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년 사이 호주인들의 평균 소득이 주택가격 및 임대료 상승률에 크게 못미친 것으로 나타나면서 현재 임차인으로 살고 있는 이들의 내집 마련은 더욱 요원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임대료 인상으로 계속해 이사를 해야 한다고 토로하는 캔디스 맥로린(Candice McLaughlin)씨.
구입은 더욱 요원... 임대료 상승으로 세입자 부담 가중
시드니 주택가격은 지난 20년 사이 가계소득의 2배 이상 치솟았으며, 오늘날 첫 주택구입 잠재 고객은 더 이상 내집 마련이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렀다고 전문가들이 진단했다.
지난 일요일(29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부동산 섹션 ‘도메인’(Domain)의 분석에 따르면 주택 관련 정책 책임자들은 치솟은 주택가격뿐 아니라 높아진 임대료 문제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시드니대학교 도시 및 지역개발 정책 책임자인 피터 핍스(Peter Phibbs) 교수는 “현재 임대시장에 있는 중저소득 계층의 경우에는 평생 임대 주택에서 거주해야 할 처지”라고 말했다.
“주택구입 잠재 고객으로서 내집 마련을 목표로 필요한 보증금(deposit)을 모으고자 임대료를 지불하고 남은 비용을 저축하고 있지만 임대료 상승이 지속되면서 이마저도 어려운 실정”이라는 게 핍스 교수의 설명이다.
4년 전 캔디스 맥로린(Candice McLaughlin)씨는 약혼자와 함께 시드니 서부 피크닉 포인트(Picnic Point)에서 주(week) $400의 임대주택에서 생활을 시작했다. 임대계약 기간이 끝날 무렵 임대인은 임대료 10% 인상을 요구했다.
현재 그녀는 얼우드(Earlwood)의 임대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다. 이곳의 임대료는 주 $610달러로 피크닉 포인트의 임대주택보다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그녀는 룸메이트를 받아 함께 임대료를 부담하고 있다.
맥로린씨는 “하지만 임대료가 $20 인상됐다”면서 “우리는 다시 새로운 임대주택을 찾아 이사를 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런 상황에서 주택을 구입하고자 노력하지만 매주 $600 이상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나면 주택을 구입하기 위한 최소한의 자금조차 저축하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이런 처지에 있는 이들은 맥로린씨 뿐만이 아니다. NSW 주택 당국인 ‘NSW Housing’,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등의 자료는 주택가격 및 임대료 상승이 소득증가 부분을 크게 앞서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시드니 지역 주택 중간가격은 110만 달러를 넘어섰다.
지난 20년 사이 NSW 주의 평균 가구당 소득증가는 연간 4.3%였지만 그 사이 주택가격은 연간 8.3%, 임대료는 연간 5%가 상승했다.
지난 주 월요일(23일), 베어드(Mike Baird)의 뒤를 이은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은 주 수상으로서 최우선 정책을 “주택가격 안정화에 두겠다”고 밝혔다.
베레지클리안 주 수상은 “주택공급을 늘린다면 임대료 상승을 완화시키고 공실률을 높여 세입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선택의 폭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NSW 세입자 연합인 ‘Tenants Union of NSW’(TUNSW)의 네드 커처(Ned Cutcher) 선임 정책관은 “주택 공급이 많아진다고 해서 반드시 임대료가 하락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특히 기존의 낡고 저렴한 아파트보다 신규 건설 아파트를 선호하는 사람이 많아지게 될 경우 이 현상은 더 심해진다.
따라서 TUNSW는 집주인들에게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변동폭에 맞춰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그는 “이 부분은 법 개정을 통해 해결될 수 있지만 아직 법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세입자 커뮤니티 사이트인 ‘Don’t Rent Me’ 창업자 앤서니 지벨(Anthony Ziebell)씨는 “이 법이 변경되기 전까지 시드니 세입자는 임대계약 기간이 끝날 무렵, 임대인으로부터 어느 정도 임대료가 인상될 것인지를 기다릴 수밖에 없는 처지”라고 말했다.
“문제는 주택가격은 물론 임대료 인상이 물가상승률을 크게 앞서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세입자가 지불해야 하는 비용도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라고 언급한 지벨씨는 “매년 주택가격과 임대료는 수입을 크게 앞서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 마련을 위한 디포짓을 어떻게 저축할 수 있겠는가?”라고 되물으며, “평균 수입을 가진 호주인들이 높은 임대료를 감당하면서 주택구입을 위한 비용을 저축할 것이라고는 전혀 상상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