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호주의 COVID-19 일일 감염자 및 사망자 수는 감소하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COVID-19 사태의 종말을 알리는 시작점이라고 할 수는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말이다. 사진 : Pixabay / Surprising_Shots
일부 국가들, ‘PHEIC’ 상황에서도 COVID-19 관련 방역 조치 대부분 철회
전문가들, “조만간 끝나지 않겠지만 팬데믹이 쇠퇴 단계에 있음은 분명하다” 진단
겨울 시즌이 끝나가면서 호주의 COVID-19 일일 감염사례도 감소하고 있다. 이런 상태로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이 종식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모두에게 간절할 것이다. 하지만 전염병 전문가들은 최근의 관련 수치를 기반으로 “아직은 아니다”며 경계를 늦추지 않는다.
▲ 감염자 차트, 하락세= ABC 방송이 관련 당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해 보여주는 감염자 차트(‘Charting the Spread’. 그림 1 참조)는 지난 7월 이후 하락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보건 당국은 지난 7월 21일 5만5,000명 이상의 COVID 감염 사례를 보고했으며, 이후 감염 사례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지난 달 넷째 주, 일일 확진자 수는 1만 명에서 2만 명 사이를 맴돌았다. COVID-19 발병으로 인한 병원 입원자는 지난 7월 26일 정점에 달했다. 이날 입원환자 수는 5,571명이었다. 이후 7일 동안의 평균 입원자는 정점에서 60% 수준으로 하락했다.
아울러 7월 29일, COVID-19로 인한 일일 사망자는 157명으로 최고치를 보인 이후 이 또한 감소세를 보였으며 지난 주 토요일인 8월 27일에는 62명으로 줄었다.
그림 1. 지난 7월 이후 호주의 COVID-19 감염 사례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사진 : ABC 방송 ‘Charting the Spread’
▲ 호주의 COVID 사망자 비율, 다른 국가보다 적은 편= 미국 존홉킨스대학교(Johns Hopkins University)의 ‘COVID-19 Data Repository’를 활용하여 보여주는 ‘Our World in Data’의 COVID-19 사망자 비율(그림 2 참조)을 보면 이 전염병으로 인한 호주의 치사율은 백신이 나오기 이전 1%에서 3% 사이였다. 그리고 지난 달(8월), 이 수치는 0.14% 수준으로 크게 감소했다.
멜번 소재 빅토리아대학교(Victoria University) ‘Mitchell Institute for Education and Health Policy’ 책임자이자 글로벌 공공보건 전문가인 맥시밀리언 드 코튼(Maximilian de Courten) 교수는 COVID-19 치사율이 낮아진 것에 대해 “백신뿐 아니라 전염병이 진행됨에 따라 개발되는 보다 나은 치료법 및 그 프로토콜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그림 2. 호주의 COVID-19 치사율은 이 전염병 사태 초기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그래프 : Our World in Data(Johns Hopkins University CSSE COVID-19 Data를 기반으로 한 것임)
▲ 그렇다면... COVID 사태는 거의 끝나가는 것일까?= 드 코튼 교수는 “아마 그렇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불행하게도 이 바이러스는 약 6개월마다 감염파동을 일으키는 매우 다른 변이를 보여주고 있기에 이것(감염자 및 사망자 감소 추세)이 전염병 종말의 시작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어 “이는 숫자(전 세계의 감염자들) 게임”이라는 드 코튼 교수는 “(COVID-19 변이는) 기본적으로 복제 오류로 인해 발생하고, 전 세계적으로 많은 감염자가 나올수록 어딘가에서 또 (새로운 변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 팬데믹은 얼마나 더 지속될까= NSW대학교 공공보건대학원 제임스 우드(James Wood) 부교수는 “일일 감염사례가 감소하고 있지만 이것이 전염병 사태의 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세계적 대유행이 연말 이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우드 부교수는 “확실히 팬데믹 사태는 쇠퇴하는 단계에 있다”면서 “호주의 경우 현재로서는 연말까지(더 이상은 아닐지라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하지만 북반구의 겨울 시즌에 새로운 감염 파동이 나타난다 해도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닐 것”이라며 “올해 연말과 연초(크리스마스와 새해 동안), 어디서나 같은 패턴을 가질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대유행은 보통 모든 대륙에서 동시에 새로운 바이러스 전염병이 나타날 때 선언되기에 우리는 그때까지 현 상황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 무엇이 COVID-19를 ‘팬데믹’으로 만들었나= ‘팬데믹’(pandemic)은 공식 선언이 아니라 넓은 지역에 번지는 질병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사무총장은 지난 2020년 3월, 처음으로 COVID-19 발병을 ‘팬데믹’이라고 설명했다. 