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스쿨존 벌금 1).jpg

시드니 지역 스쿨존(School zone)에 과속 및 불법주차 단속이 느슨해 아이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시드니 전체 1,500개 이상 학교 감시를 위한 카메라 수는 고작 45개에 불과하며, 이동과속단속카메라는 실시되지 않은 상황이다.

 

1천500여 학교 주변 단속 카메라는 고작 45대, 어린이 안전 위협받아

호주 보행자위원회, “아이들 안전 희생해 지지율 높이려는 정치 부패”

 

시드니 지역 학교 인근 스쿨존(School zone)에 과속 및 불법주차 단속이 느슨해 아이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주 토요일(26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시드니 지역 스쿨존의 과속 및 불법주차 단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태와 원인을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

NSW 주 경찰청에 따르면, 2014년 12월에서 2017년 사이 학생 수가 많은 스쿨존에서 발생한 자동차 사고로 인한 어린이 부상자 수는 15명이다. 시드니 전체를 통틀어 총 45개의 과속단속 및 신호위반 단속카메라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1천500개가 넘는 학교 주변을 감시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은 과속위반 차량의 약 10%만 잡아내고 있는 실정이며, 나머지 90%는 모두 이 45개 카메라에 의존하고 있다.

NSW 주 전체로 보면, 스쿨존 속도위반 건수가 가장 많았던 2017년 7월에서 2018년 4월 사이 7,811건이 경찰에 의해 적발됐으며, 같은 기간 주 전체에 설치된 55개의 속도위반 단속 및 신호위반 카메라가 잡아낸 과태료 부과 건수는 83,760건이다.

과속위반 과태료 부과 건수는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17년 노던비치(northern beaches) 지역(region) 스쿨존에서만 1천 명의 운전자가 과속으로 경찰에 적발, 시드니 전체 경찰 관할지역 평균 적발 건수보다 4배 이상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애쉬필드(Ashfield), 동부 지역(eastern suburbs), 라이드(Ryde)의 고속도로 및 경찰 관할지역 스쿨존 과속 과태료 부과 건수는 100건 이하인 반면, 뱅스타운(Bankstown)과 쿠링가이(Ku-ring-gai)의 경우 250명이 넘는 운전자가 학교 근처에서 과속으로 적발됐다.

NSW 주 재정부 기관인 ‘Revenue NSW’ 자료에 따르면 2016-17년 사이 허스트빌(Hurstville), 라이드(Ryde), 쿠링가이(Ku-ring-gai), 뱅스타운(Bankstown)에 설치된 단속 카메라를 통해 적발된 스쿨존 과속위반은 1만 건이 넘는다.

또한 2017-18년 사이 단속 카메라를 통해 가장 많은 스쿨존 속도위반 차량이 적발된 지역은 코가라(Kogarah) 남부 방향의 프린세스 하이웨이(Princes Highway)로 3천377대의 과속차량이 적발됐으며, 다음으로는 라이드(Ryde) 동부 방향의 빅토리아 로드(Victoria Road)로 3천258대의 차량이 적발됐다.

NSW 경찰 대변인은 “이 같은 통계가 바로 교통법규를 무시하고 자신과 다른 사람의 목숨을 위험에 빠뜨리는 운전자들에게 ‘경찰이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고 경고하는 메세지”이라고 말했다.

NSW 주 공공시설 감사부(NSW Auditor-General)는 지난 2010년 ‘스쿨존 안전 보고서’를 발표하고 학교 인근 도로에 교통법규를 더 강화시켜야 한다고 요청했다. 그러나 보고서가 제시한 주요 사항들 중 스쿨존 내 이동과속단속카메라 운영에 대한 내용은 아직까지도 실행되지 않고 있다. 2014년 한 스쿨존 내에서 이동과속단속카메라가 사용되는 것이 허용됐으나, 현재는 어느 NSW 주 스쿨존에서도 사용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에 따르면 최근 어번(Auburn) 카운슬 주차 단속원들은 스쿨존 및 업무구역 인근에서는 벌금을 부과하지 말라는 지역 정치인들의 지시가 있었다는 증거를 제시하기도 했다.

시민단체인 ‘호주 보행자위원회’(Pedestrian Council)의 헤롤드 스크루비(Harold Scruby) 위원장은 “대부분의 단속원들은 거주민이나 유로주차권을 구매한 운전자를 피해야 한다는 강박감을 갖고 있는데, 이는 아이들의 안전을 희생해서라도 지지율을 높이려는 카운슬러들이 압력 때문”이라며 “정치적 부패”라고 비난했다. “시장이 지역 주민들로부터 반발을 살까봐 두려워 벌금이 아닌 경고만 주는 등 너무 관대하게 봐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조사에 따르면 2015-2018년 사이 헌터스 힐(Hunters Hill)과 캠든(Camden) 등 일부 카운슬 지역의 스쿨존에서는 한 해, 학교 당 평균 3건의 불법주차 차량이 적발된 반면, 레인코브(Lane Cove)와 노스 시드니(North Sydney)의 경우 학교 당 30건 이상이 넘는다.

