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곤스키 1).jpg

최근 제출된 곤스키 보고서가 기존 호주 교육 시스템에 대한 재점검과 함께 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제안했다. 사진은 HSC 시험을 치르고 있는 NSW 주 하이스쿨 학생들.

 

“집단교육 시스템 버리고, 새 학생 평가기준 수립해야...” 촉구

연방 정부, 각 주 교육부와 논의해 보고서 제안 내용 수용 방침

 

‘곤스키 보고서’가 호주 교육 시스템이 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맞춤형 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금주 월요일(30일) ABC 방송에 따르면, 최근 연방 정부의 의뢰에 따라 교육 사업가 데이비드 곤스키(David Gonski)의 주도로 진행된 교육 정책 검토보고서 ‘Through Growth to Achievement: Report of the Review to Achieve Educational Excellence in Australian Schools’가 제출됐다. 보고서는 “현재 학년에 기반을 둔 제한적 커리큘럼은 학생들의 잠재력을 발굴하고 최대화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학생 개인의 학업 역량에 맞춘 시스템으로 커리큘럼을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고서는 전체 학교에서 통용 가능한 온라인 평가도구를 만들어 교사들이 학생들의 읽고 쓰기 학업 성취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학년에 상관없이 학생 개개인의 서로 다른 학습계획을 제시해줄 수 있다고 보고서는 주장했다. 또한 공식 온라인 평가기준이 국가 전체에 보고될 경우 전국학력평가인 NAPLAN(The Natioanal Assessment Program–Literacy and Numeracy) 시험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집단교육 시스템,

학업증진에 장애물”

 

이번 보고서의 저자 곤스키씨는 “다수를 대상으로 한 호주의 집단교육 시스템은 20세기 구시대적 방식”이라고 비판하며 “현재의 경직된 커리큘럼과 평가 및 성적표 시스템이 호주 교육을 뒤처지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호주 교육 시스템에는 교사가 학생의 학업증진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실시간 받아볼 수 있는 학생 평가도구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다음 단계의 교습과정을 조언해줄 어떠한 체계도 없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또한 ‘NAPLAN’과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와 같은 전국 및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가 실행된다 하더라도, 이후 교사들에게 각 교실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진행하도록 도와주는 어떠한 자료도 없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일부 주 정부는 곤스키 보고서와 관련해 현재 모든 학교들이 획일화된 학생평가 도구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며 반박하기도 했다. 빅토리아(Victoria) 주 교육부는 다른 주와는 다른 평가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주장했다.

현재 호주에는 뛰어난 학생들의 학업증진을 위해 재능반이나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들이 있다. 그러나 곤스키 보고서는 학업수준이 다양한 학생들이 같은 반에서 함께 수업을 듣는 혼합교실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반을 능력별로 편성하게 될 경우 학생의 성적 향상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으며, 부정적인 효과만 나타날 뿐이라고 말했다.

 

종합(곤스키 2).jpg

‘곤스키 개혁’의 실무자이자 이번 보고서 저자인 데이빗 곤스키(David Gonski)씨. 그는 “다수를 대상으로 한 현 호주의 교습방식은 20세기 구시대적 모델”이라고 지적했다. 사진 : aap

 

보도에 따르면 연방 정부는 이번 곤스키 보고서가 제안한 모든 사항들을 수용하고 향후 교육시스템에 적용하겠다고 동의한 상태이며, 해당 보고서를 국가 전체 교육 시스템 개발을 위해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는 입장이다.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총리는 “지난 20년간 하락세를 이어온 호주 학생들의 수리-읽기-과학부문 학업 성취도를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이 시급하다는 것을 이번 보고서에서 강조하고 있다”며 “이제 이를 위한 청사진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사이먼 버밍엄(Simon Birmingham) 연방 교육부 장관은 각 주 및 테러토리 정부들과 함께 곤스키 보고서의 제안을 실행할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버밍엄 장관은 “이 보고서를 통해 각 학생들이 12학년에서 13학년 까지 매년 자신의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을 구상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교사는 학업과 관련한 학생의 현재 위치와 함께 이 학생이 얼마나 진전을 보이고 있고,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는 지를 가늠할 수 있어야 하며, 학부모 또한 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도에 따르면 교육 위원회는 오늘(4일, 금) 곤스키 보고서가 제안한 여러 사항들을 높고 특별 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곤스키씨는 2011년 길라드(Julia Gillard) 정부 시절부터 호주 교육체계 및 학교 지원금 모델과 관련한 조사 및 보고서를 의뢰받아 수행하고 있다. 곤스키씨는 ‘곤스키 법안’으로 알려진, 수요에 기반한 학교 예산지원 모델을 만든 인물이다.

