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아시아 1).jpg

호주의 민간 국제정치 연구기관인 로위 연구소(Lowy Institute)가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한 포괄적 연구 중 하나로 아시아 지역 25개 국가 파워를 분석, ‘Asia Power Index’를 정리했다. 8개 카테고리의 점수를 산정한 이번 연구 결과 호주는 동남, 극동 아시아 지역에서 6위에 올라 있으나 2030년 경 국가 파워가 크게 축소될 것으로 진단됐다.

 

‘Lowy Institute’의 ‘Asia Power Index’... 13위로 하락 예상

 

오는 2030년경 호주의 힘은 아시아의 중요한 중견 국가에서 중간 규모로 축소될 것이며 미국은 중국과 힘의 우위에서 밀리게 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호주 독립 국제정치 연구소인 로위 연구소(Lowy Institute)가 분석한 ‘아시아 파워 인덱스’(Asia Power Index) 보고서 내용으로, 이번 연구는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국가 파워 변화를 진단한 가장 포괄적인 분석이다.

로위 연구소의 이번 아시아 파워 랭킹은 미국과 함께 동남, 극동 아시아 25개 국가를 대상으로 경제 자원에서 국방비 지출, 문화, 외교적 영향에 이르는 8가지 카테고리 114개 지표를 분석해 순위를 매긴 것이다.

로위 연구소의 이번 분석 결과는 현재 나타나고 있는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변화 역동성, 보다 정확히는 중국이 스스로 힘을 배가하고 있음을 확인해 주는 내용이지만 세부적으로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 추세임을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이다.

이번 연구 결과 미국은 여전히 중국에 크게 앞선 힘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은 프로젝트 규모 면에서 100점을 기준으로 중국(75.5)보다 앞선 85.5점으로 진단됐으며, 가장 가까운 경쟁국인 일본이 42.1점으로 중국의 뒤를 이었다.

호주는 현재 전체 32.5점으로 6위의 국가 파워를 갖고 있지만 주변 국가들의 빠른 성장, 특히 경제 규모-국방비 지출-노동인구 측면에서 뒤쳐져 오는 2030년에는 태국에 이어 13위로 내려앉을 것으로 진단됐다. 미국은 이 시점까지 여전히 중국을 앞설 것으로 보이며 인도는 가장 많은 노동인구를 가진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로위 연구소 대표인 마이클 풀릴로브(Michael Fullilove)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호주는 대다수 국민과 정책 입안자들이 이해하고 있는 것보다 더 강력하며 아시아 지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다 자신 있게 드러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노동당 케빈 러드(Kevin Rudd) 정부 당시 추진한 다자외교 구축 노력, 그리고 러시아의 MH17 격추 의혹과 관련해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전 총리가 푸틴(Vladimir Putin) 대통령을 향해 ‘shirtfront’(호주 풋볼에서 나온 용어로 상대를 피하지 않고 대적한다는 의미)하겠다고 언급한 내용을 예로 들면서 “아마도 문화적 위축감에 대한 결과로 호주인들은 호주의 국가 파워를 과대평가하는 정치인들에게 조롱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럼에도 호주의 지도자들은 아시아 지역 권위에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고 언급한 풀릴로브 박사는 “이번 파워 인덱스는 호주가 아시아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일관되게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일 뿐 아니라 호주는 이 지역의 파워 균형을 위한 영향력 행사를 주저하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 호주가 외교 및 국방 관계의 폭과 깊이는 물론 제도적 안정성에서 핵심적인 강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호주의 문화적 영향은 호주의 고등교육 부문 성장으로 더욱 강화되었다는 진단이다. 결과적으로 이번 인덱스는 ‘잠재적 위협에 대한 국가적 능력 수치’를 보여주는 회복력(Resilience) 부문에서 세 번째 국가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연구 프로젝트 책임자인 허브 레마이우(Herve Lemahieu) 연구원은 이번 인덱스가 보여주는 지역 내 파워와 그 드러난 결과에 대해 “각 국가의 모든 자원을 합한 것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번 연구 결과 효과적인 외교 능력, 문화, 비즈니스 네트워크, 안정적 제도와 지도력을 가진 국가들의 파워가 인구 규모 면에서 유리한 국가를 능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시드니보다 인구 규모가 적은 싱가포르는 이번 조사대상 지역 국가들 가운데 8위에 올라 있다. 이 같은 척도에서 호주는 전반적 부문에서 국가 파워를 잘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파워 갭’(power gap)으로 분류된 한 핵심 측정에서 호주는 이번 조사 대상 지역 국가 중 가장 확연한 ‘초과 성취’로 분석됐다. ‘파워 갭’은 한 국가의 전체 힘과 가용 자원이 주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힘의 차이를 측정한다. 이 부분에서 호주는 100점을 기준으로 하여 7.3의 긍정 점수로 3위에 올라 있다. 미국의 긍정 점수는 0.2점, 중국은 3점의 부정적 점수로 분석됐다.

