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크 카운티 위원회, 8천개 주택 단지 승인
 

village.jpg
▲플로리다주 최대 규모의 은퇴촌 '더 빌리지스'의 영역이 더 확장될 전망이다. 사진은 빌리지스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한 웹사이트 화면 일부.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플로리다주 최대 규모의 은퇴촌 '더 빌리지스(The Villages)’의 영역이 더 확장될 전망이다. 지난 달 29일 센트럴플로리다내 레이크 카운티 위원회는 ‘더 빌리지스 오브 웨스트 레이크(The Villages of West Lake)’ 주거 단지 조성안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턴파이크와 카운티 로드 470 인근의 리스버그시 남쪽 부지(2600에이커)에는 3년내 공사가 시작되며, 최대 8천여개 주택이 들어선다. 인구 2만2천명을 보유한 리스버그시는 빌리지스의 확장이 가져올 일자리 창출과 의료산업 발전, 예산 증가 등 경제적 이득을 기대하며 이번 프로젝트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시 위원회는 빌리지스의 확장이 기존 주민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시정부에 속해 있지 않은 자치 구역 주민들은 장차 12만명의 인구를 보유할 빌리지스의 여파에 우려를 표시할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 오랫동안 간직해온 고유의 정서가 사라지는 것이 못마땅하다는 분위기다.

섬터 카운티에서 시작해 레이크와 매리온 카운티로 발을 뻗고 있는 빌리지스는 그동안 확장에 확장을 거듭하면서 이같은 일부 주민들의 불만을 쉽게 날려버리고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광역도시로 자리잡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은퇴촌으로 명성을 떨치면서 2016년과 2017년 연속 경제잡지 <포브스>의 ‘미국 탑 은퇴지 25개’에 이름을 올렸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으로 빌리지스의 인구는 11만5000명에 도달했다. 지역 범위는 오칼라에서 남쪽으로 20마일 위치에서 올랜도 북서쪽에서 45마일 위치 사이에 들어있다. 탬파에서는 북동쪽으로 75마일 거리이다.

빌리지스 개발 및 운영체인 ‘홀딩 컴퍼니 오브 더 빌리지스 엘티디(Holding Company of the Villages Ltd)’는 지난해 총 2231채를 거래해 전년도에 비해 13% 판매량 증가를 기록, 미국에서 ‘매스터-플랜드 커뮤니티(전방위 계획 도시)’로는 최고 기록을 세웠다.

섬터 카운티를 기준으로 인구 구성을 따질 경우, 백인 주민이 98.4%로 압도적으로 많고, 이어 히스패닉(1.3%), 흑인(0.5%), 아시안(0.5%), 원주민(0.1%) 순이다. 섬터 카운티의 가계 소득 중간치는 4만2542달러이다.

빌리지스를 눈에 띄게 하는 것은 주민들의 정치 참여가 유독 높다는 점이다. 안정적인 백인층 은퇴자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곳 투표율은 80%에 달하고, 공화당원이 민주당원에 비해 2배 정도 많다. 당적이 없는 주민도 공화당쪽으로 기운 공화당 표밭인 만큼 선거철만 되면 대통령 및 주지사 후보 등 공화당 인사들이 빼놓지 않고 들려 승기를 충전 시키는 곳이기도 하다.

빌리지스를 움직인 큰 손 ‘게리 모스’

55세 이상 연령층만 입주가 허락되는 빌리지스는 국제적인 관광도시 올랜도가 지척에 있고 탬파베이에서도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등 입지 조건이 뛰어나다. 또 플로리다 중심에 자리잡고 있어 동쪽 대서양과 서쪽 멕시코만을 왕래하며 인생의 황금기를 여유롭게 보낼 수 있는 천혜의 장소이다. 한때 소가 풀을 뜯고 밭에는 수박이 익어가던 이곳은 40년 이상 일한 후 안락한 여생을 보내려는 이들의 보금자리이며 관광지이자 유흥지이다.

따라서 주민들은 스스로 이곳을 '성인 디즈니랜드'라고 부르고, 자녀나 손자들은 독신 할머니 할아버지가 라인댄스를 하며 데이트 하는 이곳을 '시니어 곤 와일드(Seniors Gone Wild)'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여성의 신체노출에 집중하는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 '걸스 곤 와일드'를 빗댄 별칭으로, 시니어들이 활기차게 생의 마지막을 보낸다는 뜻이다.