스크루비 위원장은 “법의 집행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없어, 불법주차 벌금 부과에 대한 감시관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스쿨존에 자동차가 오래 주차되어 있는 것이 누군가에게 해를 가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이들의 시야를 가릴 경우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스쿨존 내 속도위반과 불법주차’ 관련, 동 신문사 측의 질문에 대해 트로이 그란트(Troy Grant) NSW 주 경찰장관은 답변을 회피했다고 전했다.

현재 NSW 주 내에는 1천24개의 이동과속단속카메라가 운영되고 있으며, 64개의 과속단속카메라, 159대의 신호위반 단속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과태료 액수는 학교 수와 해당 스쿨존에 강력한 안전규정이 실시되고 있는지의 여부, 자동차 사고와 치사율 현황에 따라 각 지역별로 다르게 부과되고 있다.

 

■ 지역별 스쿨존 자동차 속도위반 과태료 부과 현황

(지역 : 2017-18년 / 2016-17년 / 2015-16년 / 2014-15년-건)

-Bankstown : 273 / 829 / 473 / 292

-Botany Bay : 172 / 113 / 300 / 501

-Burwood : 50 / 58 / 82 / 19

-Eastern Suburbs : 49 / 22 / 44 / 68

-Fairfield : 120 / 253 / 194 / 153

-Hills Shire : 106 / 109 / 120 / 59

-Holroyd : 175 / 292 / 542 / 483

-Hurstville : 175 / 292 / 542 / 483

-Ku-ring-gai : 201 / 126 / 152 / 149

-Northern Beaches : 737 / 910 / 334 / 348

-Penrith : 91 / 98 / 146 / 126

-Ryde : 47 / 18 / 36 / 72

-Sutherland : 249 / 415 / 388 / 409

*2017-18년은 2018년 3월31일까지로, 다른 기간보다 4개월이 적음

Source: Office of state revenue police issued speeding offences.

 

■ 2016-18년 사이 경찰이 직접 적발한 스쿨존 속도위반 건수

-Northern Beaches : 1647

-Upper North Shore : 327

-West : 1474

-Blue Mountains : 464

-South West :1898

-Inner West : 545

-City and East : 431

-South : 467

Source: Revenue NSW data, for period June 2016 - March 2018

 

■ 2017-18년 스쿨존 불법주차 과태료 부과 건수

(카운슬 지역 : 벌칙금 부과 건수 / 학교 수)

-Hawkesbury : 8.3 / 37

-Central Coast : 18.9 / 33

-The Hills Shire : 11.3 / 45

-Hornsby : 7.9 / 53

-Ku-ring-gai : 11.1 / 44

-Northern Beaches : 10.1 /83

-Mosman : 24 / 9

-Willoughby : 17.5 / 19

-Lane Cove : 39 / 6

-Ryde : 14.5 / 30

-Canada Bay : 6.6 / 21

-Strathfield : 18.8 / 16

-Burwood : 20.5 / 13

-Inner West : 98. / 63

-Sydney : 6.4 / 46

-Woollahra : 10.9 / 18

-Waverly : 13.6 / 19

-Randwick : 8.4 / 40

-Bayside : 15 / 42

-Canterbury Bankstown : 9.2 / 113

-Georges River : 13.4 / 48

-Sutherland SHire : 9.4 / 84

-Campbelltown : 3.9 / 69

-Camden : 2.9 / 28

-Wollondilly : 1.6 / 19

-Liverpool : 13.4 / 73

-Fairfield : 21.2 / 55

-Cumberlans : 20.2 / 55

-Parramatta : 5.1 / 72

-Blacktown : 5.2 / 125

-Penrith : 3.9 / 80

*각 카운슬 지역의 스쿨존 벌금액은 해당 지역의 학교 수로 나누어 설정됨.

