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 주도한 시위에 수천 명 시민 응답, 어린 학생들도 참여 … 트럼프 대통령, “수정헌법 2조 폐지 없다”

 

 

노건.jpg

달라스 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에는 부모를 따라 집회에 참여한 많은 어린 아이들이 참석했다. 
 

지난 24일(토) 강력한 총기 규제법의 입법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가 전국적으로 열린 가운데 달라스에서도 수천 명이 모였다.

 이번 전국적 집회는 지난달 총기 참사로 17명이 숨진 플로리다 주 마조리 스턴맨 더글라스 고등학교의 생존자들을 비롯한 학생들이 주도했다. 

달라스에서도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집회에 참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모의 손을 잡고 집회의 참여한 어린 학생들의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어린 학생들은 ‘우리의 생명이 당신의 총보다 중요하다’(My life is more important than your guns), ‘두려움 없는 미래 유권자’(Fearless future voters), ‘다음은 내 차례 (총격 사건으로 인한 희생)인가요’(Am I next?) 등이 적힌 팻말을 들고 총기 규제를 촉구하기 위해 벌어진 행진에 발걸음을 내디뎠다. 

행진을 마치고 다시 시청 앞 광장에 집결한 자리에서는 달라스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무대에 올라 현행 총기 제도가 가진 문제점과 두려움에 대해 설명하며 강력한 총기 규제법이 시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리운트 딘 학생은 마틴 루터 킹목사의 연설을 인용해 “나에게는 나와 내 친구들이 총에 맞을 수 있다는 두려움 없이 학교에 다닐 수 있을 것이라는 꿈이 있다”, “달라스를 지나는 사람들이 누군가 나를 겨누고 있다는 두려움 없이 길을 걸어 다닐 수 있을 것이라는 꿈이 있다”고 연설했다. 

또 “총기 규제에 관해 아무도 일어나지 않는다면 우리 학생들이 규제를 만들기 위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정치가들이 마침내 인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꿈이 있다”고 말했다.  

총기8.jpg


트럼프 대통령의 총기 규제 방안

플로리다 스톤맨 더글라스 고등학교에서 고교생 총격 사건이 발생한 이후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은 “교사들의 무장”이 학교에서 발생하는 총기 사건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 제시해 큰 논란을 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월 21일(수) 백악관에서 총기 난사 사건을 겪은 학생과 학부모들과의 면담 자리에서 “총기에 능숙한 교사가 있다면 총기 공격을 아주 신속하게 잘 끝낼 것이다”고 말하며 학교에 훈련 받은 무장 교사가 있다면 경찰이 출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이전에 총기 공격을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내놓은 총기 사건의 대책에 대해 큰 논란을 빚자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 “군대나 특별 훈련을 거친 능숙한 교사들에게 은닉 총기를 줄 가능성을 검토하자는 것”이라 해명했지만 시민들의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8일(수) 트위터에 “수정헌법 2조는 절대 폐지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1791년 제정된 미 수정헌법 2조는 ‘무기를 소장하고 휴대하는 국민의 권리는 침해될 수 없다’는 것으로 총기 소지의 자유를 옹호하는 시민들이 주장하는 내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NRA를 두려워하지 말고” 총기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지만 강력한 총기 규제를 암시하는 정책을 발표하지는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NRA의 편을 들어주리라고 판단하고 있다. 자금 감시기관인 비영리 단체 ‘책임정치센터(CRP)’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대선 때 NRA는 트럼프 후보 지지에 980만 달러,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후보 반대에 1970만 달러를 지원했다고 발표했다. 

 대다수 미국인들은 트럼프의 총기 규제 발언이 사탕발림일 뿐이고, 오히려 대통령 위에 NRA가 군림한다고 볼 정도다.

 

LIFE.jpg


전미 총기협회(NRA)의 반응

지난 24일(토) 열린 집회 직후 NRA는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나 28일(수) 트럼프 대통령의 ‘수정헌법 2조 폐지 불가’ 발언 이후 반격에 나섰다. 

NRA TV의 그랜트 스티치필드 진행자는 “헌법을 들고 선서를 했던 사람(스티븐스 전 대법관)이 이제 그것을 버리려 한다”고 말했다. 스티븐스 전 대법관은 전날 “수정헌법 2조는 18세기의 유물이며, 이를 폐지함으로써 총기 폭력에 대응할 지속적인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스틴치필드는 “당신의 말과 소망 리스트는 미국의 수치며, 우리가 소중하게 지켜온 가치에 먹칠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fearless.jpg

 

 

전지호 기자  press4@newskorea.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77 캐나다 캐나다, 육로 국경에서도 COVID-19 검사 결과 요구 Hancatimes 21.02.16.
6376 캐나다 퀘벡주, 몇 주 만에 가장 낮은 COVID-19 확진자 기록 및 비필수 상점들 다시 개장 Hancatimes 21.02.16.
6375 캐나다 몬트리올, “다운타운지역 무료 주차 정책 2월 말까지 연장” file Hancatimes 21.02.16.
6374 미국 몰아친 2월 한파... 애플 앱 "플로리다 눈 내린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73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장소 늘어난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72 미국 톰 브래디의 탬파베이, 18년 만에 슈퍼볼 우승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71 미국 플로리다 소도시, 2월 첫 주를 '트럼프 주간'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70 미국 신종 코로나 '온라인 수업' 1년... "학력 격차 커지고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69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어디까지 왔나? file 코리아위클리.. 21.02.13.
6368 캐나다 캐나다 주거지 제한속도 시속 40Km 확정 file CN드림 21.02.13.
6367 캐나다 "규제 피해가 바이러스보다 훨씬 더 심하다" CN드림 21.02.13.
6366 캐나다 캐나다 실내 체육관 50%, “재정난 심각, 두 달도 못 버텨” CN드림 21.02.13.
6365 캐나다 캐나다 오일 생산, 팬데믹 이전 수준 회복 CN드림 21.02.13.
6364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일선 근로자에 110만원 보너스 지급 CN드림 21.02.13.
6363 캐나다 트럼프 탄핵에 트뤼도 총리 발언 인용...트뤼도와 트럼프 악연 퇴임 후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3.
6362 캐나다 11일 현재 BC주 2차 접종자 1만 5684명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3.
6361 캐나다 불법 마약에 1700명 이상 사망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3.
6360 캐나다 한국국적자도 한국 입국시 음성확인서 의무제출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2.
6359 캐나다 ‘BC주 의료 전산 사이버공격에 매우 취약’ 감사원 지적..."남의 정보로 치료받을 수도"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2.
6358 캐나다 BC주 코로나 방역명령 위반 벌금 90%가 체납...52% 법원 이의신청 file 밴쿠버중앙일.. 21.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