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스 커밍스 “미국 매체들, 북한 문제 보도 끔찍한 수준”
올랜도서 한국전쟁유업재단 주최 미국 고교 역사교사 세미나
▲지난 13일 올랜도 힐튼 터스카니 호텔에서 열린 한국유업재단 주최 ‘현대 한국 알리기’ 세미나에서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 석좌교수가 강연을 하고 있다. |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미국 주요) 미디어… 이건 정말 끔찍하다(terrible).”
한국전쟁과 한반도 문제의 세계적 권위자로 알려진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 대학 석좌교수가 지난 13일 오전 올랜도 힐튼 터스카니 호텔에 열린 미국 고교 역사교사들을 대상으로 열린 학술세미나에서 미국 주요 미디어들의 북한관련 뉴스 보도 태도에 대해 탄식한 말이다.
한국전쟁유업재단(Korean War Legacy Foundation, 이사장 한종우 시라큐스 대학 교수)이 주최하고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이 후원하여 ‘현대 한국 알리기(Understanding Modern Korea)’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세미나는 미국 전역의 고교 역사교사 70여 명이 초청되어 14일까지 이틀 동안 열렸다.
커밍스 교수는 13일 오전 ‘한국전쟁 전과 진행중 미국의 전략’이란 주제 강의에 이어 오후 기조강연에서 ‘북한정책의 원천’이란 주제로 강연했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의 ‘말폭탄’으로 핵전쟁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된 가운데 열려서인지 참석 교사들의 강의에 대한 집중도와 관심이 뜨거웠다.
커밍스 교수는 한국전쟁은 막 시작된 미소 냉전에서 공산주의 확장에 대한 봉쇄정책이 정착된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로 2007년까지 항구적인 정책으로 굳어진 과정을 소개했다. 한국전 당시에 적용된 봉쇄정책은 이후로 베트남전과 1991년 걸프전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당시 봉쇄정책을 입안하고 주도한 인물은 국무부 외교관 조지 캐넌이었다. 그러나 그는 유일하게 미국의 한국전 개입을 반대했으며, 나중에는 ‘핵의 무용성’을 주장하는 등 핵개발을 극도로 싫어한 인물로 소개된다.
커밍스 교수는 ‘애치슨이 기획하고 애치슨이 치른 전쟁’이라 불릴 만큼 한국전쟁은 당시 애치슨 국무방관의 관리하에 이뤄졌다’는 조지 캐넌의 말을 소개했다. 이른바 ‘애치슨 라인’을 공표하여 의도치 않게 북한의 남침을 유발시킨 것도 애치슨과 한국전의 관계를 잘 설명해 주는 것이다.
후에 해임된 캐넌은 회고담에서 2차대전 이후 미국이 벌인 전쟁 중에서 최악의 전쟁은 한국전과 이라크전이라고 비판했다. 커밍스 교수는 ‘동서 냉전의 정점에서 벌어진 한국전이 장래 미국의 세계전략의 방향을 결정할 만큼 중요한 전쟁으로, 베트남전보다 훨씬 중요한 전쟁이었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유교적 군주국가, 다름 인정해야"
커밍스 교수는 오후에 가진 ‘북한 정책의 원천(The Sources of North Korean Conduct)’ 주제의 기조강연에서 현재의 북한문제를 다루었다. 특히 그는 <시앤앤(CNN)>, <폭스 뉴스(Fox News)>, <엠애스앤비시(MSNBC)>, <뉴스 위크(News Week)> 등 미국 주요 미디어들의 북한 관련 뉴스에 대한 비 이성적 보도태도를 비판했다.
그는 시사잡지 <뉴스위크>가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후 북한을 ‘목 없는 괴물(Headless Best)’이라는 표제로 특집기사를 실은 것을 비롯, 여러 미국의 매체들의 북한 관련 뉴스들을 소개하며 “미디어… 이건 정말 끔찍하다(terrible)”고 탄식했다. 미국 매체들이 악마화(demonization)한 북한 이미지를 미국사회에 심어줬다는 것이다. 그는 "23년 전 김일성이 사망했을 때 모두들 북한이 곧 망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북한은 망하지 않았다"면서 "북한은 작년에 4%의 경제성장을 이뤘다"고 소개했다.
▲지난 13일 올랜도 힐튼 터스카니 호텔에서 열린 한국유업재단 주최 ‘현대 한국 알리기’ 세미나에서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 석좌교수가 기조 강연에서 미국 미디어의 북한 보도가 형편없는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
그는 ‘배타적이고 고립된 체제인 북한은 러시아이든 중국이든 누구에게나 ‘노’라고 말한 역사를 가진 나라이고, 여전히 그렇게 할 수 있는 나라이며, 다른 나라로부터 배우기 힘든 나라’면서 ‘자력갱생’으로 버티어 온 북한의 역사를 설명했다.