레마이우 연구원은 반면 호주의 약점도 있다고 말했다. 호주는 아시아 지역 국가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무역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그 투자 패턴은 영국 중심으로 남아 있으며, 기술 활용과 개발에서는 대만과 같은 다른 중견 국가에 뒤처져 있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 경제가 국익과 부합되기를 바란다면 아시아 지역 국가에 대한 투자가 더 많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풀릴로브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교역 대상국으로써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다른 중견 국가들에 비해 너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지역 내 국가들과의 관계 관리를 위한 포트폴리오 접근 방식 일환으로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등의 국가들과 보다 긴밀한 경제협력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특히 “중국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는 중국의 의도적 조종에 취약하고 결국 호주 국익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풀릴로브 박사는 “이번 파워 인덱스는 중국의 임박한 지역 지배력의 엄청난 규모를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그렇다고 이로 인해 향후 지역 내 국가간 갈등이 임박했다고는 보지 않는다”면서 “오히려 중국의 부상이 기정화됨으로써 호주와 같은 국가들이 지역간-국가간 이해와 충돌하는 요구에 기꺼이 맞서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Asia Power Index 2030

(랭킹. 국가 : 점수)

1. Unites States : 85.0

2. China : 75.5

3. Japan : 42.1

4. India : 41.5

5. Russia : 33.3

6. Australia : 32.5

7. South Korea : 30.7

8. Singapore : 27.9

9. Malaysia : 20.6

10. Indonesia : 19.2

11. Thailand : 19.2

12. New Zealand : 18.9

13. Vietnam : 16.5

14. Pakistan : 15.1

15. Taiwan : 14.9

16. Philipines : 12.4

17. North Korea : 11.4

18. Bangladesh : 8.7

19. Brunei : 8.2

20. Myanmar : 7.6

20. Sri Lanka : 7.6

22. Cambodia : 6.1

23. Mongolia : 5.0

24. Laos : 4.8

25. Nepal : 3.1

Source : Lowy Institute

 

■ 각 카테고리별 호주 랭킹

-Economic resources : 10.8점(9위)

-Military capability : 24.9점(9위)

-Resilience : 77.8점(3위)

-Future trends : 3.2점(13위)

-Diplomatic influence : 62.6점(6위)

-Economic relationships : 25.6점(5위)

-Defence network : 69.7점(2위)

Source : Lowy Institute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아시아 1).jpg (File Size:50.5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01 호주 The 9 most epic bike rides you can ever do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0 호주 20대 첫 주택구입자, 테라스 주택에 14만 달러 더 지불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9 호주 ‘시드니 메트로’, ‘뱅스타운 라인’ 신규 공사 앞두고 ‘고민’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8 호주 ‘크라운 그룹’, 시드니 서부에 새 호텔 브랜드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7 호주 SMS에 ‘테러 계획’ 게시한 10대에 보석 불허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6 호주 ‘학대’ 신고 1천여 건, 가해자 기소는 18건 불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5 호주 NSW 경찰, 운전-보행자 대상 1만3천 건 위반 적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4 호주 시드니사이더들, 주거지역 선택 우선 고려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3 호주 NSW 주 180개 학교, 학생 수용 한계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2 호주 호주인 100만 명 이상 불량주택 거주, ‘슬럼화’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1 호주 ‘Father's Day’... 아버지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90 호주 연방 노동당 여성 의원, 자유당 비해 2배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89 호주 Top 10 Most Misunderstood Road Rules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1.
5888 호주 도심 중심가 주택, 높은 가격에도 예비 구매자 유혹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7 호주 60년대 풍자잡지 ‘Oz’ 창간, 리차드 네빌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6 호주 시드니 서부 개발 위한 ‘시티 딜’, 내년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5 호주 NRMA와 손잡은 스타트업 회사 ‘Camplify’의 성공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4 호주 IS, 오페라하우스 등 호주 주요 지역 테러공격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3 호주 외국인 소유 농지, 빅토리아 주 넓이의 두 배 규모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2 호주 광역 시드니, ‘youngest’ & ‘oldest’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1 호주 지난 6개월간의 연방 의원 업무비용, 5천50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80 호주 ‘뉴스타트’ 추가 보조금 삭감 계획에 ‘우려’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79 호주 20년 내 ‘지식 근로자’, 노동시장 3분의 2 차지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78 호주 레스토랑에서의 와인 고르기, 어떻게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77 호주 10 things in Australia you can only experience by train file 호주한국신문 16.09.08.
5876 호주 시드니 주택, 경매 잠정가에서 100만 달러 이상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5 호주 호주에서 가장 흥미로운 이름을 가진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4 호주 호주 가정, ‘의료 및 전기료 지출’ 가장 걱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3 호주 인터넷 접속 속도 가장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2 호주 NSW 주 유학산업, 연 20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1 호주 ‘Lockout Laws’ 검토, 영업시간 조정 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70 호주 호주 대학 중퇴자 비율, 지난 10년 사이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69 호주 시드니 남부 ‘민토’서 20대 남자, 행인에 흉기 공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68 호주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네 번째 임기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67 호주 턴불 내각, ‘동성결혼’ 허용 관련 국민투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66 호주 Top ten Australian outback pubs for an ice-cold beer file 호주한국신문 16.09.15.
5865 호주 달아오른 시드니 주택시장, 경매 낙찰률 85.1%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64 호주 여행 상식- 여권 표지의 색상, 그 의미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63 호주 호주 어린이들, ‘스크린’에 매달리는 시간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62 호주 바삼 함지, ‘수퍼맥스 교도소’서 휴대전화 사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61 호주 “시드니, ‘산책하기 좋은 코스’는 거의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60 호주 시드니 주택시장 성장, “여전히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9 호주 NSW 주 정부 고용정책, ‘혜택’은 대기업에만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8 호주 HSC 시험 수학과목 등록 비율, 50년래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7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인기, 토니 애보트-줄리 비숍에 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6 호주 원주민 출신 의원들, ‘증오 거부’ 한 목소리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5 호주 FWO, 한인 커뮤니티 ‘관행 임금’ 주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4 호주 Events in Bluemountains on this Spring season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2.
5853 호주 브론테 해안의 ‘타임 캡슐’ 주택, 735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
5852 호주 직장내 성 소수자-남녀 차별, 생산성 저하로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