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아리랑 신미미 대표 및 회원 전통 국악 아름다움 뽐내며 한국 문화 소개 … 다양한 아시안 문화 선보여

 

 

아시안 상공회 단체.jpg

2018 아시안 페스티벌에 참가한 달라스 아시안 상공회 회원들이 기념 사진을 촬영했다.

달라스 아시안 상공회(GDACC, 회장 크리스텔 로코(Chritel Roco)가 주최한 2018 아시안 페스티벌이 지난 29일(일) 오후 12시부터 다운타운에 위치한 클리데 워렌(Klyde Warren)공원에서 열렸다. 

주류 사회 속 다양한 아시아 국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한국의 대표로 월드 아리랑의 신미미 대표와 회원들이 출연해 한국 국악을 주류 사회에 올리는 한편 태권도를 선보이는 자리도 마련됐다. 

늘어난 아시안 인구를 대변하듯 홈 디포(The Home Depot)가 메인 후원사로 참여했고, 맥도날드, 다트 등 8개 기업이 후원에 나섰고 주말을 맞아 행사장을 방문한 수백여 명의 관객들은 아시아 문화에 환호성을 지르며 매료됐다.

갈릴레오 후마워즈(Galileo Jumaoas) 사무총장의 사회로 시작된 행사에서는 본격적인 순서에 앞서 로코 회장의 축사가 있었다. 로코 회장은 “아시안 페스티벌을 찾는 관람객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 “아시아의 문화유산을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로코 회장은 홈디포 관계자에게 감사패를 전달하며 ‘2018 아시안 페스티벌’의 개막을 알렸다.

행사의 첫 순서는 중국 문화를 대표하는 화려한 용춤으로 시작됐다. 웅장한 북소리와 함께 등장한 용춤 공연 팀은 관람객들과 함께 호흡하며 축제의 분위기를 달궜다. 

가야금.jpg

중국의 가야금이라 불리는 전통악기 고쟁 연주가 이뤄졌다. 

이어진 공연은 중국의 가야금이라 불리는 전통악기 고쟁 연주가 이뤄졌다. 평소 접할 수 없었던 동양의 전통 선율에 관람객들은 귀를 기울였다. 

중국 팀의 공연이 끝나고 ‘영 다이너마이트’라 불리는 인도 출신 아이들의 전통춤 공연이 열렸다. 아이들의 서툴지만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 관객들은 힘찬 박수를 보냈다.   

아시안상공회 인도애.jpg

인도 아이들의 전통 춤 공연 모습
 

이어서 일본의 전통 타악기인 디이코(북) 공연 등 여러 아시아 국가들의 전통 공연들이 차례로 진행됐다.

상공회 북.jpg

일본 팀의 디코(북) 공연 모습

한국 팀의 공연도 빼놓을 수 없는 순서였다. 주류 사회에 전통 국악을 알리기 위해 힘쓰는 월드 아리랑의 신미미 대표와 회원들이 선보인 국악 공연은 관객들을 압도했다.

월드 아리랑의 설장구, 진도 북춤, 아리랑 메들리 공연이 이어졌고 아리랑 공연을 맡은 신 대표는 기존에 알려진 가사가 아닌 예전 조상들이 실제로 부른 가사를 재현한 아리랑을 열창했다. 공연 중에는 무대를 내려와 관객들과 같이 뛰며 함께 공연했다. 

미미신.jpg

월드 아리랑의 신미미 대표가 아시안 페스티벌에 참여해 국악을 선보였다. 

공연이 끝난 후 한 한인 관객은 신 대표를 찾아 “전과는 다른 색다른 공연에 나 자신이 너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신 대표는 “지난 대회보다 규모가 더 커져 약간의 긴장감을 가지고 공연을 시작했지만 관객들의 환호 속에 무사히 공연을 마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국인으로 지금까지 갈고닦은 실력을 보여줌으로써 주류사회에 큰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주류 사회에 한인 문화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이유에 관해 설명했다. 

태권도123.jpg

아시안 페스티벌에서 태권도의 매력을 선보였다. 
한국의 태권도도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고요한 적막 속에서 발차기를 휘두를 때마다 나는 바람을 가르는 도복 소리에 관객 모두가 귀 기울이며 선수들의 절도 있는 동작 하나하나에 집중했다. 

이번 축제에는 달라스 경찰국도 참여해 시민 사회와 함께 하며 차세대 경찰을 꿈꾸는 아이들을 위한 설명회도 열렸다.

 

전지호 기자 press4@newskorea.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10 캐나다 ‘박 퇴진’ 토론토한인들..영화 ‘자백’ 상영 file 뉴스로_USA 16.11.30.
1009 캐나다 국정농단 실체는 누구인가? 밴쿠버중앙일.. 16.11.29.
1008 미국 조기대선시 재외국민 투표권 "보장 안돼" file KoreaTimesTexas 16.11.29.
1007 캐나다 짜장 짬뽕 전문점 ‘삼선’ 탄생 CN드림 16.11.29.
1006 캐나다 서영옥 시인, 출판기념회 열려 CN드림 16.11.29.
1005 캐나다 업소탐방) 캘거리 리딩타운 바시티 지점 CN드림 16.11.29.
1004 캐나다 실리콘밸리, 뜻이 있으면 이루어진다. 밴쿠버중앙일.. 16.11.29.
1003 캐나다 총영사관 워홀 참가자 간담회 밴쿠버중앙일.. 16.11.29.
1002 캐나다 총영사관-아태재단 컨퍼런스 밴쿠버중앙일.. 16.11.29.
1001 캐나다 KCWN 희망 프로젝트행사 밴쿠버중앙일.. 16.11.29.
1000 캐나다 11월 26일 오후 5시 박근혜 퇴진 촛불 집회 밴쿠버중앙일.. 16.11.29.
999 미국 민화협 뉴욕협의회 북한수해어린이 돕기 기금전달 [1] file 뉴스로_USA 16.11.28.
998 미국 美컬럼비아대 한인학생회, 이노비에 티셔츠 판매 수익금 전달 file 뉴스로_USA 16.11.27.
997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학에 한국어 과목 개설 코리아위클리.. 16.11.26.
996 미국 해외 韓학자 1009명 ‘박근혜 처벌’ 촉구 file 뉴스로_USA 16.11.26.
995 미국 美 이노비, 소외이웃 돌보는 릴레이 콘서트 file 뉴스로_USA 16.11.26.
994 미국 뉴욕한인회장 공금횡령사건 소송본격화 file 뉴스로_USA 16.11.26.
993 캐나다 영화 ‘자백’ 토론토 상영..최승호감독 영상대담 file 뉴스로_USA 16.11.25.
992 미국 ‘K-POP 사전’ 아마존 신간 1위 등극 file 뉴스로_USA 16.11.24.
991 미국 달라스 이성은양, K팝스타 다크호스로 주목 KoreaTimesTexas 16.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