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칼럼] 외로움 느끼는 자녀, 부모가 먼저 살펴야 한다
(워싱턴=코리아위클리) 엔젤라 김(교육 칼럼니스트) =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합니다. 정기적으로 사람들과 연락을 하고 살지 못하면 우리는 대개 외로움을 느낍니다.
▲ 엔젤라 김 |
미국 역사상 최악의 캠퍼스 내의 총기 살인 시간으로 언급되고 있는 조 승희 사건도 외로운 한 젊은이의 몸부림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고독감은 사람을 우울하게 만들고 두려운 마음까지 들게 만듭니다. 어떤 사람 들은 이런 고독감을 가끔 느끼지만 어떤 사람들은 그런 감정이 아예 삶의 일부분이 되어버려서 아주 힘들게 살아 갑니다. 고독감은 그 자체로 잠시 즐길 만 하지만 해결되지 않은 채 지속되면 예상치도 못한 치명적인 결과로 몰고 가기도 합니다.
우리의 십대 아이들에 대해서 생각해 봅시다. 십대 학생들도 이런 외로움을 느낄까요?
친구들과 재잘거리고 늘 무언가를 하느라 바빠 보이는 아이들, 고독과는 관계가 없어 보이는 이 젊은이들도 외로움을 느끼게 될까요?
물론이지요. 생각보다 많은 젊은이들이 외로움을 호소합니다. 가장 많은 경우는 다른 사람들과 거의 접촉이 없는 십대 아이들입니다.
한국에서와는 달리 미국에 사시는 한인들은 가족의 규모도 작은 데다가 많은 부모님들이 장사다, 일이다 해서 집에 오면 혼자 있는 학생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몇 명 접촉하고 사는 사람들이 있다 해도 그런 인간 관계 속에서 별 의미와 가치를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이 주위 사람들의 삶에 있어서 중요하고 큰 가치를 갖지 못한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때로는 주위의 사람들과 그들의 생각이 자기와 너무 다르다고 느낄 때 외로움을 느끼기도 합니다.
십대 학생들 중 심한 염려로 고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서 사람들을 만나고 친구를 사귀는 일에서도 문제를 보이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너무 오랫동안 외로움을 느껴온 십대 아이들은 결국 만사가 부질 없는 일이라고 믿게 되며 소외감을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격리감을 느끼게 되며 남들과 자기는 다르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 다음 단계로 자신을 제외한 모든 세상은 서로 어울려서 다 잘 돌아가고 있으며 단지 자신은 거기에 속해 있지 않다고 믿기 시작합니다.
외로움과 우울증은 매우 연관성이 많은 것처럼 보입니다. 때로는 외로움을 우울증과 혼동하기도 합니다. 우울증의 결과 외로운 감정을 갖게 되기도 합니다.
외로움의 감정을 야기시키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데 그런 원인들이 외로움으로 발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려 들지 않습니다.
먼저 우리 십대 아이들이 모두 자문해 보아야 할 질문은 무엇을 할 때 이런 외로움의 감정이 드느냐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집에 늘 혼자 있고 아무데도 나가지 않습니까? 자신이 못생기고 바보 같으며 재미도 없어서 아무도 자기를 좋아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이 듭니까? 아무도 자신을 이해해 주지 않는다고 스스로 생각할 때가 많고 또 실제로 아무도 자신을 이해해 주지 않습니까?
술이나 담배, 약물을 사느라 다른 것을 할 경제적 여유가 없습니까? 워낙 겁이 많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을 싫어해서 새로운 사람을 만나거나 새로운 일을 하는 것을 꺼립니까? 자신이 집에서나 학교에서나 골칫거리요 애물단지라고 생각합니까?
이런 생각을 우리 젊은이 들이 하는 것은 하루 아침에 일어나는 일이 아닙니다. 그리고 환경이 동일하다고 해서 모두 같은 결과를 보이는 것도 아닙니다.
부모가 다 일하느라 바빠서 불가피하게 자녀가 혼자 있게 되는 시간을 많이 갖게 만든다 해도 어떤 아이는 그렇게 애쓰는 부모를 챙기고 돕고 이해하는 아이로 성장하고 또 어떤 아이는 그 외로움을 부모에 대한 반항심과 증오심으로 표출하기도 합니다.
부모로서 도울 일은 늘 자녀의 "안색을 살피는" 일입니다. 위에 예를 들은 것과 같은 외로움의 증세를 보이는지 잘 살피시라는 것입니다.
다음 주에는 외로움의 증상을 보이는 십대 자녀들을 도와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함께 생각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문의> 엔젤라 유학/교육 상담 그룹, www.angelaconsulti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