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Pokie 1).jpg

지나친 도박 지출로 인해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NSW 주 정부가 특정 지역의 포키머신 확대를 제한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음에도 가장 대중적 도박 수단의 하나인 포커머신(poker machine) 수익이 향후 4년간 12% 성장, 연간 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사진 : aap

 

주 재무부 보고서 전망... ‘도박지출 위험 최소화 계획’ 무색

 

NSW 주 일부 지역의 지나친 도박 지출로 인해 주 정부가 특정 지역의 포키머신 확대를 제한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음에도 가장 대중적 도박 수단의 하나인 포커머신(poker machine) 수익이 향후 4년간 12% 성장, 연간 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같은 전망은 지난 주 목요일(12일) NSW 주 재무부가 내놓은 보고서를 통해 드러난 것으로, 주 정부가 지난 3월 퍼커머신 기계 개혁안을 통해 도박으로 인한 지나친 가계지출 위험을 최소화하겠다고 발표한 이래 처음으로 나온 전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각 지역 호텔 내 게이밍룸(gaming room)에 설치된 퍼커머신 수익이 16% 늘어나 2021년 25억8천만 달러에 이르며, 클럽의 포커머신 수익은 10%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NSW 주 녹색당 내각의 도박피해 담당인 저스틴 필드(Justin Field) 의원은 이번 보고서의 포커머신 수익 전망에 대해 “도박 위험에 대처하는 현 주 정부의 정책이 실패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필드 의원은 “NSW 주는 이미 전 세계에서 퍼커머신 밀도가 가장 높다”면서 “도박으로 유명한 마카오(Macao)와 같은 지역에 비해 인구 당 도박지출은 가장 높다”고 말했다.

필드 의원은 이어 “주 정부가 클럽 회원들에게 이익이 되는 다양한 정책을 위임한다는 내용으로 ‘Clubs NSW’와 양해각서를 체결함으로써 포커머신을 규제하는 데 있어 상충되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NSW Gambling & Racing 부 폴 툴(Paul Toole) 장관실 대변인은 “재부무 보고서의 퍼커머신 수익 전망은 가계지출의 예상 성장률을 기반으로 산정한 것”이라며 “주 정부가 올해 초 내놓은 도박개혁과는 연관이 없는 사안”이라고 반박했다. “주 정부의 도박 개혁 계획은 도박위험이 높은 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것이다.

한편 이번 재무부 보고서는 지난 11일(수), 시드니 서부의 대형 클럽인 ‘Mounties’와 ‘Rooty Hill RSL’이 미디어에 포커머신 수익 공개를 거부한 데 따라 도박관련 당국인 ‘NSW gaming authority’로부터 각 1,100달러의 벌금이 부과된 직후 나온 것이다.

현 NSW 규정에 따르면 등록된 클럽의 경우 불법자금 수입, 임원 급여, 해외여행, 자문료, 잠재적 수익 분쟁을 포함한 상세한 재무 자료 공개를 의무화하고 있다.

호주 공영방송인 SBS 뉴스팀의 한 기자가 두 곳의 클럽 회원으로 가입한 뒤 클럽의 재장 상태 확인을 요청했으나 이를 거절한 데 대해 ‘Liquor and Gaming NSW’는 두 클럽에 각 1,100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SBS 뉴스에 따르면 NSW 주의 가장 부유한 클럽 중 하나인 ‘Mounties’는 지난 2016년 8월가지 1년간 599대의 포커머신으로 1억1,300만 달러의 세전 수익을 기록했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올해 초 동 신문의 한 기자가 두 곳의 클럽 회원에 가입하려 했으나 거절당한 바 있다.

