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병원 직원들이 매일 살해 위협, 간호사 얼굴 폭력 및 손목 부상 입히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폭력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질랜드 레지던트 의사 협회는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병원 직원들이 환자 및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극도로 폭력적인" 위협을 당하는 사건이 증가하는 것에 대해 거론했다.

 

사고를 포함해 병원 직원들이 위협당하는 경우로, 한 환자 가족이 병동의 부엌에서 칼을 가져와 직원들을 위협한 것, 보살피고 있는 건강 전문가 중 한 명에게 가위를 들고 위협한 사례, 그리고 손목을 부러뜨려진 간호사, 얼굴에 폭력당한 간호사, 총을 가져 있고 병원 직원이 어디에 살고 있는지 안다고 위협한 환자 등등 많은 사례들이 있음을 뉴질랜드 레지던트 의사 협회는 구체적인 예로 들었다.

 

데브라 파월 NZRDA(뉴질랜드 레지던트 의사 협회) 회장은 병원 직원들은 존경을 받지 않고 있다며, 이런 좋지 않은 환경에 변화가 필요하고, 지금이 바로 그 때라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월 회장의 발언은 오클랜드 보건국이 지난 7월 이사회에서 폭력 사태가 증가한 것을 보여주는 최신 수치를 발표한 이후에 나온 것이다. 

 

이 보고서는 지난 5월에 발표되었으며, 가장 최근의 수치로 보건 및 안전 사고 조사에서 120건의 폭력 사건이 발생했음을 보여주었다. 지역보건위원에서는 이 수치를 낮추고자 하지만, 올해 초부터 그 숫자가 천천히 증가하고 있다. 병원 직원 상해 보상 청구 건수가 지난 4월 29건에서 5월에는 64건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폭력적인 공격에 노출된 병원 직원은 환자 치료 등에 직접적으로 가장 많이 관여하는 사람들 3명 중 한 명이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목받았다.

 

오클랜드 지역 보건위원회 대변인은 이같은 증가 추세가 갑작스러운 폭력의 증가라기보다는 사건을 보고하는 직원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오클랜드 지역 보건위원회 대변인은 병원 직원들이 폭력을 당했을 때 보고하도록 적극적으로 장려해왔고, 그 결과로 사건 발생 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파월 의사협회 회장은 이러한 병원 직원들을 폭력하고 위협을 가하는 행위가 비단 오클랜드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고 말했다. 그녀는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일로 회원들로부터 신고되는 사건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 회장은 마약 복용으로 인한 학대가 발생하기도 한다며, 질병을 치료하고 보살핌의 장소인 병원이 존중받지 못하는 것에 대해 지적했다.

 

파월 회장은 지난달 어머니를 방문했을 때 겪은 경험담을 거론했다. 그 당시 병원 복도를 오가며 걷는 남자가 있었고, 그녀는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릴 수 있었기 때문에 그 남성에게 바깥으로 나가서 걸을 것을 물었는데, 그가 사라지기 전에 언어적인 학대를 했다고 말했다.

 

현장에 있었던 간호사는 자신이 그것을 할 수 없었다며, 대신해서 그 남성을 밖으로 나가게 해준 자신에게 고마움을 표했다고 파월 회장은 덧붙였다.

 

파월 회장은 병원들이 신체적 또는 언어적 학대에 대한 정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그녀는 이러한 사건들이 응급실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병동에서 발생했다며, 말하기 싫지만 이렇게 폭력이 증가하면 현장에 경찰관을 배치해야 할 수도 있고 그러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캔터베리 지역 보건 위원회의 경우, 직원들에 대한 학대 비율이 특히 높았다. 2018년 첫 5개월동안 캔터베리 지역 보건위원회의 경우, 병원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388건의 신체적 폭행 사건과 247건의 언어 학대로 분류된 사건이 기록되었다.

 

켄터베리 지역보건위원회 마이클 프램톤 최고 책임자는 지난 4년 동안 폭행이 증가했다며, 이러한 폭력 사태의 증가는 이 지역의 정신 건강 시설이 수용하도록 설계된 것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이 입원한 직접적인 경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뉴질랜드 최대의 자연 재해 영향이 캔터베리 지역 사회에 계속해서 큰 영향을 미쳤다며,  64명 수용 가능한 정신병 환자 입원 시설에서 어느날 90명의 환자를 관리해야 하는 환경이 되면서 문제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베이 오브 플렌티 지역보건위원회는 같은 기간 동안 환자와 방문자로부터의 103건의 "공격적인 행동"사건이 기록되었다.

