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한국교육원(원장 정일형)과 한국 교육부가 주관한 2018년 뉴질랜드 교장단 한국방문연수(2018 Koran Study Tour)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연수는 4월 14일부터 4월 21일까지 7박 8일 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뉴질랜드 교장(및 교사 등 총 15명이 참가하여 한국 교육 현장을 탐방하고 다양한 문화 및 역사 체험과 시설을 견학하였다.

 

 

특히 이번 연수에서는 뉴질랜드의 에반스베이 중학교(Evans Bay Int. school)와 부산 동궁초등학교 간 자매학교 협약(MOU)을 체결하고 올 4월부터 화상수업을 통한 교육 교류를 시작하기로 하였으며 향후 학생 교류 등 양 학교 간 협력을 점차 확대하기로 하였다. 

 

fb5d6ff91715ec405aa8256d19a95ed5_1525167 

<에반스베이중-동궁초 MOU 체결>           <동궁초 화상교류수업 시연>

 

 

 

아울러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및 국제교류협력학교에 대한 브리핑을 듣고 우수 학교인 산의초등학교를 방문하여 한국 교육제도 및 학교 간 국제 교류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를 높이는 시간을 가졌다. 

  

fb5d6ff91715ec405aa8256d19a95ed5_1525167
<경기도교육청 간담회>                        <산의초 수업참관>

 

 

또한 부산 UN 기념공원과 DMZ, 주한 뉴질랜드대사관뿐만 아니라 경주 불국사용인 한국민속촌경복궁, K-Style 허브 전시관난타 공연장 등을 방문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두루 체험하였다.

 

 

fb5d6ff91715ec405aa8256d19a95ed5_1525167
<경복궁 탐방>                               <K-Style 허브 전시관 탐방>

 

 

뉴질랜드 교장단은 한국의 환대에 깊은 감사를 표하면서 앞으로 학생교직원학교 이사회 및 지역의 학교 클러스터들과 한국연수경험을 공유하고 한국 및 한국어 교육에 대한 뉴질랜드 의 이해와 관심을 증진시켜 나갈 것이라 입을 모았다.

정일형 뉴질랜드한국교육원장은 한뉴 FTA 체결한류의 영향 등으로 뉴질랜드 내 한국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이번 뉴질랜드 교장단 한국방문연수가 뉴질랜드 초중등학교의 한국어 과목 채택 및 한뉴 교육교류협력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현재 33개 학교가 뉴질랜드 초중등학교 한국어 과목을 채택하고 있으며, 2013년 10개 였으며, 2014년에는 17개 , 2015년에는 15개, 2016년에는 30개 였었다.

 

또한 이번 연수에 지원을 아끼지 않은 공주대학교 한민족교육문화원(원장 양병찬)과 한국관광공사 시드니지사(지사장 김태환)에게 깊은 감사의 표시를 전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1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0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9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8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7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6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5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4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3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2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1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9 호주 조지 펠 추기경, 바티칸 재정장관 사임 밝힐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8 호주 비판 직면 ‘곤스키’ 교육개혁, 향후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7 호주 주식시장 회복... 상위 부자 자산, 빠르게 늘어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6 호주 시드니 폭풍, 콜라로이-나라빈 지역 ‘심각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유권자 조사, 노동당 지지도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 other signs-2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3 호주 한정된 공급, 주택구입자-투자자 가격경쟁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2 호주 뇌졸중 발병 요인, 국가 소득 수준 따라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1 호주 최근 개통 베넬롱 브릿지, 승용차 불법 운행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지역 추가 버스노선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9 호주 정규 과정서 제2외국어 선택 학생,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8 호주 빌 쇼튼 대표, “투표로 복지 축소 막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7 호주 “의료복지 예산 삭감, 그 피해는 우리들 모두...”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6 호주 “호주 정부, 지난 20년 넘게 유엔 아동협약 위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5 호주 “다문화 사회에서 반차별법의 축소나 변경은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4 호주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상당’... 평균 38%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대표의 선거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2 호주 대화의 기술... 직장 내에서 피해야 할 말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1 호주 모스만의 낡은 주택, 300만 달러도 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20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9 호주 “불명예 전역 간부후보생 자살은 교육대 가혹행위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8 호주 ATO, 업무용 경비 세금환급 부문 집중 조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7 호주 이너 웨스트 카운슬 행정관, ‘조기선거 가능’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6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실업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 주택정책이 판세 가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의 시드니 서부 관련 공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2 호주 NSW Budget- 기반시설 투자 집중...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1 호주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개장 2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브렉시트 불안감’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9 호주 왕립위원회, “군 내 성범죄는 국가적 망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8 호주 시드니 동부 역사적 건축물, 매각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7 호주 리드 지역구 후보들, 연방 정부 교육정책 토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6 호주 시드니 남서부 워윅팜 기차역서 승객 사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5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4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3 호주 호주 가정 음식 폐기물, 연간 8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2 호주 대중교통 시설의 갖가지 세균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