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역살이’의 외로움… 시와 글로 승화시킨 이
김상욱(유라시아고려인연구소장, 한인일보발행인)
2006년 5월 9일 오전, 양원식 선생이 갑자기 운명했다는 연락을 받았다. 순간 내 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필자와 함께 보드카 한잔을 곁들여 저녁식사를 할 정도로 건강하셨기 때문이다. 흥이 많으셨던 고인은 그 날 저녁 "노래 한자락 하러 가자"고 제안할 정도였다. 필자는 즉시 카자흐국립대학교 정문 맞은편에 있는 양선생님의 아파트로 달려갔다. 그의 집에는 이미 빈소가 마련되어 있었고 조문객들이 붐비는 것을 보고 이것이 사실임을 깨닫았다.
양원식 선생은 이렇게 홀연히 우리 곁을 떠나가셨다. 돌이켜 보면 고인과의 인연은 9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알마티국립대학교 조선어과 교수로 파견된 필자는 고려일보 주필실에서 고인을 처음 만났다. 이날 그는 필자의 대학신문기자 경력을 아시고 고려일보 한글판 제작을 도와달라는 부탁을 했고 이후 필자가 박사학위 논문을 쓰기 위해 몇 년간 쉰 것을 제외하고, 지금까지 17년째 동포사회의 행사나 고국 소식을 기사화해서 제공하고 있다.
고인은 생전 “고려인들이 모국어를 몰라서 이제 더 이상 한글판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었다"면서 안타까워했다. 동료기자들이 좀 더 급여가 높은 한국기업의 통역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바라보면서 끝까지 신문사를 지켰던 고인은 필자에게 “ 16면 중 한글판 4개면을 발행하기에도 벅차다”고 솔직한 심정을 토로하곤 했다.
그는 평소 "고려인동포사회의 지도자는 학식과 덕망을 갖춘 자가 되어야 한다"면서 “동포언론을 비롯한 문화단체의 활성화와 모국어 재생사업에 온 힘을 쏟아부어야 한다”고 강조했고 돌아가시는 순간까지 이를 실천하기 위해 고려일보 편집실을 떠나지 않았다.
그러나 고인의 개인적 삶은 그의 표현대로 ‘이역살이’, ‘나그네’ 신세였다. 소련국립영화대를 졸업하고 볼가그라드에서 60년까지 영화감독과 텔레비전 카메라감독으로 일하던 그는1984년 부터 〈레닌기치〉 문화예술부장으로 일하면서 타향에서의 외로움과 고향산천에 대한 향수를 시와 글로 표현했다. 그는 자신의 시에서 “어머님 품 마냥 한없이 넓은 초원/ 밤하늘 별나라 바라볼 때면 구수한 들쑥냄새/ 달콤한 꿈까지 보게 됩니다/ 이역살이 괴로움도 잊게 됩니다.”고 노래했다.
소련작가동맹 회원, 국제펜클럽 회원 등의 직함을 가졌던 고인은 한편으론 남에도, 북에도 속할 수 없는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살았다. 그가 주필로 있던 고려일보가 1994년부터 한국어 표준어 규정에 따라 두음법칙을 적용하고 한국기사체로 쓰기 시작하자 현지 고려인 동포들이나 북한 외교관들은 그에게 매우 거칠게 항의를 해 왔다. 반면 한국사람들로부터는 여전히 북한식 냄새가 난다며 외면당하는 상황에 빠지게 되었다.
고인은 “수십년 동안 써오던 문체를 어떻게 하루 아침에 바뀔 수 있는가?” 라며 항변을 해 보곤 했지만 남과 북 그리고 고려인들로 부터도 공격을 당하기는 매한가지였다. 그래서 그는 각종 동포행사나 간담회 자리를 빌어 “남북한의 학자, 언론인이 모여 용어와 명칭을 통일하고 이질화 되어가는 우리말을 다듬어야 한다”고 외치곤 했다. 허나 현실은 개선되기는커녕 그 간극이 더 벌어지는 것 같아 안타깝기 그지 없다.
마침 고려인들의 중앙아시아 정착 80주년이 다가오고 있다. 최근 고려인협회는 이를 준비하는 회의를 가졌다고 하는데, 80주년을 계기로 고인이 평소 주장하던 ‘모국어 재생’을 효과적인 방법과 용어, 명칭의 통일 문제가 진지하게 고민되었으면 좋겠다. 더불어 일회성 행사위주의 80주년이 아닌 고려인 동포사회의 미래를 조망해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래본다.
고인을 보낸지 10주기가 되는 올해, ‘이역살이’의 외로움과 ‘경계인’의 삶을 시와 글로 승화시킨 고인처럼 비록 한반도에서 태어났지만 이 땅에 건너와 이 땅에서 삶을 엮어 가는 이들이 늘고 있다. 바라기는 이제부터 이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줄 것을 주문하고 싶다. (이들의 자녀들이 조국으로 돌아가 병역의 의무를 다하고 있음에랴……)
"어머님 품 마냥 한없이 넓은 초원
밤하늘 별나라 바라볼 때면 구수한 들쑥냄새
달콤한 꿈까지 보게 됩니다..."
고 양원식 교수님, 참 멋지고 존경스런 분이군요.
사연을 읽자니 가슴이 짜르르 아파오네요.
우리 민족에게 원죄와도 같은 이 분단을 어찌할꼬...
수 년 전 단발마적 레드 콤플렉스 멍석말이를 당한
경계인 송두율 교수님의 그늘진 얼굴 모습도 떠오릅니다.
민족을 품에 안고 살다 가신 양 교수님의 작고 10주년을 애도합니다.
좋은 내용의 글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