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같이 부딪히는 사람들간의 관계, 재정의 어려움, 직장에서의 일의 부담등 여러가지 스트레스를 받는 현실안에 자기를 관리하는 것은 쉬운 일이 결코 아니며 스스로의 결단이 없이는 자신을 위한 시간을 내는 것이 쉽지가 않다.
하지만 자기관리는 자신을 위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 자신이 책임진 가정을 건강히 세우기 위해 너무나 중요하다. 지난 수년간 가정을 돕는 일을 해오며 많은 가정들안에 자신에게 쉼과 도움의 필요가 있다라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보다는 이를 소홀히 하거나 간과한 결과 결국 아내 혹은 남편, 자녀들에게 많은 아픔과 상처를 주는 상황들을 보아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3가지 자신의 관리하는 방법들을 나누려 한다.
첫째는 자신의 스트레스 레벨이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그 레벨이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이상으로 갈 때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는지를 생각해보고 이를 종이에 적어 조기 경고 신호(Early Warning Signs) 체크리스트를 만드는 것을 권한다.
저자인 경우는 감당하는 수준 이상의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할때 집중을 제대로 못하거나 쉽게 조그만 일에 짜증을 내고 필요 이상의 걱정을 하는 신호들을 경험한다. 몇 년전 정신건강 기관에서 일하면서 사용했던 자기 관리 체크 리스트를 사용하여 위의 조기경고 신호 싸인들을 종이에 적고 그것이 경험될 때 어떠한 자기관리(self care) 행동을 할지를 적어 사용하고 있는데 많은 도움을 받는다.
이와 연관해 배우자, 자녀들 혹은 다른사람과 관계를 하며 자기 내면 안에 조절하기 힘든 부정적 반응이 나타나 다른 이에게 필요 이상의 화를 내고 감정을 추스르기 힘든 것을 반복적으로 경험한다면 이를 위한 도움을 구하길 권한다.
자기와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게 자신의 조절하기 힘든 감정과 행동이 나타날 때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고 해결해야 할 지 피드백을 구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것이 여의치않으면 상담사나 멘토를 찾아가 이야기하며 이해해가는 과정을 밟아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을 좋은 방향으로 바꾸도록 노력할 수 있을 것이다.
두번째로는 자기관리 행동 리스트를 만들고 이것을 의도적(initiatively) 으로 그리고 수시로(regularly) 사용하는 것을 격려하고 싶다. 자신의 감정의 탱크가 다른 사람의 격려 칭찬, 도움을 받을 때는 높아지지만 직장에서의 고된 노동과 사람들간의 관계에 어려움 등은 탱크안에 감정의 수치를 낮게 만들고 결국 바닥이 나게 할 수 있다.
이러할 때는 하는 일을 멈추거나 일의 양을 최대한 줄여 의도적으로 자신을 돌보고 관리하는 행동들을 시간을 내어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렇지 않고 Burn out이 되면 자신이 그러한 단계에 있다는 것도 모른 채 자신을 더 학대하고 건강하지 않은 방법으로 자신의 필요를 채우려 하게 된다.
사람마다 자기관리(self care) 행동은 성격, 관심사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행동의 예들로는 잠자기, 정규적으로 gym가기, 휴가 신청하기, 데이트하기, 주일날 쉬기, 2-3달에 한번씩 친구 만나기 등의 예가 있을 수 있다.
“많이 일하여 피곤하구나. 수고가 많다. 잘하고 있어”라고 스스로를 격려하는 것 역시 도움이 된다. 또한 자신의 영적, 육적, 감정적인 필요를 점검하여 큰 그림을 그리고 건강한 몸과 맘을 세워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또한 가정과 직장 사이에 어디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지를 수시로 점검하여 과중한 일과 사역으로 인해 가정과 자녀들과의 관계가 소홀해진다면 일의 양을 줄이는 노력 역시 필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어려움과 필요를 나누며 도움을 주고 받을 수 있는 support network를 구축하는 것이다. 우선적으로 도우미되는 배우자와 서로의 필요를 알고 도움을 주고 받는 관계를 만드는 것은 너무나 중요하다.
자신이 신뢰할 수 있는 1-2 사람의 친구 혹은 멘토를 정하여 자신의 어려움과 필요를 솔직히 고백하고 그들의 필요역시 들으며 신뢰의 돕는 관계를 형성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혹은 교회나 서비스 지역사회 기관을 찾아가 공통된 필요를 나눌 수 있는 아버지, 어머니 그룹, men’s group, 취미 클럽, 동호회 등의 자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칼럼니스트 봉원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