이것(COVID-19)이 추가 규제를 촉발하지는 않았지만 이 바이러스가 얼마나 널리 확산됐는지를 인정한 셈이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팬데믹’이라는 말에 대해 “가볍게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다”고 말했다. “오용될 경우 근거 없는 공포를 유발하거나 또는 싸움이 끝났다는 부정확한 수용을 초래하여 불필요하게 고통과 죽음을 초래할 수 있는 단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이 상황을 ‘팬데믹’으로 기술한다고 하여 이 바이러스가 제기하는 위협에 대한 WHO의 평가는 바뀌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 그렇다면 WHO의 공식 용어는= WHO의 최고 경보단계인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이다. ‘PHEIC’에 대해 WHO는 “세계적 질병 확산으로 다른 국가에 공공보건 위험을 조성하고 잠재적으로 국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결정된 특별한 사건”(An extraordinary event which is determined to constitute a public health risk to other states through the international spread of disease and to potentially require a coordinated international response)이라고 정의한다.
전염병 전문가들의 진단을 종합하면, COVID-19에 의한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는 조만간 종료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새로운 질병 가능성은 결코 배제할 수 없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WHO는 △심각하고 갑작스러우며 비정상적이고 예상하지 못한 질병, △영향을 받는 국가의 국경을 넘어 공공보건에 영향을 미치고, △즉각적인 국제적 조치가 필요한 경우 ‘PHEIC’을 선포한다.
WHO는 지난 2020년 1월, COVID-19에 대해 ‘PHEIC’을 선언했다. 일반적으로 이를 충족시킬 세 가지 기준이 더 이상 충족되지 않으면 ‘PHEIC’ 선언은 취소된다.
▲ ‘PHEIC’ 종료시점은 누가 결정하나= WHO의 사무총장이 최종 결정을 하게 된다. 다만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보건 규정에 따라 WHO 사무총장은 어떤 질병 사안이 여전히 ‘PHEIC’라는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대해 전 세계 전문가로 구성된 비상사태위원회(Emergency Committee)의 조언을 받아야 한다. 이 조언에 따라 WHO 사무총장은 ‘PHEIC’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 WHO는 언제쯤 COVID-19의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 종료를 선언할까= 이는 불분명하다. WHO의 비상사태위원회 회의는 3개월마다 열리며, 다음 회의는 올해 10월로 예정되어 있다.
드 코튼 교수는 “WHO가 ‘PHEIC’의 종료를 결정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 상황을 해제하는 것은 COVID-19 백신, 치료제, 감염여부 검사를 위한 키트를 전 세계에 ‘저렴하고 공평하게 배포하는 메커니즘의 종료’를 의미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우드 부교수도 WHO가 적어도 내년 1분기나 2분기까지는 그런 결정을 내리지 않으리라 예상하면서 “아마도 더 먼 미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독감이 사라졌다고 할 수 없기에 독감과 같은 계절성 바이러스, 그리고 그것이 인구에 미치는 영향과 (COVID-19가) 어느 정도 동등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려 할 것”이라면서 “WHO는 2~3년간 2~3차례의 호흡기 계절을 통해 오미크론과 미래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을 판단하고자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서도 WHO가 ‘PHEIC’ 상황을 오래도록 유지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는 같은 의견을 보였다. 드 코튼 교수는 “늑대가 없으면 누구도 늑대를 울리고 싶어 하지 않는다”(No-one wants to cry wolf if there's no wolf around)고 비유했다. 아무 일도 없는데 울거나 불평하는 것에 빗댄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호주에서 보았듯 개별 국가는 ‘PHEIC’ 상황에서도 COVID-19 관련 조치들을 대부분 철회했다”고 말했다.