커밍스 교수는 북한이 핵개발에 집착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미국 정가에서 벌어진 초기 핵 개발.배치 논쟁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한편, 한국전에서 완파된 북한 지역 사진을 보여주고 “그것(북핵)은 역사적 결과물”이라면서 “북한은 지하에 1만5천곳의 시설 갖춰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1950년대는 미국이 (풋볼에서 전체 게임을 이끄는 주요 선수인) 쿼터백이었지만 지금은 아니다”면서 “2017년 현재 그(김일성)의 손자와 재앙적인 전쟁에 직면해 있고, 그는 핵무기와 대륙간탄도탄(ICBM)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은 다시 72년 전의 전략적 실패를 되풀이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프로젝트 화면에 트럼프와 김정은의 짧게 깎은 옆머리 모습의 포샵 사진을 나란히 배열하여 좌중에 웃음을 안긴 커밍스 교수는 ‘북한은 기본적으로 군주국(monarchy)’이라면서 ‘3대째 세습이 북한에서 용인되고 있는 이유는 유교적 군주국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세상에는 다른 생각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이 있으며, 우리는 인간의 다름(human difference)을 인정해야 한다”는 말로 강연의 끝을 맺었다.
▲지난 13일 올랜도 힐튼 터스카니 호텔에서 열린 한국유업재단 주최 ‘현대 한국 알리기’ 세미나 광경. |
“한국 제대로 알리기, 한국전 베테랑과 미국교사들 겨냥해야”
한편, 이번 세미나를 주최한 한국전유업재단 한종우 교수는 ‘경제와 정치의 동시적인 발전의 한국 유산 이해하기(Understanding Korean Legacy of simultaneous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한 교수는 우선 개발도상국의 경제와 민주주의 발전의 관계에서 ‘경제개발이 민주주의를 이끈다’는 식의 직선적 모델은 한국의 경우에 맞지 않는다고 운을 뗐다.
한 교수는 한국이 세계 11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고 동시에 민주주의를 이뤄낼 수 있었던 것을 중앙집중화 시스템(centralized system)인 ‘유교’에서 찾아냈다. 그는 “한국사회를 연구하는 전문가들이 유교를 비과학적인 범주로, 또는 주변적인 요소로 치부해 버리는 실수를 저질렀다”면서 “사회과학적 분석의 틀로서의 유교를 제외하고는 한국의 경제와 정치의 발전을 규명해 내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한국이 개발국가가 될 수 있도록 한 요인인 국가의 시장개입도 중앙집중화된 유교 문화 때문이며, 박정희 대통령의 개발정책이 한국땅에서 효력을 발휘한 것도 이같은 분위기에서 가능했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결집된 힘을 발휘하는 유교 시스템은 한국의 경제 발전뿐 아니라 정치발전에 동시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유교 문화가 경제발전과 정치적 민주주의를 동시에 이뤄냈다는 주장은 한 교수의 책 < Power, Place and State-Society Relations in Korea >에서 자세히 다뤄지고 있다.
메릴랜드 대학의 이보람 교수는 일제 강점기 초기의 한국인들의 독립운동사, 1919년 3월 이후의 일본의 문화정책, 일제 말엽의 정신대 피해 여성들에 대해 소개했다. 특히 이 교수는 2차대전 직후 독일의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에서 나치 전범들의 범죄행위가 확실하게 다뤄졌던 데 비해 미국이 도쿄전범재판에서 위안부 문제 등 인권문제를 거의 다루지 않은 것은 분명한 실책이라고 비판했다.
이밖에도 존스홉킨스대학의 북한 전문 매체인 <38노스>의 책임연구원 제임스 퍼슨 박사도 '북핵 중단 가능한가'를 주제로 강연했다.
세미나의 후반부는 앞서 강의 내용들을 참석 교사들이 교안으로 만들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교안들을 중심으로 실제 수업에서 교사들이 사용하도록 한다는 취지에서다. 한 교수는 "트럼프와 김정은의 폭언으로 긴장이 고조된 북핵 미사일 문제를 제대로 교육하기 위한 학습자료를 제작.제공하는 사업을 진행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세계역사디지털교육재단 이사장이기도 한 한 교수는 “최근 들어 한국정부가 한국을 홍보하기 위해 이런 저런 사업에 돈을 쏟아붇고 있지만 실효성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면서 “이제는 일시적인 단발성 이벤트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미국 사회의 교육계, 차세대 주인인 학생들을 겨냥한 사업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사회에서 누구보다도 한국에 대한 관심과 애착이 강한 한국전 베테랑 그룹을 결집시켜 미 행정부를 움직일 수 있는 힘으로 삼는 한편, 한국에 대해 거의 관심이 없는 미국 교사들에게 제대로 된 한국 역사를 커리큘럼에 포함시키도록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한종우 교수의 지적이다.
▲지난 13일 올랜도 힐튼 터스카니 호텔에서 열린 한국유업재단 주최 ‘현대 한국 알리기’ 세미나에 참가한 교사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