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심은데 콩 나고 / 차수희
씨를 심었다. 냉동 칸에서 툭하고 떨어진 검정 봉지 속에는 기억에도 없는 씨앗들이 들어 있었다. 얼마나 오랫동안 동면중이었던 것일까? 혹시나 살아나길 바라며 땅 속으로 자리를 옮겨주면서 이왕이면 꽃이나 열매까지 맺어준다면 더 좋겠지 싶음에랴. 무슨 식물인지도 모른 채 물을 매일 매일 주던 나는, 미래가 어찌될지도 모르면서 무작정 삼팔선을 넘어왔다던 그녀를 떠올린다.
만 이 년 만에 다시 찾았던 한국. 그 사이 구순의 고개를 넘어버린 친정 엄마는 노인의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어 나를 당황하게 만들었다. 몸은 특별한 탈이 없다지만 반노환동(返老還童- 늙은이가 어린아이로 변했다는 뜻)이라 했던가? 태어나고 자랐던 평양에서의 시간들을 회상하며 천진난만한 모습으로 하루를 채워간다. 소녀 시절의 추억이 그토록 노년의 삶을 미소 짓게 할 줄이야. 말똥만 굴러도 웃어대던 학창 시절 친구들과의 깔깔거림을 말할 때는 내 귀에도 그 웃음소리가 들리는 듯 했다. 그의 입에서 계속 언급되는 ‘우리 엄마가, 우리 아버지가’라는 단어가 매우 생소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내 엄마로만 살아왔던 그에게서 어린 아이의 모습을 처음 봤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을 만큼 그리운 당신의 어릴 적 부모님을 그 동안 어찌 참았을꼬. 대청마루에서 근엄하게 자리를 지켰다던 왕할머니는 집 안의 대소사에서 수습하는 말로 항상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는 법이다’ 로 마무리 짓곤 했다고. 그 때는 어려 정확히 무슨 뜻인지 깨닫지 못했다지만 나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고 자랐으니 그 진리는 대를 거듭하고 있다. 이 단순한 말이 삶의 흔들리지 않는 지지대가 되고 있음을 내가 환갑도 훨씬 넘게 살아내며 여전히 확인하고 있으니. 이팔청춘의 시간들을 풍요롭게 잘 보낸 고향을 떠나야 하는 역사적 사건이 그에게 생겼다. 해방 직후 소련이 점령하면서 무차별 약탈이 점점 심해지니 도저히 견디지 못하고 식구들이 이북 탈출만이 절실한 나머지 앞날은 그려지지가 않았다고 했다.
나 또한 삶의 터전을 옮기는 모험을 감행했던 순간이 있었다. 호주 개척 이백 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988년 초 개방된 바이 센테니얼 파크. 이 공원을 처음 찾았을 때는 새로 심은 나무들이 너무 어려 그늘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47.4헥타르 면적의 쓰레기 매립장을 탈바꿈 시킨 직후이니 가냘프게 겨우 뿌리박고 흔들거리는 묘목들이 내 모습을 닮았었다. 미지의 세계에서 구체적인 계획도 세울 수 없어 그냥 하루하루 부지런히 일하며 세월을 만들 밖에. 콩을 심었다는 생각에 콩을 거두고 싶었고 그럴 수 있으리라는 믿음만으로 키워낸 자녀들은 이제 독립하여 제 갈 길을 가고 있다. 요즘 그 공원으로 매일 새벽 여명이 밝아오는 시간에 운동 겸 산책을 한다. 초창기엔 민둥산 같았던 언덕마다 이제 아름드리나무들이 무성하다. 덕분에 다양한 새들의 보금자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어 지저귀는 여러 가지 소리들이 듣기 좋은 음악이 되어준다. 호수에서는 펠리컨도 만나고 가을엔 때 맞춰 갈색 낙엽도 흩뿌려준다. 겨울로 접어드니 나목을 보여주어 다행히 내가 나고 자란 한국의 사계절까지 살짝 느껴볼 수 도 있다.
땅을 헤치고 드디어 푸른 잎이 여기저기 반갑게 돋아나온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봉숭아가 맞지 싶다. 꽃까지 피어나면 손톱에 물들이며 나로 인해 시드니가 고향이 된 자녀들과 내 어린 시절을 추억할 수 있겠다. 요즘 직장생활에 열심인 두 자녀와 모처럼 카페에 마주 앉았다. 좋아하는 일과 높은 연봉, 무엇이 우선일까? 열띤 토론 중이다. 지켜보던 나의 입에서는 절로 콩 얘기가 새어나오고, 심은 것만 수확할 수 있는 법이라고 말해 주고 있다. 뵌 적도 없는 친정 엄마의 왕할머니가 불현듯 궁금해진다. 아마 이 대물림이 계속 이어지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있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