우드 부교수도 “실제로 많은 국가들에서 올해 마지막 분기에 팬데믹과 관련된 거의 모든 조치들을 제거하려 한다는 것을 보면 ‘팬데믹 상황 종료’ 선언을 조만간 보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사진) 사무총장. 그는 ‘팬데믹’(pandemic)이라는 용어를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사진 : PAHO(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 COVID-19 바이러스는 언제 끝이 날까= WHO가 COVID-19에 대한 전략을 업데이트 한 가운데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이 부분에 대해서도 무게를 뒀다. 그는 업데이트 전략에 대해 “COVID-19에 대한 우리의 세 번째 계획이며, 마지막이 될 수도 있고, 또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WHO 전략은 세 가지 미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업데이트 됐다.
△ 최상의 시나리오 : 심각성이 덜한 변이체가 등장하고 추가 백신(booster) 또는 새로운 백신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 최악의 시나리오 : 보다 치명적이고 전염력이 강한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한다. 이 새로운 변이에 맞서지만 사전 예방접종, 감염에 따른 중증 및 보호 상태는 빠르게 약화된다.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현재의 백신 유형을 획기적으로 바꾸고 질병에 취약한 이들에게 확실히 전달되어야 한다.
△ 가장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 : 바이러스는 계속 진화하고 있지만 백신 접종과 감염으로 인한 면역력이 높아짐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감염된다 해도 질병의 심각성은 줄어든다.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감염환자 및 사망자의 주기적 급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취약한 이들에 대한 주기적인 추가접종이 필요할 수 있다.
▲ COVID 이후의 호주는= ‘PHEIC’ 상황이 종료된다 해도 이 바이러스는 계속 남아 있을 것이다. 우드 부교수는 “아마도 우리는 1년에 한번 순환하는 변이에 맞게 조정된 백신에 계속 의존할 것으로 본다”면서 “하지만 앞으로 12개월 동안에는 두 번 정도 백신접종을 받아야 한다는 것도 놀라운 일은 아니며, 백신 우선순위는 더 높은 위험 상태의 사람들이 될 것”으로 진단했다.
이어 그는 “광범위한 마스크 착용에 대한 요구가 많지는 않을 것이겠지만 노인요양시설 및 의료 환경에서는 호흡기 바이러스 순환이 많은 시기, 마스크는 더 중요한 표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COVID-19 또한 독감처럼 될까= 드 코튼 교수는 “COVID-19를 인플루엔자와 비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독감에 걸리면 몸이 좋지 않지만, 또 독감에서 벗어나면 그것으로 끝이지만 COVID-19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장기적 합병증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합병증은 감염될 때마다 추가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감염 후 이런 합병증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알지 못하기에 반복 감염 또한 얼마나 해로운지 현재로서는 파악할 수 없다”며 “이런 부분의 연구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 종합(COVID 진단 1).jpg (File Size:107.7KB/Download:27)
- 종합(COVID 진단 2).jpg (File Size:41.3KB/Download:23)
- 종합(COVID 진단 3).jpg (File Size:47.1KB/Download:22)
- 종합(COVID 진단 4).jpg (File Size:54.2KB/Download:23)
- 종합(COVID 진단 5).jpg (File Size:65.2KB/Download: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