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ra.jpg

전미총기협회(NRA)의 147회차 연례총회가 3일(목)열렸다. 이번 연례총회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마이크 펜스 부통령 등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했다. 
전미총기협회(NRA, 이하 총기협회)의 147회차 연례총회가 3일(목) 케이 베일리 허치슨 컨벤션 센터(Kay Bailey Hutchison Convention Center)에서 열렸다. 

이번 연례총회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금) 참석했으며 마이크 펜스 부통령, 그렉 애보트 텍사스 주지사, 피트 리켓 네브래스카 주지사, 공화당 소속 테드 쿠르즈 상원의원 등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후 12시 25분 달라스 러브필드 공항을 도착해 삼엄한 경비속에 행사장을 찾아 '리더쉽 포럼'(Leadership Forum)에 나와 연설했다. 

trumpnra.jpg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 전미총기협회의 연례회의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에서 직접적인 총기 규제 방안과 전미총기협회가 지난 대선 때 트럼프 대통령에게 건넨 후원금 등 총기협회와 관련한 내용들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여기 있는 사람이 진정한 애국자"라며 연설을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수정헌법 제2조의 존폐가 위기를 맞았으나 내가 대통령인 이상 수정헌법 2조가 폐지될 염려는 없다"고 말했다. 

수정헌법 2조는 1791년 제정된 법으로 '무기휴대의 권리'를 규정하며 무기를 소장하고 휴대하는 인민의 권리는 침해될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화) 포레스트 레인(Forest Lane) 인근 홈 디포 매장에서 발생한 경찰관 피격 사건 희생자에게 조의를 표하며 "우리는 많은 영웅들을 잃었으나 우리를 보호할 것(총기)는 맇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펜스.jpg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연례회의에 참석해 수정헌법 2조가 계속 지켜질 것이라 말했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연설에서 "총기를 소유할 수 있는 권리인 수정헌법 2조는 계속 지켜질 것이다"며 "법을 준수하는 시민들이 가진 총기는 미국을 더 안전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수정헌법 2조의 폐지는 최근 붉어진 총기 난사 예방의 핵심 쟁점으로 꼽히고 있다. 지난 2월 15일(목) 플로리다 마조리 스톤맨 더글러스 고교 발생해 17명이 사망한 총기 난사 사건에서 범인인 라스 쿠루스가 사용한 총이다. 

행사장에는 많은 NRA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산발적인 소규모 시위도 있었다. 

총기찬성.jpg

수정헌법 2조의 유지를 찬성하는 시위자가 총기를 휴대한 채 시위를 벌이고 있다.총기를 휴대한 채 행사장 앞에서 피켓을 들고 수정헌법 2조는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한 조나단 데이비스(Jonathan Davis)는 "트럼프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하는 수정헌법 제2조의 유지를 지지한다"고 밝히며 "힐러리 클린턴을 비롯한 어느 누구도 우리의 총기를 빼앗을 수 없다"고 말했다. 

총기 소지가 미국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믿는 그는 플로리다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에 대해 "물론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해 유감이고 희생자들에게 조의를 표하지만 총기뿐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 많은 사람을 죽일 수 있다"며 "이번 사건으로 인해 총기 규제를 시행한다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말했다. 

반대.jpg

                    AR-15의 개인 소지를 반대하는 시위자들. 
반면에 트리시아 렙쿠어셔(Tricia Lebkucecher)은 AR-15의 개인 소지는 금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총기로 인해 수많은 사람과 동물들이 희생당한다"며 "사냥을 위해 사용하는 AR-15이 결국 사람을 향한 총기 난사를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또 "미국 인구의 5퍼센트만이 사냥을 한다"며 "5퍼센트를 위해 AR-15의 소지를 인정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수정헌법 2조에 대해서 "총기 소지를 찬성하는 사람들의 권리를 침해할 수는 없으나 마찬가지로 어느 누구도 사람을 다치게 할 권리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녀는 수정헌법 2조의 전면적인 폐지를 동의하지는 않았다. 그녀는 "총기 소지를 지지하는 자들의 총기를 빼앗을 수는 없다 하지만 AR-15과 같은 공격용 총기의 소지는 금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전미총기협회의 연례회의는 오는 6일(일)까지 열린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10 캐나다 ‘박 퇴진’ 토론토한인들..영화 ‘자백’ 상영 file 뉴스로_USA 16.11.30.
1009 캐나다 국정농단 실체는 누구인가? 밴쿠버중앙일.. 16.11.29.
1008 미국 조기대선시 재외국민 투표권 "보장 안돼" file KoreaTimesTexas 16.11.29.
1007 캐나다 짜장 짬뽕 전문점 ‘삼선’ 탄생 CN드림 16.11.29.
1006 캐나다 서영옥 시인, 출판기념회 열려 CN드림 16.11.29.
1005 캐나다 업소탐방) 캘거리 리딩타운 바시티 지점 CN드림 16.11.29.
1004 캐나다 실리콘밸리, 뜻이 있으면 이루어진다. 밴쿠버중앙일.. 16.11.29.
1003 캐나다 총영사관 워홀 참가자 간담회 밴쿠버중앙일.. 16.11.29.
1002 캐나다 총영사관-아태재단 컨퍼런스 밴쿠버중앙일.. 16.11.29.
1001 캐나다 KCWN 희망 프로젝트행사 밴쿠버중앙일.. 16.11.29.
1000 캐나다 11월 26일 오후 5시 박근혜 퇴진 촛불 집회 밴쿠버중앙일.. 16.11.29.
999 미국 민화협 뉴욕협의회 북한수해어린이 돕기 기금전달 [1] file 뉴스로_USA 16.11.28.
998 미국 美컬럼비아대 한인학생회, 이노비에 티셔츠 판매 수익금 전달 file 뉴스로_USA 16.11.27.
997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학에 한국어 과목 개설 코리아위클리.. 16.11.26.
996 미국 해외 韓학자 1009명 ‘박근혜 처벌’ 촉구 file 뉴스로_USA 16.11.26.
995 미국 美 이노비, 소외이웃 돌보는 릴레이 콘서트 file 뉴스로_USA 16.11.26.
994 미국 뉴욕한인회장 공금횡령사건 소송본격화 file 뉴스로_USA 16.11.26.
993 캐나다 영화 ‘자백’ 토론토 상영..최승호감독 영상대담 file 뉴스로_USA 16.11.25.
992 미국 ‘K-POP 사전’ 아마존 신간 1위 등극 file 뉴스로_USA 16.11.24.
991 미국 달라스 이성은양, K팝스타 다크호스로 주목 KoreaTimesTexas 16.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