에 놓여진 티베트 스타일의 현수교이다. 총 길이 478미터로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로 꼽힌다. 지상에서의 높이는 100미터로, 좁고 흔들리는 다리가 짜릿한 스릴을 제공한다.

 

10. Taman Negara Canopy Walk, Malaysia

 

10 Taman Negara.jpg

 

말레이시아 중심부, ‘타난 네가라 국립공원’(Taman Negara National Park)은 무려 4천300스퀘어킬로미터 넓이의 열대우림 삼림이자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태계를 간직한 곳으로 꼽힌다. 수많은 동식물 종이 있으며 아시안 코끼리, 말라얀 타이거, 표범 등도 서식하고 있다.

본래 이 길은 이 국립공원의 생물종을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530미터 길이의 지상 도로이나 지금은 일반인에게 개방, 말레이시아 열대우림을 살펴보는 빼어난 여행상품이 되었다.

 

 

11. Bridge of Peace, Georgea

 

11 Bridge of Peace.jpg

 

옛 소련 연방에서 독립한 조지아(Georgea)의 수도 트빌리시(Tbilisi)에 있는 므츠바리 강(Mtkvari River)에 놓인 다리이다. 짜릿한 스릴이 있는 다리라기보다는 교량의 빼어난 아름다움으로 주목 받는 다리로 이탈리아 건축가 미켈레 디 루치(Michele de Lucchi)가 만들어낸 것이다. 흰색 강철의 아치형 지붕에 다리 양 옆은 유리로 장식했다. 밤에는 이 다리에 달린 수천 개의 LED 조명이 빛을 발해 색다른 아름다움을 만들어냄으로써 도시민은 물론 여행자의 발길을 끌어들이는 최고 산책로가 됐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0 Walking route.jpg (File Size:176.3KB/Download:22)
  2. 1 Europabruecke.jpg (File Size:75.0KB/Download:26)
  3. 2 Caminito Del Rey.jpg (File Size:124.0KB/Download:27)
  4. 3 Tianmen Mountain.jpg (File Size:67.0KB/Download:24)
  5. 4 Walkways.jpg (File Size:83.0KB/Download:28)
  6. 5 Skybridge.jpg (File Size:139.1KB/Download:33)
  7. 6 Pont Des Arts.jpg (File Size:70.0KB/Download:29)
  8. 7 Zhangjiajie-1.jpg (File Size:83.1KB/Download:24)
  9. 7 Zhangjiajie-2.jpg (File Size:65.6KB/Download:26)
  10. 8 High Line.JPG (File Size:110.2KB/Download:24)
  11. 9 Cesana Claviere.jpg (File Size:119.0KB/Download:25)
  12. 10 Taman Negara.jpg (File Size:106.2KB/Download:26)
  13. 11 Bridge of Peace.jpg (File Size:56.2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01 호주 NSW 주 정부, 전력망의 49% 민간에 임대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0 호주 NSW 교통부장관, “시드니 고속철도 건설, 3년 내 착수”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9 호주 ‘Y 세대’ 수요증가로 시드니 지역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8 호주 한인회, 일본 및 중국정원 탐방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7 호주 지난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5.6%, 다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6 호주 한국현대미술전, 카나본 골프클럽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5 호주 NSW 주 고교연합, 세월호 피해자 ‘위로 메시지 북’ 제작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4 호주 ‘행복을 전하는 한국민화’, 이번엔 어번 시에서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3 호주 텔스트라(Telstra), ‘홈 번들-글로벌’ 상품 출시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2 호주 “전 세계 시민단체와 논의, ‘G20’ 의제 결정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1 호주 신종 마약 ‘스냅챗’ 복용으로 병원 치료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0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및 다윈, 실업률 가장 낮아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9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8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7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6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5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4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3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2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6581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80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9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8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7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6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5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4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3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2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1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0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9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8 호주 항우울제 등 신경치료제 복용 아동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7 호주 서방국가들, 아랍계 자국민의 ISIS 합류로 ‘골치’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6 호주 ISIS는 어떤 세력인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5 호주 호주인들, 수명 길어진 반면 만성질환도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4 호주 시드니, 새 아파트 수요 높아... 주택시장 활기 입증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3 호주 6월 마지막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4.1%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2 호주 “한인 동포를 비롯한 은행 고객들에게 감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1 호주 ‘코윈’ 호주지회, ‘건강’ 주제의 정기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0 호주 한인회, ‘문화 예술의 전당’ 순조로운 진행 기원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9 호주 한국문화원, ‘Good Food & Wine Show 2014’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8 호주 인종차별법을 둘러싼 조지 브랜디스와 ‘IPA’의 오류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7 호주 UTS, 최신 영어교육 프로그램 한국 보급키로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6 호주 퀸즐랜드 한인회, 영사관 민원업무 대행 협약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5 호주 캠시 주민들과 만난 봅 카 전 NSW 주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4 호주 NSW 공정거래부, 비승인 USB 충전기 판매 조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3 호주 “다민족 사업자 지원 위한 산업자문관 임명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2 호주 어번타운센터, 업그레이드 공사 마치고 공식 ‘오픈’ 호주한국신문 14.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