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까지의 1.5세대 젊은 분들과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청소년기를 이곳에서 보낸 그들의 이민정착기(?)를 듣고 적잖이 놀랐다. 그들도 부모세대와 똑같이 이민생활의 아픔과 고뇌를 겪었고, 지금도 여전히 진행중이라는 것이다.
삶의 뿌리를 송두리째 옮긴 용감한 부모 세대들에게는 ‘영어 술술 하는 너희들이 이 사회에서 무슨 걱정이 있겠나? 내가 너희들만큼 영어를 잘하면 무슨 일이든 다 할 수 있을 것’라며 나약한(?) 자녀들을 보며 답답함을 토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뉴질랜드에서 자라고 있는 우리의 자녀들이 한국과 비교하여 비교적 안락하고 평화로운 분위기에서 자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앞으로 살아가야 할 삶의 무게가 가벼워지는 것은 절대 아니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내려진 낯선 땅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그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과 이 사회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해야 하는가에 대한 실존적 고민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고민은 현지 사회와 단절된 삶을 살고 있는 많은 부모세대가 경험하거나 공감하기 힘든 부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요사이, 부모세대로부터 자녀들에 대한 불만의 소리를 자주 듣는다. 개중에는 청소년기 이후 자녀들과 대화를 거의 하지 않고, 심리적, 정신적으로 단절이 되었다는 한탄의 소리를 하시는 분들도 있다.
말씀을 들어 보면 이민가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가치관의 충돌이 주 원인이 경우가 많다. 완전히 다른 가치관에서 살아가는 부모와 자식이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 채 좀처럼 회복의 기회를 만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체념의 단계. 충돌만 피하자는 생각이다.
안타깝게도, 부모의 완고함과 경직성이 자녀와의 허심탄회한 대화를 막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 한가운데 이민 1세대가 가지고 있는 특유의 보상심리가 자리잡고 있다. 타국에서 자신이 누리지 못하는 사회적 지위를 자신의 자녀가 다시 회복시키기를 소망하는 것. 사회적 지위의 하락이라는 비정한 이민 현실 앞에서 자식의 성공을 바라는 마음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자녀의 삶을 내가 직접 설계하고 과정 과정을 통제하려는 강박의 집착으로 발전하게 되면 비극은 시작되는 것이다.
아이가 완벽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부모들의 실현 불가능한 바램은 전 세계 어느 부모에게서나 공통적인 마음이다. 그러나, 이 바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절충선을 찾게 된다. 누구나 이 말에 공감할 것이다. ‘자녀를 기르는 과정은 끊임없는 포기의 과정이다’라고.
자식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접어야 한다고 늘 다짐하지만, 교민지에 실리는 누구 집 자제의 명문대학 입학 소식이나 좋은 직장에 취업했다는 소식을 접하면 축하의 마음은 금세 사그라 들고, 내 자녀가 그 수준에 못 미쳐 속상하고 부모 노릇 잘 못했다는 자책감에 빠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교민지 주인공의 스토리가 우리 자녀의 삶의 기준점이 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힘든 시간을 견뎌내며 하루 하루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자녀들 모두 박수받고 격려받을 충분한 자격이 있다. 우리의 아이들이 힘들어 할때 부모인 나만큼 노력하지 않는다고 비난하지 않고, 혹은 아무것도 해 줄 수 없음에 슬퍼 하며 비관하지 말자. 부모가 흔들리지 않도록 중심을 잡도록 노력하자. 그래야 아이들이 방황이 끝났을 때 돌아올 곳이 있다.
뉴질랜드에서 함께 동고동락해 온 우리의 자녀들은 분명 이민 생활의 동반자이다. 우리가 느끼는 좌절과 상실감, 기쁨과 희망의 순간을 함께 헤쳐 나온 동반자라는 것이다. 부모의 강압에 따라 좌지우지 되는 종속 변수가 아니고, 자기 삶의 주인인 독립 변수이다. 그들이 이곳 뉴질랜드에서 자신의 삶을 살 수 있도록 힘껏 응원하자. 이것이 현재 뉴질랜드에서 살아가는 이민 1세 부모의 사명이다.
김 임수 심리상담사 / T. 09 951 3789 / imsoo.kim@asianfamilyservices.n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