‘Liquor and Gaming NSW’에 따르면 SBS 뉴스팀 관계자가 두 곳의 클럽 회원 자격이 거절당했다 하더라도 서면을 통해 재무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Liquor and Gaming NSW’ 대변인은 “클럽 회원들에 대한 투명성과 책임감이 좋은 운영방식이자 대중적 책임이라는 기본적 메시지를 주기 위해 범칙금을 부과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Mounties 클럽'의 최고경영자는 지난 2015-16년 총 71만 달러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Pokie 1).jpg (File Size:91.7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451 뉴질랜드 뉴질랜드, 전국적으로 주택 시장 냉각 계속 NZ코리아포.. 17.06.02.
5450 뉴질랜드 가출 14개월 만에 주인과 다시 상봉한 반려견 NZ코리아포.. 17.06.02.
5449 뉴질랜드 5억 달러어치 마약밀수범 “22년 징역형 선고” NZ코리아포.. 17.06.02.
5448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저가형 주택 이제 거의 사라져 NZ코리아포.. 17.06.05.
5447 뉴질랜드 토마토 씨앗 밀반입 한국 여행객 ‘입국 거부 후 강제 출국” NZ코리아포.. 17.06.07.
5446 뉴질랜드 어린이와 청소년, 항우울제 처방 10년 사이 거의 두 배 NZ코리아포.. 17.06.07.
5445 뉴질랜드 뉴질랜드, 이번 주부터 스키 시즌 시작 NZ코리아포.. 17.06.07.
5444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다섯 달 동안 계속 강세 NZ코리아포.. 17.06.08.
5443 뉴질랜드 18세 이하, 5명 중 1명 항우울증약 복용 NZ코리아포.. 17.06.08.
5442 호주 ‘6월’ 주말경매 매물 주택, 올해 첫 주 789채 ‘등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41 호주 “나이가 많다고? 나는 정직한 노동자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40 호주 호주 청량음료, 높은 포도당 수치로 당뇨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9 호주 시드니 경전철 공사 또 지연, 주변 상가들 피해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8 호주 ‘식량위기’ 불안감 속, 가구당 음식물 낭비 3천800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7 호주 국세청, “ATO 사칭 세금 사기 조심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6 호주 적정가격 주택, 시드니 도심서 75킬로미터 벗어나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5 호주 NSW, 첫 주택구입자 인지세 면제 범위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4 호주 발리 마약사범 샤펠 코비는 호주로 돌아왔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3 호주 호주 7개 대학, QS 대학평가서 100권 내 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2 호주 호주인 10명 중 7명, “자녀의 삶, 더 악화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1 호주 멜번서 총기 인질극... 호주, 테러 공포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0 뉴질랜드 뉴질랜드 안락사 합법화 법안 추진, 국회의원들 결정에 고민 NZ코리아포.. 17.06.09.
5429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 가장 아름다운 호수 10 군데. NZ코리아포.. 17.06.09.
5428 뉴질랜드 뉴질랜드 부채 $528.7 billion, 여전히 상승 중 NZ코리아포.. 17.06.11.
5427 뉴질랜드 뉴질랜드, 2008년부터 북한에 지원했던 지원금 2016년부터 중단한 이유는? NZ코리아포.. 17.06.12.
5426 뉴질랜드 뉴질랜드 노동당, 순 이민자 수 제한 정책 제시 NZ코리아포.. 17.06.12.
5425 뉴질랜드 불 날 뻔했던 소방서 “사명감 강한 젊은 소방관이 막았다” NZ코리아포.. 17.06.12.
5424 뉴질랜드 시각장애 가진 외국 출신 여아 “비자 연장 거부 결정 정당하다” NZ코리아포.. 17.06.12.
5423 뉴질랜드 [포토뉴스] 10일 개장한 퀸스타운 리마커블스 스키장 NZ코리아포.. 17.06.12.
5422 뉴질랜드 뉴질랜드 요트팀, 스웨덴 제치고 최종결승 진출 NZ코리아포.. 17.06.14.
5421 뉴질랜드 키위달러, 향후 12개월간 미 달러에 강세 예상 NZ코리아포.. 17.06.15.
5420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가격 상승폭, 전국 상승폭보다 낮아 NZ코리아포.. 17.06.15.
5419 호주 ‘Queen’s Birthday’ 연휴로 6월 2주 경매, 다소 침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8 호주 ‘Careers Australia’ 파산... 두 학과, 타 학교에 매각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7 호주 ‘F6 터널’ 환기설비, 학교 인근 설치로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6 호주 중국 거대자본, 호주 교육-정치계 개입 우려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5 호주 호주인들이 강변 주택에 매료되는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4 호주 고령자 운전면허 필수 테스트, “연령 차별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3 호주 NSW 주 정부, 테러 대비해 경찰 공권력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2 호주 지난해 호주 주택가격 상승, 전 세계 평균치보다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1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100년 전을 들여다보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0 호주 “빈부격차 확대, 호주 경제 전반의 걸림돌”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09 호주 미리 보는 NSW 주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08 뉴질랜드 런던 고층 아파트 화재, 불안에 떠는 NZ아파트 거주자들 NZ코리아포.. 17.06.16.
5407 뉴질랜드 뉴질랜드인 3명 중 1명, 도난 경험 NZ코리아포.. 17.06.16.
5406 뉴질랜드 오클랜드 기차, 무임 승차로 골치 NZ코리아포.. 17.06.16.
5405 뉴질랜드 로토루아에서 7,700명 참가 하카 이벤트, 세계적 기록 NZ코리아포.. 17.06.18.
5404 뉴질랜드 지난해 7만 6천 5백명 학생, 학교 결석 NZ코리아포.. 17.06.20.
5403 뉴질랜드 런던 화재 그렌펠 타워 외장 자재 ,오클랜드 100채 이내 건물만... NZ코리아포.. 17.06.20.
5402 뉴질랜드 키위 의대생, 대출 한도로 학위 마칠 수 없어 NZ코리아포.. 17.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