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학자금 상환).jpeg

정부가 학자금 대출 상환 연소득 기준을 45,000달러 이상으로 하향조정한 가운데, 졸업생들의 실질 주당 소득이 730달러에 그칠 것으로 전망돼 노동당과 녹색당이 이를 강하게 비난하고 나섰다.

 

녹색당, “졸업생 주당 소득 730달러에 그쳐... 남는 장사 아니다” 비난

 

연방 정부가 학자금 대출 상환이 시작되는 대학 졸업생 연소득 기준을 낮추는 등 학자금융자 상환 변경안을 발표했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금주 화요일(26일) 상원은 해당 법안과 관련해 토론을 진행했다. 법안은 대학교 졸업 후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학자금 융자를 시작하는 소득 기준을 기존 연 56,000달러에서 45,000달러 이상으로 변경하고, 이 액수가 넘을 경우 1년에 학자금 대출액의 최소 1%를 상환하도록 기준 소득액을 하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억5천만 달러의 수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정부는 2020년 이후 평생 가능한 최대 대출금액 104,440달러의 기준안을 변경하겠다는 데에도 동의했다. 즉, 기준금액을 넘어선 학생이 일부 금액을 상환할 경우 다시 학자금 대출이 가능하게 된다.

닉 제노폰 팀(Nick Xenophon team) 일원이었던 중앙 연맹(Centre Alliance)의 스털링 그리프(Stirling Griff) 상원의원 및 한나라당(One Nation)과 무소속의원들도 해당 변경안에 지지의사를 표했다.

정부의 이번 변경안은 (의회를 통과할 경우) 오는 7월1일부터 시작되며 현재 재학 중인 대학생 뿐만 아니라 학자금 융자제도인 HECS의 빚을 진 모든 경우가 바뀐 제도에 따라 대출액을 상환해야 한다.

새 법안에 따르면 연소득이 44,999달러가 넘을 경우 매년 대출액의 1%를 상환해야 하며, 연소득 132,000 이상부터 상환액 비율은 10%로 올라간다.

정부는 애초 학자금융자 상환 시작 기준 연소득을 42,000달러로 정할 예정이었으나 호주통계청(ABS) 집계 결과 호주 정규직의 중간소득이 66,000달러로 나타남에 따라 이를 상향 조정했다.

녹생당의 리차드 디 나탈레(Richard Di Natale) 대표는 이번 법안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나탈레 대표는 “세금을 제하면 젊은이들의 실질 소득은 주 730달러에 불과하다”면서 “게다가 메디케어 분담금(Medicare Levy)까지 더하면 소득은 더 줄어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주택 임대료, 전기사용료, 식료품 비용, 쇼핑, 이동비용을 생각하면 이는 그야말로 ‘남는 장사’가 아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연방 상원의원들은 “대학교를 졸업한 경우 평생 동안 다른 사람들보다 높은 소득을 누리게 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타당한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무소속 팀 스토러(Tim Storer) 상원의원은 “대학 학자금 융자 프로그램인 HELP(Higher Education Loan Program)의 부담금이 커지고 있어 적절한 정책”이라며 이번 변경안에 찬성 의사를 밝혔다.

극우파인 한나라당(One Nation) 폴린 핸슨(Pauline Hanson) 또한 “학자금 융자 정책이 미래 세대들을 위해 지속가능해야 한다”며 지지를 표했다.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 보도에 따르면 군소 정당인 자유민주당(Liberal Democrat)의 데이비드 라이언헴(David Leyonhjelm) 상원의원도 찬성에 한 표를 던졌다.