 

제니 보건부 장관은 지역보건위원회 병원 직원의 고용주로서 직원들의 안전한 업무 수행을 위한 조치를 강구한다며, 특히 열심히 일하는 직원과 헌신적인 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한 직장에서의 폭력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출처 : News&TalkZB

 

d8518b37c6529f948bed885c4c441fb7_1531694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951 호주 지방대학들, 연방정부의 HECS 상환 제안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0 호주 호주 ‘Child Prosperity Index’ 순위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49 호주 ‘2016 Houses Magazine Awards’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48 호주 노동당 플리버세크 부대표, 교육부 담당 겸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47 호주 Australia's bloodiest WWI... ‘Fromelles’, ‘Pozieres’ 전투 1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46 호주 겨울 시즌 시드니 경매시장, ‘셀러스 마켓’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5 호주 RBA, 기준금리 추가 인하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4 호주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의 ‘최고 선호 여행지’ 꼽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3 호주 글로벌 추세 따라 호주인 중국 유학,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2 호주 “시드니 주거지 개발 붐, 공급과잉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1 호주 연방 정부, 새로운 메디케어 계획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40 호주 2016 호주 인구조사, 어떻게 진행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39 호주 “호주 직장인들, 새로운 기술 흐름에 적응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38 호주 광역 시드니, ‘가장 살기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37 호주 9 of the most incredible places to sleep file 호주한국신문 16.08.04.
5936 호주 하버 전망의 달링포인트 아파트, 178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5 호주 호주가 배출한 최고의 서퍼, 파렐리씨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4 호주 지난 2월 이후 시드니 도심 노숙자 18%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3 호주 2011 센서스 통해 본 호주의 희귀 직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2 호주 ‘인구조사’ 관련, “위반 따른 벌금은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1 호주 UTS, ‘애니메이션 시각학’ 석사과정 개설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30 호주 일과 후의 직장인들 대상, 문화 활동 장려 논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29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최고의 해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28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적정 주택가격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27 호주 심화되는 부의 불평등... “호주는 더 이상 공정사회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26 호주 14 of the world’s most expensive homes on sale right now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1.
5925 호주 MHAHS, 다문화 사회 간염 인식 제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24 호주 봄 시즌, 시드니 부동산 경매시장 다시 불붙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23 호주 태양열 전력 생산,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22 호주 ‘길거리 도서관’ 통한 독서 운동, 학교들 동참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21 호주 NSW 주, 전년 대비 소비자 불만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20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젊은 전문직 종사자 최고 거주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9 호주 Domain Liveable Sydney 2016- 범죄발생과 주거 적합성 평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8 호주 올해 ‘독감’ 기승... NSW 주서 45명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7 호주 호주 원주민 청년 자살률, 전 세계서 가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6 호주 호주 국세청, 허위 세금 환급 신청 사례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5 호주 루시 턴불, ‘헤리티지 주택’ 파괴에 대해 “몰랐다” 일관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4 호주 The 10 best crowd-free roads worth a drive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8.18.
5913 호주 8월 최고 낙찰률 기록, 도심 인근 주택가격 ‘강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12 호주 시드니 최대 이탈리안 축제, 10만여 인파 운집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11 호주 소비자 가격 저렴한 주유소, 시드니 남부 지역에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10 호주 뉴질랜드인들, 타 이민자보다 호주생활 더 ‘불만족’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9 호주 대부분 사립학교들, “전학? 학비 내고 가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8 호주 IPART, 연금수령자 대상 지원제도 변경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7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폭력에 강도 높은 대처...”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6 호주 심장 전문의들, 고령층 ‘심장박동’ 정기 검진 강조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5 호주 시드니 지역 가구당 교통비 지출, 연간 2만2천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4 호주 호주인들, 도박으로 연간 230억 달러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3 호주 정규직 줄고 비정규 늘어, 호주 노동시장 ‘적신호’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
5902 호주 시드니, 전 세계 ‘톱 10 살기 좋은 도시’에서 밀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