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은 세상을 보는 창(窓)이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세상의 이야기를 언론을 통해 획득한다.
신문기사는 ‘신뢰’를 바탕으로 한 언어이기에
때로는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투자하기도 한다.
1850년대 미국 신문은 ‘골드러시’로 도배됐다.
금을 부추기는 기사들은
“땅에서 줍기만 하면 내 것”이라며 연일 대서특필했다.
보도만 믿고 일확천금을 꿈꾸며 서부로 몰려갔던 이들은
불과 몇 주만에 알거지로 전락했다.
보도의 출처는 폐광을 구입한 후
투자자를 모집해 사기를 치려했던 이들.
사기꾼의 농간에 넘어간 언론이
사기에 가담한 꼴이 돼버린 웃지못할 사례다.
1980년 워싱턴포스트지 1면에 실린 ‘지미의 세계(Jimmy’s World)’는
세계 언론사에 ‘허위보도’라는 씻지 못할 오명을 남겼다.
‘지미의 세계’는 다섯살부터 마약중독자였던
흑인 아이 지미의 삶을 다뤘다.
3대에 걸친 빈민가정의 마약중독사를 섬세한 필치로 그려낸 기사는,
‘탐사보도의 극치’라는 극찬을 받으며
초년생 여기자 재닛 쿠크에게
‘언론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퓰리처상을 안겨줬다.
그러나 지미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가공의 인물.
결국 기사가 아닌 소설을 쓴 재닛 쿠크는 받았던 상을 반납해야 했고,
워싱턴포스트는 3페이지가 넘는 지면을 할애해 사과문을 실어야 했다.
언론인 스스로 ‘언론은 거짓말’이라고 자백한 이도 있다.
에릭 번스는 ‘FOX 뉴스워치’를 10여년간 진행한 베테랑 기자다.
2009년 미국 언론역사의 부정행위를 파헤친
‘All the news unfit to print’를 출간한 그는
“미국 언론의 역사는
온갖 오류와 은폐와 누락과 장난과 거짓말로 점철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1747년 4월 15일, 런던의 한 신문에
5명의 아이를 혼외정사로 낳은 죄로
법정에 선 폴리 베이커라는 여인의 이야기가 실렸다.
글은 혼외정사를 한 아버지의 죄는 묻지 않고
어머니의 죄만 혹독하게 처벌하는
당시의 불공정한 법의 실태를 여실히 드러냈다.
그러나 이 또한 꾸며낸 이야기다.
글을 쓴 사람은 미화 100달러 지폐 얼굴의 주인공인 벤자민 플랭클린.
30년이 지난 후 벤자민 플랭클린은
‘폴리 베이커의 재판’이 자신이 지어낸 글이었음을 자백했다.
그 때나 지금이나 대다수 사람들은 언론이 이끄는 대로,
기사에 기록된 대로, 믿고, 판단하고, 사고한다.
문제는 조미료를 넣지 않은 음식에서
맛의 부족함을 느끼는 현대인의 입맛처럼,
부풀리고 포장된 자극적인 언어의 맛에 길들여지고 있다는 것이다.
정상적인 말로는 전달에 부족함을 느끼는 과잉언어의 시대다.
‘제안했다’는 말도 ‘파격적으로 제안했다”고 써야 입맛에 맞고,
‘슬퍼했다’는 표현도 ‘억장이 무너졌다’로 표현해야 그럴듯 하다.
언론의 과잉언어 수위는 점점 더 높아가고 있다.
펜 끝에 칼을 문 전쟁같은 글들이
제각기 ‘정당한 시각’으로 겉모습을 치장하고 있지만,
그 속내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편향 일색이다.
누구편이냐는 관심 밖이다.
과잉언어의 수위 또한 나중 문제다.
중요한 것은 사실 왜곡을 하고 있느냐, 아니냐다.
아무리 펜 끝에 칼을 달고 글을 써도
거짓만은 적어선 안된다.
그것이 언론이 지켜야 할 윤리의 마지노선이다.
지금, 언론이 손에 쥔 것은 진실을 쓰는 펜일까,
펜을 가장한 거짓의 칼일까.
요즘 들어 헷갈릴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뉴스넷] 최윤주 편집국장
editor@newsnetus.com
하하 소설기사를 옛날 기자양반들이 '도끼다시 기사'라고 했다죠?
'영원한 기자' 리영희 선생님의 명언이 다시 떠오르는군요.
"나의 글 쓰는 유일한 목적은 진실을 추구하는 오직 그것에서 시작되고 그것에서 그친다."
"기사에서 미문(미혹하는 문장, 아름다운 문장)을 쓰려고 하지말라, 진실은 미문에 있지 않고 '실증'에 있다."
fact를 넘어선 truth찾기... 우리의 고민은 세상을 보이는데로 보지 않고, 실증을 통해 '해석'해야 하는데, 이게 말처럼 쉽지 않다는 거. 끊임없이 공부하는 기자가 되어야 하는데, 바쁜 기자가 공부할 시간도 없고, 아니 그럴 필요성도 못 느끼고 있다는게 문제겠죠.
정말 오랜만에 들어보네요. '도끼다시 기사'. ^^
Fact에 집중하면 적어도 '거짓'을 얘기하지는 않을텐데... 색안경을 끼고 선입견을 입고 한 쪽 눈을 감은 후, 보고싶은 대로 보고, 듣고 싶은 대로 듣고, 해석하고 싶은대로 해석하고, 무엇보다 Fact를 보기도 전에 패거리 입장정리에 이미 몸을 담고 있다보니 진실은 커녕 사실을 대면할 생각조차 없는 사람들(특히 기자들)이 너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