정부는 학자금 대출 상환 소득기준이 하향됨에 따라 향후 4년 간 2억4,520만 달러의 세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한 대학생 한 명당 학자금 대출은 536,000달러에 달하며, 대학교 입학생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노동당(Labor)과 녹색당(the Greens)은 해당 법안에 반대의사를 밝혔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학자금 상환).jpeg (File Size:62.1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01 호주 호주 기준금리 1.5% 14개월째 동결 톱뉴스 17.10.04.
4800 뉴질랜드 키위 세이버 재정 문제로 해지, 전년도에 비해 25% 늘어나 NZ코리아포.. 17.10.05.
4799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가격, 약 4만 달러 오른 것으로 나타나 NZ코리아포.. 17.10.05.
479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노동절 연휴로 낙찰률 다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97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14개월째 1.5%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96 호주 퀸즐랜드 내륙의 한 목장, ‘노익장’ 과시하는 101세 목축업자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95 호주 60년 전의 시드니 트램 흔적, 완전히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94 호주 200만 달러로 제작된 ‘웨스트커넥스’ 광고, 효용성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93 호주 NSW 주 일부 유명 해변, 건강상 ‘유해’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92 호주 오는 2035년, 호주 내 단일성별 학교 사라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91 호주 운송 서비스의 새 패러다임 ‘TAAS’, “향후 6년 이내 삶 전체를 바꿔놓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90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우편조사, 유권자 4분의 3 참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89 호주 ‘투자용 아파트 구입’ 권유되는 호주 내 5개 도시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88 호주 “영국은 제한된 이민비자 고삐 풀어야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87 호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세대간 자산 격차 더욱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05.
4786 뉴질랜드 뉴질랜드 합성 마약 들여오는 일 점점 쉬워지고 있어 NZ코리아포.. 17.10.06.
4785 호주 마누스섬 수감 타밀 난민 자살…4년 동안 6번째 사망자 발생 톱뉴스 17.10.06.
4784 호주 반환점 지난 동성결혼 우편투표, 찬반 논쟁 “과열” 톱뉴스 17.10.06.
4783 호주 호주, 北 위협 맞서 새 프리깃함 9척에 요격체제 갖추기로 톱뉴스 17.10.06.
4782 호주 이민부 호주 내 난민희망자 추방 조치 가속화 톱뉴스 17.10.06.
4781 호주 내 자녀도 호주와 한국 이중국적? 톱뉴스 17.10.06.
4780 호주 ‘북유럽 st’이라면 뭐든지 좋아 톱뉴스 17.10.06.
4779 호주 [2017 세계 주거의 날] 지구촌 16억, “판자촌” 거주 톱뉴스 17.10.06.
4778 호주 특정 도시에 편중된 주택 시장 열기…그 이유는? 톱뉴스 17.10.06.
4777 호주 토요타 VIC 공장 3일부로 폐쇄…90년 역사 대단원 톱뉴스 17.10.06.
4776 호주 에너지 수급 대책 팔 걷고 나선 연방정부 톱뉴스 17.10.06.
4775 호주 대도시 부동산 가격 상승세 “여전”…상승폭은 완화 톱뉴스 17.10.06.
4774 호주 시드니, 멜버른 CBD 교통체증 돌파구는? 톱뉴스 17.10.06.
4773 호주 옷 소매 터치로 스마트폰 조작…'스마트 재킷' 나왔다 톱뉴스 17.10.06.
4772 호주 호주에서 내 입맛에 딱 맞는 빵 찾기 톱뉴스 17.10.06.
4771 호주 미술 감상하러, 본다이 비치로 간다 톱뉴스 17.10.06.
4770 호주 [월드컵 플레이오프 1차전] 사커루즈, 복병 시리아와 1-1 톱뉴스 17.10.06.
4769 뉴질랜드 4백만 달러 매물로 나온 최고급 승용차 NZ코리아포.. 17.10.09.
4768 뉴질랜드 오클랜드 해변가에 대형 가오리들 죽은채 떠밀려와 NZ코리아포.. 17.10.09.
4767 뉴질랜드 건강 과일 음료, 스포츠 음료보다 설탕 함유량 더 많아 NZ코리아포.. 17.10.09.
4766 뉴질랜드 미국 전과 기록 숨겨, 뉴질랜드 시민권 박탈당해 NZ코리아포.. 17.10.09.
4765 뉴질랜드 5년 동안 8000km 바다 떠돌다 NZ에 도착한 병 편지 NZ코리아포.. 17.10.09.
4764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다섯달째 연속 약세 NZ코리아포.. 17.10.10.
4763 뉴질랜드 교통사고 사망자 “전년 대비 크게 늘었다” NZ코리아포.. 17.10.10.
4762 뉴질랜드 교통사고로 졸지에 부모 잃은 2살과 생후 8개월의 두 아기 NZ코리아포.. 17.10.10.
4761 뉴질랜드 Air NZ “기내 Wi-Fi 시범 운영 시작” NZ코리아포.. 17.10.10.
4760 호주 SA 주의회 출마 선언 제노폰 첫 걸음부터 ‘삐걱’ 톱뉴스 17.10.10.
4759 호주 최근 3년간 호주 정착 북한 국적자15명 가량 톱뉴스 17.10.10.
4758 호주 노동당 중진 마이클 댄비, ABC와 ’휴전’..사과는 거부 톱뉴스 17.10.10.
4757 호주 비숍 외교장관, 대북 정책 설명회 - ”외교적 해법” 역설 톱뉴스 17.10.10.
4756 호주 호주인 40% 수면부족...그 결과는? 톱뉴스 17.10.10.
4755 호주 호주 태동 ‘핵무기 폐기국제운동(ICAN) 2017 노벨 평화상 수상 톱뉴스 17.10.10.
4754 뉴질랜드 지난 달 뉴질랜드 소비자, 예상보다 소비 적어 NZ코리아포.. 17.10.11.
4753 뉴질랜드 NZ 항공기 제작사, 북한에 항공기 부품 간접 수출 유죄 판결받아 NZ코리아포.. 17.10.12.
475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저조한 낙찰률, ‘포스트 붐’(post-boom) 현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