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기차역).jpg

호주 통계청(ABS)이 2016년 자료를 바탕으로 호주 전체 노동자들의 출퇴근 교통수단 및 거리를 분석한 결과 시드니의 경우 도심(CBD)-노스시드니-매콰리파크-파라마타로 하루 50만 명의 직장인이 이동, 이들 4개 지역이 시드니의 ‘4대 일자리 허브’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출근 직장인들이 몰린 시드니의 한 기차역.

 

시드니 CBD-노스시드니-매콰리파크-파라마타 등... 직장인 수 ‘최대’

호주 통계청 ‘출퇴근 현황’ 보고서 통해 지역별 통근 인구-교통수단 등 분석

 

약 50만 명의 시드니 인구가 매일 출근하는 네 개의 ‘일자리 허브’는 시드니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노스 시드니(North Sydney), 맥콰리 파크(Macquarie Park), 파라마타(Parramatta)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금주 화요일(22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이는 호주 통계청이 지난 2016년 자료를 바탕으로 호주 전체 노동자들의 출퇴근 교통수단 및 거리를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나타난 것으로,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시드니사이더들(Sydneysiders)이 매일 직장으로 출근하는 거리는 평균 편도 16킬로미터다.

매일 시드니의 중심업무지구(CBD)인 시드니 시티-헤이마켓(Haymarket)-록스(The Rocks)로 출근하는 인구는 약 32만 명으로, 이들의 거주 지역(suburb)을 보면 이너-사우스(inner-south) 지역(region)인 워털루(Waterloo)-비콘스필드(Beaconsfield) 거주자가 4,90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피어몬트(Pyrmont)-울티모(Ultimo. 4,500명), 모스만(Mosman. 4,250명) 순이었다.

보고서는 “시드니 전체 출퇴근 인구의 27%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어, 시드니는 호주 대중교통 시스템의 선두주자”라고 강조했다.

자료에 따르면 CBD로 출근하는 출퇴근자 중 약 70%가 대중교통을 이용했으며, 이들의 평균 출근거리(편도)는 19킬로미터였다.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 중 가장 많은 인구가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과 노스 쇼어(North Shore) 및 시드니 이너 남서부 지역(region)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드니 ‘제2의 도심’으로 불리는 파라마타(Parramatta)로 출퇴근하는 인구는 약 5만 명으로, 이중 절반가량이 승용차를 교통수단으로 이용했다.

파라마타 지역(region)에서 몰려있는 10개 지역(suburbs)은 모두 서부와 북부에 몰려 있다.

시드니 북부에서 대부분의 일자리가 위치한 지역은 노스 쇼어(North Shore)로, 10개 일자리 허브가 이곳에 위치했다. 노스 시드니(North Sydney)로 출근하는 이들은 약 5만 명으로, 이들 10명 중 6명은 대중교통을 이용했다.

맥콰리 파크(Macquarie Park)로 출퇴근하는 인구 또한 약 5만 명으로, 이중 62%가 승용차를 이용했다.

이 외에 일일 출퇴근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는 피어몬트-울티모(Pyrmont-Ultimo. 36,400명), 채스우드(Chatswood. 27,600명), 버큼힐(Baulkham Hills. 23,500명), 마스코트(Mascot. 22,500명)였다.

그런 한편 호주 대도시의 출퇴근거리는 소규모 도시들에 비해 더 길었다. 평균 출퇴근 거리가 가장 짧은 도시는 캔버라로 평균 11.7킬로미터로 조사됐다.

국가 전체 인구의 출퇴근 이동수단 현황을 살펴보면, 80%가 승용차를 이용했으며, 이중 대다수가 혼자 이동하는 경우였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들은 약 14%였으며,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이들은 약 5%인 것으로 집계됐다.

시드니 다음으로 출퇴근 시 대중교통 이용률이 높은 도시는 멜번으로, 전체 출퇴근 직장인의 19%로 조사됐다.

호주 통계청의 필립 와이즈(Phillip Wise) 조사자료 보급 책임임자에 따르면 가장 장거리를 이동하는 경우는 광산업 노동자들로, 이들의 매일 출퇴근거리는 편도 40.3킬로미터였으며, 반면 숙박업이나 요식업체 종사자들은 11.4킬로미터로 가장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아울러 이번 보고서는 일반적으로 통근 시간이 임금에 비례한다고 분석했다. 한 주당(week) 2,000~2,999달러를 버는 노동자들의 평균 편도 출근거리는 20킬로미터로 가장 길었으며, 한 주 소득이 150달러인 노동자들은 평균 편도 출근거리 9.5킬로미터로 직장과 집의 거리가 가장 가까웠다.

호주 전체 남성과 여성의 출퇴근 현황에서는 남성의 평균 편도 출근거리가 17.7킬로미터로 여성보다 3킬로미터 더 긴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지방지역 노동자들의 출퇴근거리가 도시 노동자들보다 일반적으로 더 길었다.

