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의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15)
Newsroh=강명구 칼럼니스트
아기들에게 먹고, 자고, 싸는 문제는 제일 중요한 일이다. 길 거리에 나서니 지금 내가 딱 그렇다. 어디서 하룻밤을 자고 또 어떤 음식을 제 때 먹고 잘 싸는가가 제일 중요한 하루 일과이다. 매일 숙소에 들어가면 제일 먼저 하는 것이 샤워를 한 다음에 다음날 갈 곳을 찾아보고 그곳에 숙소가 될 만한 곳이 있나 검색하는 일이다. 40에서 50km 정도의 숙소를 검색한다.
일요일에는 모든 가게가 문을 닫고 슈퍼마켓까지 문을 닫아서 자칫 잘못하면 하루 종일 굶는 일이 발생할 수가 있다. 토요일 슈퍼마켓에서 우유 몇 병, 오렌지주스, 그리고 우리나라의 동그랑땡 같은 것하고 감자샐러드를 사서 담았는데 일요일은 다행히 식당을 제 때 만나서 그 음식이 그대로 남았다. 월요일에 또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몰라서 안 버리고 가지고 다니다 2시가 다되도록 점심 먹을 곳을 찾지 못해 우유를 마시려니 상해서 그대로 버렸고 동그랑땡은 괜찮은 것 같아서 다 먹어치웠다. 뭐 좀 먹으니 다시 힘이 나는 것 같다.
나는 식사를 식당에서 해결하는 일은 독일에 들어와서부터 꺼리게 되었다. 식당에 들어가면 종업원이 메뉴판 가져다주는데 십여 분, 다시 와서 주문받는데 십여 분, 주문받아서 나오는데 2,30 분은 걸려서 참을성 없고 그 시간에 쉬어야 하는 나로서는 어울리는 장소가 아니다. 그저 햄버거나 피자, 중국음식을 주문해서 먹는 것이 제일 맞는데 그런 곳은 많지가 않다. 그야말로 큰 도시나 가야 있다. 그래도 저녁은 식당을 찾아가서 참을성 있게 잘 먹었는데 자려고 자리에 눕는 순간부터 밤새도록 화장실에 다녀야했다.
내가 맛을 탐하는 식탐가(食貪家)는 아니지만 독일에서 맛있는 음식을 먹어본 기억이 없다. 그저 우리의 족발과 같은 슈바이네 학센을 제일 맛있게 먹을 음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햄버거는 독일에서 유래된 음식이다 19세기 독일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흔히 말하는 함박 스테이크, 즉 '햄버그스테이크'가 함께 넘어간다. 이 명칭은 함부르크식 이라는 뜻에서 "함부르거(Hamburg-er)" 라고 명명한 것이 시초이다. 이 햄버그스테이크를 빵에 끼워 팔기 시작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흔하게 먹는 음식이 된 것이다.
역마차는 15세기에 처음 생겨났다고 한다. 일반시민이 마차를 소유한다는 것을 생각조차 할 수 없었던 시대에 역마차가 등장하면서 보통시민들도 여행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 때부터 여행이 대중화되기 시작했다고 보면 된다. 이 역마차의 하루 이동거리가 45km정도라 하니 내가 역마차 하루이동거리를 매일 이동하고 있는 셈이다. 합승을 하니 도시마다 일정한 역이 있어야 하는데 그 장소를 포스트(Post)라고 불렀다. 그 포스트가 있던 장소에 지금도 호텔이 있고 식당이 있다. 독일의 호텔은 거의 아침을 제공한다.
포스트는 현대의 역과 안내소, 우체국, 화물취급소 대합실, 식당, 호텔 등을 겸하게 되었다. 옛날에 포스트 여관이었던 호텔은 지금도 포스트 호텔이라는 상호를 그대로 쓰고 있다고 한다. 포스트 호텔은 근대적인 호텔은 아니지만 옛 정취와 멋을 그대로 보여준다. 역마차는 편지도 운반하게 되었는데 현재의 우체국의 전신(前身)이기도 하다. 숙소를 찾는 일이 일과를 마치고 하는 어려운 일 중에 하나지만 지금까지는 별 문제가 없었다.
