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태극기의 섬, 항일운동 성지 소안도(4)
Newsroh=장기풍 칼럼니스트
소안도와 북청과 함께 항일운동 3대 성지인 동래는 지금은 인구 355만의 부산직할시에 속한 일개 구(區)지만 일제시대 전에는 부산전체가 동래부 관할이었다. 1876년 조일수호조약으로 부산포가 개항된 다음해부터 일본은 영사관리를 파견해 치외법권적 일본인 거주지를 만들어갔다. 일본은 2백호도 못되는 일본인 보호를 빌미로 부산을 사실상 일본영토처럼 통치했다. 이들은 장기적인 도로계획을 세우고 가옥구조를 규제하고 철도부설측량까지 끝내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려는 야심을 착착 진행했다. 이에 따라 부산은 개항 10년도 안 돼 소수의 일본인이 다수의 조선인을 지배하는 구조가 되었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되고 부산은 일본에서 대륙으로 통하는 관문이 되었다.
일본은 조선을 합병한 뒤 동래를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분할했다. 부산항을 식민지 탈취물자를 실어 나르는 항구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인들은 동래에 온천장을 만들어 일본인 온천촌을 형성하고 벚꽃을 심어 일본과 비슷한 경관을 만들었다. 조선 사람들은 주로 옛 동헌 부근 동래시장 인근에 모여 살았다. 일제시기 내내 두 지역 간의 알력이 심했다. 이런 역사적 배경과 현실에서 소수의 친일 조선인을 제외한 부산지역 특히 동래 조선 사람들의 반일감정은 깊을 수밖에 없었다.
동래중학교는 항일운동 성지 중의 성지다. 동래공립중학교는 사립동명학교가 1916년 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1925년 공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전환되었다가 1938년 4월 동래공립중학교로 개칭된 것이다. 해방 후 1951년 동래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당시 동래고보 지리교사 김병규(전 경남지사) 선생은 몰래 한국사를 학생들에게 가르쳐 민족의식을 높여주었다. 서울의 3.1운동은 다음날 동래에 전해지면서 독립선언문이 부산과 동래에 배포되었다. 3월7일 서울의 학생대표가 동래고보 학생들에게 독립선언서를 전달하고 봉기를 권유했다. 10일에는 경성고등공업전문학교 학생 곽상훈(1896~1980 전 국회의장)이 동래고보 수학교사 이환을 찾아 독립선언서를 보이면서 의거를 상의했다. 이에 이환이 동래고보 학생의거 고문역할을 맡음으로써 의거계획은 착착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독립선언서를 인쇄하고 태극기와 독립만세기를 제작해 3월13일 동래 장날 시위를 단행했다. 학생대표 엄진영이 군청정문 망미루에 올라 태극기를 흔들면서 대한독립만세를 선창하자 주위에 모인 수천 명 군중이 일제히 호응해 만세를 불렀다. “대한독립만세”라고 쓰여진 기치가 세워지고 독립선언서와 전단이 뿌려져 삽시간에 동래는 흥분의 도가니로 변했다. 동정을 살피던 조선인 경관과 보조헌병도 모자와 제복을 벗어버리고 만세에 가담했다. 감격적이었으나 기마병들과 헌병이 들이닥쳐 발포하면서 학생들을 검거했다. 엄진영 등 24명이 검거되어 4개월부터 1년 6개월까지 형을 받았다. 학생들을 배후에서 지도한 곽상훈은 서울에서 상해로 망명하기 전날 검거되었다가 8개월 만에 석방되었다. 동래 학생의거는 다음 장날에도 계속되어 주민들은 독립만세를 부르면서 경찰서로 몰려가 시위를 펼쳤다.