빌리지스는 1960년에 헤롤드 슈와츠라는 미시간주 사업가가 현재 도시가 있는 지역 땅을 사들여 이를 우편을 통해 재판매 하면서 시작됐다. 1968년 연방법이 부동산 우편 판매를 금하자 헤롤드는 레이크 카운티 북서쪽 코너에서 모빌홈 파크를 짓기 시작했다. 1980년 초기에 400채를 판매하면서 비즈니스에 눈을 뜬 헤롤드는 또다른 투자자와 자신의 양아들인 H 게리 모스를 끌어들여 개발업체를 만들었다.

슈와츠 부자는 애리조나주 유명 은퇴촌인 '선 시티(Sun City)'가 주거공간 뿐 아니라 여가 시설을 제공하고 관리하는 데 자극을 받아 본격적인 은퇴촌 건립을 착수했고, 집들이 상당수 팔려나가면서 인근 섬터 카운티와 매리온 카운티의 부지를 사들였다.

이후 실질적 운영자가 된 모스는 1992년 3500에이커 땅을 소유하면서 은퇴촌 이름을 '빌리지스'로 공식 명명했으며, 부지 세금 공제 혜택까지 받아내 1993년부터 2000년까지 특세 구역을 총 12개로 늘렸다.

모스는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의 선거 캠페인에 자금을 보탰고 젭 부시 등 정치인들의 나들이를 위해 자가용 비행기를 대절했으며, 오바마 대통령의 재선을 막기 위해 180만불을 캠페인 자금에 보태는 등 정치적 로비에도 열심을 냈다. 결국 사업이 날로 번창하며 세계 갑부 순위에 이름까지 올리게 됐다.

모스는 주택 판매 외에 모기지 회사와 동네 은행 지분 소유 뿐 아니라 병원, 유틸리티,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국, 신문, 월간 잡지, 컨추리 클럽, 그리고 각종 유명 브랜드 업소가 들어서 있는 상가를 장악했다. 즉 빌리지스 내에 돈이 되는 것이라면 모스가 관련되지 않은 것이 하나도 없다고 민주당원들이 투덜거릴 정도로 그의 파워는 막강했다. 모스의 힘은 이렇듯 컸으나 정작 그 자신은 주민들과의 접촉을 즐겨하지 않아 빌리지스내에서 그의 얼굴을 알아보는 이들은 극히 드물었다고 전해진다.

2014년 <탬파베이타임스>는 모스가 조종하는 빌리지스의 파워가 하늘을 찌를듯이 높아지면서 섬타 카운티 위원회등 지역 행정단체가 모스의 눈치를 보았고, 카운티 유권자 65%를 차지하고 있는 빌리지스는 위원회를 조종했다는 기사를 보도했다.

한편 2014년 모스가 세상을 뜬 뒤 그의 사업체는 세 자녀들이 물려받아 운영하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77 캐나다 캐나다, 육로 국경에서도 COVID-19 검사 결과 요구 Hancatimes 21.02.16.
6376 캐나다 퀘벡주, 몇 주 만에 가장 낮은 COVID-19 확진자 기록 및 비필수 상점들 다시 개장 Hancatimes 21.02.16.
6375 캐나다 몬트리올, “다운타운지역 무료 주차 정책 2월 말까지 연장” file Hancatimes 21.02.16.
6374 미국 몰아친 2월 한파... 애플 앱 "플로리다 눈 내린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73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장소 늘어난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72 미국 톰 브래디의 탬파베이, 18년 만에 슈퍼볼 우승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71 미국 플로리다 소도시, 2월 첫 주를 '트럼프 주간'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70 미국 신종 코로나 '온라인 수업' 1년... "학력 격차 커지고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69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어디까지 왔나?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68 캐나다 캐나다 주거지 제한속도 시속 40Km 확정 file CN드림 21.02.13.
6367 캐나다 "규제 피해가 바이러스보다 훨씬 더 심하다" CN드림 21.02.13.
6366 캐나다 캐나다 실내 체육관 50%, “재정난 심각, 두 달도 못 버텨” CN드림 21.02.13.
6365 캐나다 캐나다 오일 생산, 팬데믹 이전 수준 회복 CN드림 21.02.13.
6364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일선 근로자에 110만원 보너스 지급 CN드림 21.02.13.
6363 캐나다 트럼프 탄핵에 트뤼도 총리 발언 인용...트뤼도와 트럼프 악연 퇴임 후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3.
6362 캐나다 11일 현재 BC주 2차 접종자 1만 5684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3.
6361 캐나다 불법 마약에 1700명 이상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3.
6360 캐나다 한국국적자도 한국 입국시 음성확인서 의무제출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2.
6359 캐나다 ‘BC주 의료 전산 사이버공격에 매우 취약’ 감사원 지적..."남의 정보로 치료받을 수도"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2.
6358 캐나다 BC주 코로나 방역명령 위반 벌금 90%가 체납...52% 법원 이의신청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