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서비스가 도심 교통체증을 가중시키는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네덜란드 교통정보 기업인 ‘탐탐’(TomTom)이 최근 발표한 교통지표 자료에 따르면 호주의 경우 도심의 교통체증으로 인한 운송시간 증가로 매년 총 33억7천만 달러의 인건비가 낭비되고 있다.
규제 필요성 목소리 높아져, ‘드론’ 등 대체기술 확대 전망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자 수요를 기반으로 한 ‘편의경제’(convenience economy)가 대세다. 하지만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오프라인으로 받는 배달서비스(O2O, Online to Offline)가 확대되면서 시드니 교통에 적신호가 켜졌다고 금주 월요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진단했다.
학자들 사이에서 이 편의경제에 대한 규제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방치할 경우 곧 호주도 런던 중심부와 같이 심각한 ‘교통대란’을 겪게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로열 멜번 공과대학교의 이반 우드콕(Ian Woodcock) 글로벌도시사회과학대 교수는 도심의 배달서비스로 인해 교통체증이 증가하고 ‘스마트 시티’로부터 멀어져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스마트 시티’는 왕복 60분 내에 모든 서비스와 통근이 가능한 도시 모델로, 시민들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는 긴 통근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그 취지다.
우드콕 교수는 “런던은 2003년 도입된 ‘교통혼잡 부담금’(a congestion charge)을 통해 매일 도심으로 진입하는 개인 차량의 수를 줄여나가고 있지만, 여전히 도로 전문가들은 런던을 ‘차량으로 흠뻑 젖어있는 도시’라 칭한다”고 설명했다.
“개인 승용차는 줄였지만 배달용 차량들이 그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그는 “호주도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곧 같은 운명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우드콕 교수는 “호주 도심의 도로는 개인 승용차와 주문 서비스 배달 차량들로 ‘목이 죄이는’ 상황으로, 이는 일종의 유인수요(induced demand)를 발생시켜 도로에 더 많은 차량을 유입시킨다”면서 “이어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한 강력한 정책과 규제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네덜란드 교통정보기업인 탐탐(TomTom)이 최근 발표한 교통지표 자료에 따르면 시드니의 교통체증은 런던보다 심각하다. NSW 주는 교통혼잡으로 통근시간이 36%까지 증가했으며 시민들은 매년 도로에서 151시간을 보낸다고 밝혔다. 런던 시민들의 경우 149시간을 도로에서 보냈다.
자료는 이어 “호주의 경우 도심의 교통체증으로 인한 운송시간 증가로 매년 총 33억 7천만 달러의 인건비가 낭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런 한편 우드콕 교수는 “앞으로 배송 서비스를 주도할 것으로 예측되는 ‘무인자동차‘ 시스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2030년 무인자동차가 도로를 점령할 것이며 이와 관련한 폭넓은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무인자동차가 많아지면 도로 공간에 대한 수요가 상당부분 해소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일각에서는 그렇다고 교통 규제 수준과 도로 공간 재구성을 둘러싸고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고 덧붙였다.
주문배달서비스와 도시 교통혼잡 악화현상 간의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퍼스에 소재한 컬틴 대학(Curtin University)의 피터 뉴만(Peter Newman) 교수는 대량 우편물의 운송의 경우 도심의 도로가 붐비지 않는 시간대를 택한다“며 배달서비스가 ‘스마트 시티’를 훼손시킨다는 증거자료가 있다면 알려달라”고 반박했다.
그는 ‘피크 타임’(peak-time)의 교통혼잡에 대해 “간단한 규제로 쉽게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필수 품목이 아닌 제품의 경우 도로 통행량이 많은 오전 7시 30분~9시 30분과 오후 4~6시에 배달을 금지하도록 규정하면 된다는 제안이다. 물론 피자 배달과 같은 ‘식사’ 관련은 예외사항으로 둘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탐탐’ 사의 크리스 크리스만-더피(Chris Chisman-Duffy)씨는 “교통혼잡을 잡으면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통해 도로 인프라와 차량을 연결하는 ‘스마스 시티’를 성공적으로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교통체증을 줄이기 위한 규제와 스마트 인프라 투자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자동차와 인프라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해 신호등이 신호를 언제 바꿔야 할지 알고 자동차가 자주 신호에 걸려 멈추지 않도록 신호등 시스템을 ‘전면 개선’ 한다면 도로의 흐름이 훨씬 원활해질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최근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하루 종일 운영되고 있는 배달 서비스를 감당할 대안도 절실하다. 호주소매업협회(Australian Retailers Association) 러셀 짐머만(Russell Zimmerman) 회장은 교통량이 많은 시간을 피한 영업시간 이후 배달 시스템을 제안했다. 배송할 물건을 넣은 상자를 자물쇠로 잠근 상태에서 보안상자에 넣어두고 영업시간 이후 배달과 픽업을 하는 방식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우정공사(Australia Post)도 최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오후 5~7시에 ‘영업시간 이외 배달서비스’를 시험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운송업체 ‘고 피플’(Go People)의 CEO 웨인 왕(Wayne Wang)씨는 ‘우편물 선별 기술’로 도로 위 운반 트럭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고 피플’의 경우 우편물 선별 알고리즘(algorithms)을 통해서 배달원들이 한 번에 여러 우편물을 배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Foodora Australia’의 최고 책임자 툰 지셀스(Toon Gyssels)씨는 교통량의 증가로 인한 배달원들의 안전을 우려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드론’(Drone)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드론은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비행과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기로, 최근 배송 관련 업체들이 업무 수단으로 도입하고 있는 추세다.
얼마전 도미노 피자는 미국 드론 스타트업인 ‘플러티’(Flirtey)와 제휴, 드론을 활용한 피자 배달 서비스를 시도했고 GPS를 이용해 뉴질랜드에서 세계 최초로 고객의 집까지 피자 배달에 성공했다.
‘Marketing4Restaurants’의 제임스 엘링(James Eling)씨는 배달서비스 산업이 특히 식품 분야에서 두 가지 양상으로 크게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심 내부에서는 ‘Deliveroo’나 ‘Foodora’와 같은 배달업체처럼 주차 문제가 덜한 자전거나 스쿠터를 이용한 배달이 보다 적극 활용될 것이며, 테이크어웨이 식당에서는 드론의 활용이 확대될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