 

■ 곤스키 보고서가 제안한 기타 방안들

-year 11과 12 학생들의 커리큘럼 및 학력평가를 검토할 수 있는 국가적인 조사체계 수립

-국가 조사 기관 설립

-자율적인 학교 운영 실행

-우수 교사에 대한 더 많은 보상 제공

-현 A-E 성적체계 점검 및 학업성취도 측정체계로 대체

-학생이 학교를 옮기거나 다른 주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상관없이 시간에 따라 학생 개개인의 수준과 진도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개별 학생 식별’(unique student identifier) 시스템 실시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곤스키 1).jpg (File Size:72.9KB/Download:16)
  2. 종합(곤스키 2).jpg (File Size:47.1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01 호주 촛불만큼 뜨거운 시드니 동포들의 ‘특별법’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7.24.
6500 호주 호주 현지 요리사들, 다양한 재료의 비빔밥 선뵈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9 호주 말레이시아 항공기 격추... 호주인 희생자 36명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8 호주 전 세계 민간 항공기 격추, 최대 인명 피해 5건은...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7 호주 탄소세 폐지 불구, 애보트 정부 지지율 하락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6 호주 탄소세 폐지 법안, 연방 상원에서 가결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5 호주 탄소세 관련 Timeline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4 호주 ACCC, ‘탄소세 폐지에 따른 제품가격 인하’ 조사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3 호주 시드니 도심, 2침실 아파트에 최대 14명까지 입주시켜 file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2 호주 “주택가격 연간 상승 2.4% 미만이면 임대, 경제적” 호주한국신문 14.07.31.
6491 호주 ‘세월호 참사 특별법’ 청원 서명, 시드니서 1천280명 확보 호주한국신문 14.07.31.
6490 호주 올 한국영화제, 호주 전역 6개 도시로 확대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9 호주 연방 경찰, 이라크 테러 가담 호주인에 체포영장 발부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8 호주 호주사업위원회, “호주는 근본적 사고 변화가 절실하다”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7 호주 시드니 카운슬, 도심에 800만 달러 규모 예술품 설치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6 호주 ‘크라운’ 슈퍼 펜트하우스, 호주 최고가 주택 될 듯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5 호주 까다로운 실업수당 조건, 구직자를 범죄로 내몰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4 호주 연방 정부, 새 고용 서비스 모델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3 호주 NSW 주, 말기환자 위한 대마초 사용 합법화 추진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2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1 호주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사진으로 보는 참전 호주군들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0 호주 시드니 주택경매 낙찰률 4주 연속 77% 이상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9 호주 “통일 한국은 동북아 및 세계 평화의 중심...”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8 호주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제17대 회장단 출범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7 호주 한국문화원, 영화제 알리기 적극 나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6 호주 어번 보타닉 가든, 8월16일(금) ‘벚꽃축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5 호주 인종차별, 학생들에게 무력감 배가시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4 호주 전 시드니 대주교 에드워드 클런시 추기경 선종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3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2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1 호주 호주 군 섹스 스캔들 핵심 멤버 프레데릭슨, ‘유죄’ 인정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0 호주 People power, 기차역에서 위험 처한 시민 구해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9 호주 10대 청소년들, 유태인계 학생 대상 인종 학대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8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7 호주 치사율 최대 90%...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 확산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6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법 개정안 추진 철회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5 호주 파라마타,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4 호주 제5회 호주 한국영화제, 이벤트 시네마서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3 호주 “건국절 제정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위배”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2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1 호주 숙명여대 음대생들, 시드니대학서 연주회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0 호주 시드니 주택 가격, 올 2분기 3.1%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9 호주 NSW 주 하원의원 2명, 부패 혐의로 의원직 사퇴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8 호주 NSW 주 정부, 고속도로 제한 속도 상향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7 호주 정부, 취약 계층에 GP 진료비 $7 면제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6 호주 호주 노동자 임금 인상, 물가 상승 못 따라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5 호주 “중동 지역 긴장으로 호주내 인종차별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4 호주 12세 딸 불법 결혼시킨 아버지, 첫 범정 심리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3 호주 맹견 공격으로 이웃집 남성 손가락 절단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2 호주 기획①-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호주한국신문 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