 

■시드니 주요 4개 지역 직장인의 출근 교통편

▲시드니 도심(CBD) 출근 직장인

-대중교통 수단 : 71%

-자가용 : 14%

-보행 및 자전거 : 7%

 

▲파라마타(Parramatta) 출근 직장인

-대중교통 수단 : 37%

-자가용 : 49%

-보행 및 자전거 : 4%

 

▲노스 시드니(North Sydney) 출근 직장인

-대중교통 수단 : 37%

-자가용 : 27%

-보행 및 자전거 : 6%

 

▲맥콰리 파크(Macquarie Park) 출근 직장인

-대중교통 수단 : 24%

-자가용 : 63%

-보행 및 자전거 : 3%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기차역).jpg (File Size:93.6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51 호주 케닐리 6년만의 컴백…‘케’다르크 일까? ‘레드 버블’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4550 호주 주말마다 호주성인 270만 명 자외선에 피부 노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4549 호주 소득지원 받아온 십대 부모 4년새 13% 감소 호주한국신문 17.11.23.
4548 호주 호주달러, 2019년 미화 1달러 당 65센트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4547 호주 배저리스 크릭 신공항 인근 주택 3만채 건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4546 호주 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 전차 퀸슬랜드 박물관에 전시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4545 호주 2001년 이후 전국적으로 16만4천 채 주택 과잉공급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4544 호주 26일부터 시드니 열차운행 스케줄 대폭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4543 호주 “북한 사람들은 그저 재미있고 평범한 사람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4542 호주 한 여름 시드니 도심서 크리스마스 즐기는 방법 file 호주한국신문 17.11.23.
4541 뉴질랜드 허재 감독이 이끄는 한국 농구 대표 팀 뉴질랜드팀 격파. NZ코리아포.. 17.11.24.
4540 뉴질랜드 해변에 처음 등장한 자외선 미터기 NZ코리아포.. 17.11.24.
4539 뉴질랜드 뉴질랜드 경찰, 재미있는 채용 비디오 공개 NZ코리아포.. 17.11.27.
4538 뉴질랜드 비상 통신장비로 빠르게 구조된 고산 등반가들 NZ코리아포.. 17.11.27.
4537 뉴질랜드 주차빌딩 달려 올라간 이색적인 사이클 대회 열려 NZ코리아포.. 17.11.27.
4536 호주 <속보> 젯스타와 버진, 오늘 발리 운항편 모두 취소 호주한국신문 17.11.27.
4535 뉴질랜드 한국 원양어선에서 사상자 발생, 남섬 최남단 블러프 항구에 입항해 NZ코리아포.. 17.11.27.
4534 뉴질랜드 아픈 환자들 미소 짓게 만든 치료견 NZ코리아포.. 17.11.27.
4533 뉴질랜드 “둥지 급감한 노란눈 펭귄, 멸종 우려 커져” NZ코리아포.. 17.11.27.
4532 뉴질랜드 운전자 목숨 구해준 행운의 소나무 NZ코리아포.. 17.11.27.
4531 뉴질랜드 뉴질랜드 젖소 수, 지난 4년 동안 가장 적어 NZ코리아포.. 17.11.28.
4530 뉴질랜드 시신 싣고 입항한 한국 원양어선, 밤 사이 선원 3명 사라져 NZ코리아포.. 17.11.28.
4529 뉴질랜드 “지름길로 택했던 기차터널이 결국…” NZ코리아포.. 17.11.29.
4528 뉴질랜드 ‘남섬의 관문’ 상징하는 고가육교, 영상으로 공개한 NZTA NZ코리아포.. 17.11.29.
4527 뉴질랜드 주택 임대료 급 상승, 국민 42%가 부담느껴 NZ코리아포.. 17.11.29.
4526 뉴질랜드 정부, 높은 휘발유가에 대해 정유 회사들 압박 NZ코리아포.. 17.11.29.
4525 뉴질랜드 보령머드에서 영감을 얻은 머드토피아 축제 로토루아에서.... NZ코리아포.. 17.11.30.
4524 뉴질랜드 뉴질랜드, 지난 겨울 동안 소비 활동 줄어들어 NZ코리아포.. 17.11.30.
4523 뉴질랜드 클랜드 운전자들, 내년부터 리터당 11.5센트 추가 유류세 NZ코리아포.. 17.11.30.
4522 뉴질랜드 뉴질랜드 정부, 외국인 투자 통제 내부 계획 발표해 NZ코리아포.. 17.11.30.
4521 호주 호주 부동산 소유자 절반은 가격 상승 희망…24%는 하락 원해 호주한국신문 17.11.30.
4520 호주 코알라 “감소 위기” vs “너무 많았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19 호주 AEMO “올 여름 정전 걱정 ‘뚝’…추가 전력공급으로 충분” 장담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18 호주 “소득 절반 렌트비로 지출…아이 교육 등 감안해 이사 못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17 호주 ‘2018년 호주의 날’에 노래하는 앤서니 칼리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16 호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 ‘시민모금운동’에 호주서도 열띤 동참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15 호주 멜번서 대규모 총격 테러 계획한 이십대 남성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14 호주 호주 한인 변호사, 교통 벌금 고지서 이름 위조 혐의로 ‘제명’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13 호주 “학생 4명 중 1명 중증정신질환 우려…저학년으로 점차 내려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12 호주 호주 최대 육가공업체 ‘토마스 푸드’, 이민자 착취 이익 극대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11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한국전 호주 참전용사 초청 오찬행사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10 호주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법안 연방상원 표결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09 호주 호주, 북한 미사일 발사 ‘가장 강력하게’ 규탄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08 호주 “백호주의 시대보다 영어요건 더 어렵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30.
4507 뉴질랜드 키위 아기들, 세계 권장 기준 못미친 모유 수유하고 있어 NZ코리아포.. 17.12.01.
4506 뉴질랜드 뉴질랜드 비즈니스 신뢰도, 11월 급격하게 하락해 NZ코리아포.. 17.12.01.
4505 호주 <12.16 베넬롱 전투> 턴불 총리, 이스트우드 “연쇄 출격”…$1억 규모 버스 환승 센터 공약 톱뉴스 17.12.03.
4504 호주 PM 중산층 소득세 인하 방침 ‘거센 후폭풍’ 톱뉴스 17.12.03.
4503 호주 해외 출생 대졸자 풀타임 취업률 45%...호주 출생자에 뒤쳐져 톱뉴스 17.12.03.
4502 호주 중국기업체 유착 의혹 샘 다스티야리 상원의원, 당직 사퇴 톱뉴스 17.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