나는 며칠씩 방을 미리 예약하지 않는다. 무슨 상황이 발생하여 일정을 변경하여야 될지도 모르고 몸의 상태를 보아가며 약간의 거리도 조절하기 때문이다. 하루 전에 예약한 티엔도르프의 호텔까지 갔는데 예약은 내일로 되어있고 오늘은 방이 매진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예약을 취소할 수 없으니 방값은 내고가라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 분명 내가 실수한 일이지만 잠도 자지 않은 방을 요금은 다 내고 가라니 그것도 황당하지만 작은 마을이라 주위에 다른 호텔도 없다.
말싸움해봐야 소용도 없고 그럴 기운도 없었다. 나와서 조금 걸어가니 고속도로 옆이라 맥도날드가 있다. 거기서 일단 허기를 채우고 날이 저물면 이 근처에서 야영을 하려고 SNS에 상황을 올렸다. 한국시간으로는 자정이 가까운 시간이었는데 순식간에 전 세계적인 한인네트워크가 가동돼 ‘강명구 일병 구하기’에 나섰다. 우선 세계한인회장단 회의 참석차 한국에 가있는 박선유 재독한인회장이 연락이 와서 조치를 취해 줄 테니 맥도날드에서 움직이지 말라고 해놓고 독일의 연락망을 풀가동시킨 모양이다.
한국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 독일의 정진헌 박사, 미국에 있는 친구, 태국에 있는 아내까지 군사작전을 방불케 하는 바쁜 움직임으로 방과 캠핑장소 그리고 커뮤니티센타까지 샅샅이 검색하고 아는 사람 연락망을 총동원하는 기동력을 보였다. 그렇게 두어 시간 부산하더니 바로 정진헌 박사에게서 연락이 왔다. 드레스덴에 사는 교민이 차로 맥드날드까지 가서 나를 태우고 집에 가서 재우고 다음날 아침 그 자리에 다시 내려주기로 했다는 것이다.
적지에서 구출된 강명구 일병은 눈물이 핑 돌도록 가슴이 뭉클하여 차를 타고 드레스덴의 신중욱씨의 집으로 갔다. 집에 갔더니 하얀 쌀밥에 김치만 보아도 감격을 하는데 콩나물국에 참치구이와 소고기 구이를 겸한 푸짐한 저녁식사까지 하는 호사(豪奢)를 누리게 되었다. 2남 1녀를 키우는 다복한 독일의 한인가정에서 따뜻한 이야기를 나누며 하룻밤을 보내는 아름다운 밤을 선물로 받았다.
내가 홀연히 길을 나섰을 때 풍찬노숙(風餐露宿)에 돌베개를 베고 자는 것쯤은 아무 일도 아니라고 마음의 다짐을 하고 출발하였다. 나는 온갖 낯설음에 매료될 준비가 되었다. 알아서는 안 될 욕망을 쫓아 발정 난 수캐처럼 온갖 낯선 것들과 질펀하게 사랑을 나누고 올 것이라고 다짐을 했다. 그것이 설령 육체적인 고통을 안겨줄지라도 아랑곳하지 않겠다고 다짐을 했다. 나는 혼자 달리는 줄 알았다. 그러나 나는 수많은 사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달리는 것을 알았다. 사람들은 나를 염려하여 주었지만 내가 체력이 다하여 넘어져서 일어나지 못하면 통일의 발걸음을 멈추게 될 것을 염려하는 것이리라.
엘베강을 품은 드레스덴은 14세기 베틴 왕족이 다스리는 섹소니 왕국의 수도로 17세기와 18세기에 최고의 번영을 누리던 곳이다. 독일의 피렌체라 불릴 만큼 아름다운 도시로 예술과 음악의 도시로 명성이 높았지만 2차 세계대전으로 전파되었다가 통일 후 다시 명성을 찾아가고 있다. 드레스덴은 ‘강가의 숲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슬라브 민족이 살던 곳에 독인인이 이주해와 마을이 시작되었다.
츠빙거 궁전 위로 지는 독일의 가을 석양은 눈이 부셨다. 참 바보짓을 한 것이 극적으로 전화위복(轉禍爲福)이 되어 잘 자고, 잘 먹고, 다음날 색깔도 좋게 잘 쌌다.
글로벌웹진 Newsroh 칼럼 ‘강명구의 마라톤 문학’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gmg
- |
- 1506512591277.jpg (File Size:114.5KB/Download:32)
- 20170926_144550.jpg (File Size:163.4KB/Download:32)
- 20170927_125657.jpg (File Size:217.8KB/Download:37)
- 20170927_154401.jpg (File Size:220.9KB/Download:32)
- 21766682_1405646849533585_7133668709273581875_n.jpg (File Size:57.9KB/Download: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