3월11일에는 당시 미션스쿨이던 일신여학교(현 동래여고)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났으며 13일에는 동래고보(현 동래고) 학생들이 대규모시위를 펼쳤다. 18일과 19일에는 범어사가 설립한 불교계 명정학교(현 금정중학교) 학생과 지방학림학생, 군중들이 함께 한 범어사 의거가 터졌다, 범어사 의거는 서울에서 내려 온 만해 스님과 당시 주지 성월 스님이 주동했다. 29일에는 구포에서 장날 대형태극기와 현수막을 앞세운 대규모 집회와 주재소를 습격한 구포 의거가 있었다. 이중 일신여학교 저항운동은 기억할 만하다. 일본군경은 여학생 전원과 여교사를 검거해 주모자를 대라고 위협했다. 이때 학생과 교사들은 자신들이 모두 주동이라고 외쳤다. 위협에 화가 치민 여학생 김응수는 “세살 먹은 아이도 제 밥을 빼앗으면 달라고 운다. 우리들이 우리나라를 돌려 달라고 시위하는데 무엇이 나쁘냐?“며 저항했다. 여학생 11명과 교사 2명은 수감 기소되어 여학생들은 징역 6월, 여교사 2명은 징역 1년6월 씩 언도받았다. 여학생이 아닌 16세 마을처녀 박연도 학생들과 같이 행동해 옥고를 치렀다.
일신여학교는 또한 박차정(朴次貞 1910~1944)이란 불세출의 여성 독립운동가를 배출했다. 조선이 일본에 빼앗긴 해 태어난 박차정의 부친 박용한(朴容翰)은 순종 때 탁지부 주사를 역임한 측량기사였다. 그는 일제의 무단통치에 항의해 1918년1월 유서를 남기고 자결했다. 어머니 김맹련은 항일운동가 김두봉(金枓奉) 사촌이며 김약수(金若水)와는 육촌이다. 박차정 오빠 박문희는 신간회에서 활동했고 둘째오빠 박문호는 의열단에서 활동한 독립운동 가족이다. 박차정은 항일운동하면서 박철애, 임철애, 임철산 등 가명을 사용했다. 1929년 일신여학교를 졸업한 그녀는 여성의 단결과 의식훈련을 통해 정치 경제 사회적 이익을 옹호하고 반제국주의 반봉건운동을 목적으로 1928년 조직된 근우회 동래지부에 가입하면서 항일운동에 뛰어들었다. 그녀는 근우회에서 선전과 출판을 담당했다. 근우회는 1929년 광주 학생운동과 1930년1월 서울 여학생 시위운동을 배후에서 지도했는데 박차정이 중심역할 했다. 이 사건으로 구속되었다 풀려난 그녀는 중국에서 의열단으로 있던 둘째 오빠 박문호가 보낸 청년을 따라 중국으로 망명해 의열단 핵심멤버로 활약했다.
1931년 김원봉(金元鳳)과 결혼한 박차정은 여자 독립군학교 교관으로 교양과 훈련을 담당했다. 그녀는 조선민족혁명당 기관지 발행에도 관여하고 이청천(李靑天) 장군 부인 이성실과 조선민족혁명당 남경 조선부녀회를 결성하는 등 여성 민족해방운동을 담당했다. 한구(漢口)에서 열린 만국부녀대회 한국대표로 참가하고 장사(長沙)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파견되어 일본에 대한 라디오 방송도 하고 도산 안창호 추도회를 개최하는 등 동분서주했다. 박차정은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단장이던 1939년 2월 강서성(江西省) 곤륜산 전투에서 입은 부상 후유증으로 1944년 5월27일 34세로 사망했다. 남편 약산(若山) 김원봉은 48년 남북협상 때 월북해 노동상 등을 역임했으나 58년11월 숙청당했다. 부산시는 2001년 박차정 동상을 금정구에 건립하고 매년 5월27일 박차정 의사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이렇듯 동래의 항일운동은 다양하게 계속되었다. 동래의 항일운동은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 놀랍고도 커다란 의미가 있다. 다음 글에서 살펴본다.
<계속>
*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빈무덤의 배낭여행기'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bm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