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명당 28.3명… 노년 빈곤이 노년층 자살 주 원인


 

rate.jpg
한국의 자살 문제에 대해 보도한 <비즈니스 인사이더> 6월 9일판.
 

(뉴욕=코리아위클리) 현송-박윤숙 기자 =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한국의 자살률이 선진국 중 가장 높다고 전했다.

WHO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한국 자살률은 십만 명당 28.3명으로 미국의 14.3명, 일본의 19.6명 그리고 중국의 10명에 비해 크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선진국의 자살률은 줄어들거나 정체되어 있었지만, 한국의 경우는 급속히 증가했다. 1995년 한국에서 10만 명당 12.7명에 비해, 2010년에는 33.3명으로 2.5배 이상 증가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자살이 많이 발생하는 연령층과 그 이유를 좀 더 자세히 분석했다.

동아시아지역 선진국에서 노년층 자살이 전체 자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국의 경우 65세 이상 자살자가 전체의 30%에 육박한다. 한국의 노년층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거의 절반이 빈곤층이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서울에 거주하는 70세 성영숙 씨의 2015년 CNN 인터뷰를 언급했다. 성 씨는 평생 성실히 살아왔지만 본인이 처한 현실에 힘겨워하며, 본인의 세대가 잊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남편의 무덤에서 자살을 시도했던 일을 언급하기도 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한국의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자살률 억제 및 감소를 위한 노력을 소개했다.

2011년과 2012년, 자살 시도에서 흔히 사용되는 살충제인 파라 컷의 규제가 전국적으로 자살억제에 도움이 됐다. 음독 자살이 한국 노인층이 많이 사용한 방법인데, 2017년 WHO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규제 후에 2011년부터 2015년 사이 자살률이 15% 감소했다.

또한, 부산과 인천은 도시 내에 자살방지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작년에 취임한 문재인 대통령은 자살률을 2020년까지 10만 명당 20명으로 감소시키겠다고 약속했으며, 현 정부는 1월부터 자살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 참여라는 새로운 대책을 도입했다.

정부는 사례연구와 자살방지, 그리고 더 많은 자살성 선별검사를 제공하기 위해서 백만 명의 종교 및 사회단체 회원을 훈련시킬 예정이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코리아헤럴드> 기사를 인용하여 이런 조치를 실행하기 위한 예산이 920만 달러로, 이 예산은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정부 예산의 0.02%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뉴스프로> 번역팀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337 캐나다 납치된 2살 헤일리,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 file CN드림 15.09.22.
9336 캐나다 BC주, '순록 보호위해 늑대 사살 이어갈 것' 밴쿠버중앙일.. 15.09.23.
9335 캐나다 클락 수상의 축구 응원 트윗, '부적절한 언사' 비난 받아 밴쿠버중앙일.. 15.09.23.
9334 미국 왁사해치에서 가스누출 폭발사고 file KoreaTimesTexas 15.09.25.
9333 캐나다 경찰, ‘용의자, 블란체트와 연관성 조사’ file CN드림 15.09.29.
9332 캐나다 캐나다 65세 이상 노년 인구 증가 밴쿠버중앙일.. 15.10.01.
9331 캐나다 아트 갤러리 신사옥 예상도 공개 file 밴쿠버중앙일.. 15.10.01.
9330 캐나다 포코에서 새끼곰 목격담 이어져, 학교 인근에도 출현 file 밴쿠버중앙일.. 15.10.01.
9329 캐나다 에드먼튼 로펌, 폭스바겐에게 10억 불짜리 소송 file CN드림 15.10.06.
9328 캐나다 주 의사당 인근, 쿠거 포획 file 밴쿠버중앙일.. 15.10.08.
9327 캐나다 메트로 시장들, '도로 유료 정책' 본격 논의 file 밴쿠버중앙일.. 15.10.09.
9326 캐나다 9월 야생곰 출현 빈도, 전년 대비 1.5배 늘어 file 밴쿠버중앙일.. 15.10.09.
9325 캐나다 독자투고) 가을 밤 하늘의 장관 file CN드림 15.10.14.
9324 캐나다 올 3분기, 메트로 전역에서 집 값 두자리 상승 file 밴쿠버중앙일.. 15.10.16.
9323 캐나다 UBC 대학, '교수의 학문적 자유 침해' 논란 마무리 file 밴쿠버중앙일.. 15.10.17.
9322 캐나다 캘거리 교육청, 학생 받을 자리가 없다 file CN드림 15.10.20.
9321 미국 UT 달라스, 노벨 화학상 배출 file KoreaTimesTexas 15.10.20.
9320 캐나다 캘거리, 50년 만에 자유당 의원 탄생 file CN드림 15.10.27.
9319 캐나다 BC주 관광객 증가율 7%, 일본인과 인도인 크게 늘어 file 밴쿠버중앙일.. 15.10.30.
9318 미국 플로리다에선 공화 트럼프-민주 힐러리가 대세 file 코리아위클리.. 15.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