Source: Revenue NSW, NSW Department of Education.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스쿨존 벌금 1).jpg (File Size:60.5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01 호주 호주 한부모 가정 아동빈곤 급증…‘집값은 뛰고, 월급은 제자리’ 사회 양극화 반영 톱뉴스 17.08.04.
5200 호주 호주 불개미 습격 비상… 향후 10년간 4400억원 들여 박멸 작전 시행 톱뉴스 17.08.04.
5199 호주 시드니의 새 명소…아시아 음식 천국 ‘스파이스 앨리’ 톱뉴스 17.08.04.
5198 호주 올해의 ‘아치볼드(Archibald Prize)상’은, 톱뉴스 17.08.04.
5197 호주 자연과 예술이 빚어낸 풍경 속으로 톱뉴스 17.08.04.
5196 뉴질랜드 누드사진 1달러 광고한 더니든 남자.... NZ코리아포.. 17.08.05.
5195 뉴질랜드 도로공사장에서 발굴된 19세기 대포알 NZ코리아포.. 17.08.05.
5194 뉴질랜드 사람 있는 줄도 모르고 캐러밴 훔쳐 끌고 갔던 도둑 NZ코리아포.. 17.08.05.
5193 호주 RBA, “금리인상, 아직은 글쎄…”…조기 인상 가능성 배제 톱뉴스 17.08.05.
5192 호주 우사인 볼트 100m 마지막 레이스서 동메달, 게이틀린 우승 톱뉴스 17.08.07.
5191 호주 “호주 공항 국내선 보안, 국제선 수준으로 격상한다” 톱뉴스 17.08.07.
5190 호주 호주정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지지’ 톱뉴스 17.08.07.
5189 뉴질랜드 연금수령 나이 변경 이번 총선에 영향 미칠 수 있어. NZ코리아포.. 17.08.07.
5188 뉴질랜드 멸종 위기 노란눈 펭귄, 어망에 걸려 수백마리 사망 NZ코리아포.. 17.08.07.
5187 뉴질랜드 독감 극성, 매주 160명 이상 환자들 병원 찾아 NZ코리아포.. 17.08.07.
5186 호주 겨울잠 깬 호주연방의회 7일 정기 회기 재개 톱뉴스 17.08.07.
5185 호주 시드니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코리아 가든 전면 백지화 톱뉴스 17.08.07.
5184 뉴질랜드 충돌사고 후 거꾸로 뒤집힌 BMW 승용차 NZ코리아포.. 17.08.08.
5183 뉴질랜드 미소띤 채 많은 물건들 훔쳤던 상점도둑 NZ코리아포.. 17.08.08.
5182 뉴질랜드 “핸드브레이크 깜박” 자기 차에 치여 다친 산림작업 인부 NZ코리아포.. 17.08.08.
5181 뉴질랜드 냉동고에서 먹거리들과 함께 사라진 태반 보관상자 NZ코리아포.. 17.08.08.
5180 뉴질랜드 면세점 진열 제품, 꼭 저렴하지 않아... NZ코리아포.. 17.08.08.
5179 뉴질랜드 NZ 톰 월시, 런던 세계 선수권 대회 포환던지기 금메달 NZ코리아포.. 17.08.08.
5178 뉴질랜드 로토루아 카운실, 한국 보령산 머드 파우더 수입 포기 NZ코리아포.. 17.08.08.
5177 뉴질랜드 요리 중 잠깐 자리 비웠다가 전 재산 날려 NZ코리아포.. 17.08.08.
5176 뉴질랜드 오클랜드 임대주택 수익, 3년 만에 올라 NZ코리아포.. 17.08.09.
5175 뉴질랜드 50만 달러에 낙찰된 ‘오클랜드의 아버지’ 초상화 NZ코리아포.. 17.08.09.
5174 뉴질랜드 임산부 7명 중 한 명꼴 “여전히 담배 핀다” NZ코리아포.. 17.08.09.
5173 호주 마누스 섬 수감 난민 사망…갖은 억측 난무 톱뉴스 17.08.09.
5172 호주 자유당 동성결혼 내홍 ‘국민투표’로 정면 돌파 톱뉴스 17.08.09.
5171 호주 무소속 상원의원 “연방의원 이중국적 내부 감사” 촉구 톱뉴스 17.08.09.
5170 뉴질랜드 뉴질랜드 출산율, 최근 가장 낮게 나타나 NZ코리아포.. 17.08.10.
5169 호주 올 7월까지의 주말 경매, 지난해 대비 32%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5168 호주 오는 11월부터 시드니 서부-CBD 기차, 매주 300대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5167 호주 호주 육상 영웅, 베티 커스버트 사망... 79세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5166 호주 지방선거 앞두고 특정 후보, 주소지 ‘임시’ 이전 ‘파문’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5165 호주 유명 교육자, "50년대 구시대 산물인 HSC 폐지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5164 호주 “시드니 항공기-유독가스 테러 모의, IS 지휘 받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5163 호주 인공지능으로 인한 우리 사회 10가지 핵심 변화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5162 호주 Australia's best country and outback festivals(1)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5161 호주 Fairfax-Ipsos의 ‘포커스 그룹’ 조사; 주택가격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5160 호주 Fairfax-Ipsos의 ‘포커스 그룹’ 조사; 정당 지도자 인식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5159 뉴질랜드 한밤중에 사라진 아이 함께 찾아 나섰던 온 마을 주민들 NZ코리아포.. 17.08.10.
5158 호주 롯데 그룹, 골드코스트 부동산 시장서 낭패 톱뉴스 17.08.10.
5157 뉴질랜드 나무와 충돌하는 교통사고 연이어 발생, 하룻밤 새 2명 사망 NZ코리아포.. 17.08.11.
5156 뉴질랜드 백 명 중 서른 명 이상, 처방된 약 먹고 병원 입원 NZ코리아포.. 17.08.11.
5155 뉴질랜드 오클랜드 부동산 열기, 근본적인 대책 필요하다고... NZ코리아포.. 17.08.11.
5154 호주 스마트폰·긴 노동으로 잠 부족…호주 피로 사망 한해 3천명 톱뉴스 17.08.11.
5153 호주 20시간 4천500통 통화? 19만1천 달러 고지서 받은 호주 남성 톱뉴스 17.08.11.
5152 호주 홀덴 떠난 SA, 한국산 자동차 존재감 부각…SA 경찰 순찰차 채택될 듯 톱뉴스 17.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