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명당 28.3명… 노년 빈곤이 노년층 자살 주 원인


 

rate.jpg
한국의 자살 문제에 대해 보도한 <비즈니스 인사이더> 6월 9일판.
 

(뉴욕=코리아위클리) 현송-박윤숙 기자 =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한국의 자살률이 선진국 중 가장 높다고 전했다.

WHO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한국 자살률은 십만 명당 28.3명으로 미국의 14.3명, 일본의 19.6명 그리고 중국의 10명에 비해 크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선진국의 자살률은 줄어들거나 정체되어 있었지만, 한국의 경우는 급속히 증가했다. 1995년 한국에서 10만 명당 12.7명에 비해, 2010년에는 33.3명으로 2.5배 이상 증가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자살이 많이 발생하는 연령층과 그 이유를 좀 더 자세히 분석했다.

동아시아지역 선진국에서 노년층 자살이 전체 자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국의 경우 65세 이상 자살자가 전체의 30%에 육박한다. 한국의 노년층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거의 절반이 빈곤층이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서울에 거주하는 70세 성영숙 씨의 2015년 CNN 인터뷰를 언급했다. 성 씨는 평생 성실히 살아왔지만 본인이 처한 현실에 힘겨워하며, 본인의 세대가 잊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남편의 무덤에서 자살을 시도했던 일을 언급하기도 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한국의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자살률 억제 및 감소를 위한 노력을 소개했다.

2011년과 2012년, 자살 시도에서 흔히 사용되는 살충제인 파라 컷의 규제가 전국적으로 자살억제에 도움이 됐다. 음독 자살이 한국 노인층이 많이 사용한 방법인데, 2017년 WHO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규제 후에 2011년부터 2015년 사이 자살률이 15% 감소했다.

또한, 부산과 인천은 도시 내에 자살방지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작년에 취임한 문재인 대통령은 자살률을 2020년까지 10만 명당 20명으로 감소시키겠다고 약속했으며, 현 정부는 1월부터 자살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 참여라는 새로운 대책을 도입했다.

정부는 사례연구와 자살방지, 그리고 더 많은 자살성 선별검사를 제공하기 위해서 백만 명의 종교 및 사회단체 회원을 훈련시킬 예정이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코리아헤럴드> 기사를 인용하여 이런 조치를 실행하기 위한 예산이 920만 달러로, 이 예산은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정부 예산의 0.02%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뉴스프로> 번역팀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117 캐나다 버나비, 파이프라인 확장 반대 시위 계속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6.
9116 캐나다 VCC 학생들, 학비 인상 때문에 고민 밴쿠버중앙일.. 16.01.28.
9115 캐나다 다운타운에서 빅토리아, 고속 여객선 운행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8.
9114 캐나다 밴쿠버 교육청, '시설 개선에 앞서 폐교 조치' 안건 가결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8.
9113 캐나다 클락 수상, LNG 반대하는 원주민들에 "반대 위한 반대 그만두라"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8.
9112 캐나다 웨스트젯, BC주와 앨버타 오가는 항공편 축소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8.
9111 캐나다 밴쿠버에 연고한 스쿠터 셰어링 서비스 화제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8.
9110 캐나다 에드먼턴, 캘거리 시장, “파이프라인 논쟁….정치화는 안된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8.
9109 캐나다 앨버타 그린에너지 정책, “완급 + 강약 + 선후 조절 필요”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8.
9108 캐나다 NDP 정부의 “앨버타 로열티 리뷰 보고서 발표 임박”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8.
9107 캐나다 민주평통 주최, “북한 4차 핵실험 규탄…..거리 시위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8.
9106 캐나다 캘거리 북부 가정집, “총격 용의자….경찰에 총맞아 사살”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8.
9105 캐나다 무지개 색깔 스틱을 잡은 오일러 선수들….. “성소수자 운동선수 격려 행사”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9.
9104 캐나다 캘거리 서남부 순환고속도로 건설, “바쁜 일정…..지역주민 민원 끊이지 않아”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9.
9103 캐나다 웨스트젯, “서부 노선 줄이고, 동부 노선은 늘린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9.
9102 캐나다 에드먼턴 12선거구 보궐선거, “32명 후보자 난립” file 앨버타위클리 16.01.29.
9101 캐나다 프레이져 벨리, 사나운 개 키우는 사람들 애완견 사진 등록해야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9.
9100 캐나다 메시 터널 대체 다리 공청회, "정보 공유 부족하다" 주민 원성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9.
9099 캐나다 밴쿠버 경찰, 사이클리스트 사망 사고의 용의자 몽타주 공개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9.
9098 캐나다 밴쿠버 학부모 모임, 클락 수상에 '교육에 투자해달라' file 밴쿠버중앙일.. 16.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