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인의 눈이 또 다시 파리로 쏠리고 있다. 지난 11월13일, 전세계를 놀라게 했던 파리테러에 이어 이번에는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가 열리고 있기 때문이다.
파리 테러의 여파가 미칠만한데도 총회는 예정대로 열렸고, 불참을 통보한 정상은 한 사람도 없다는 사실이 의미심장하다.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2주일’이라 할만큼 지구의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을 모두가 인식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번 회의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150개국 정상이 참석해 명실상부한 ‘기후 유엔총회’가 되고 있다. 총회에는 환경 분야 장관급 인사들로 구성되는 196개 당사국 대표와 국제기구·산업계·시민사회 전문가 등 4만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COP21은 1997년 교토의정서를 대신해 2020년 이후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체제를 정립하기 위해 열리는 것이다. ‘210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2도 이내로 억제한다’는 구체적인 목표가 설정되어 있다. 이를 지키지 못하면 인류가 큰 위험에 처하게 될 것이라는 위기의식과 해결에 대한 공감대가 강하게 형성돼 있다.
실제로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가 지난해 발표한 ‘IPCC 제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는 지구의 온도가 산업화 이전 시기인 1850~1900년 대비 2도 이상 오르면 인류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지구 기온이 1도만 상승해도 생태계 파괴 위험이 급격히 높아진다. 폭염, 폭우, 연안 홍수 등 기상 재해가 늘어나고, 기후로 인한 난민이 발생할 수 있다. 기후변화는 특정 국가만의 재앙이 아니라 지구촌 공동체가 함께 풀어야 할 절체절명의 과제인 것이다.
이미 한국을 포함, 178개국이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했다. 특히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을 넘는 미국과 중국, 인도가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모든 국가에 적용되는 신기후체제 합의문을 도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번 총회에서도 교토의정서처럼 의회의 비준을 받아야 하는 조약이 아닌 자율 형식으로 합의될 가능성이 크다. 개발도상국에 대한 선진국의 재정지원과 기술이전 등 풀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한편으로 국제사회는 기후변화라는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삼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신기후체제 출범으로 세계 총생산의 2%인 1조5600억달러가량의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열린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한국에게도 신기후체제는 오히려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른 나라처럼 기후변화를 위해 포기해야 할 화석에너지 자원이 없고,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한 덕분에 경쟁력이 상당히 올라서 있다는 것이다.
신기후체제 출범 후에는 온실가스 감축량의 지속적인 재조정 등 국제사회가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은 상황에서, 한국은 인류의 과업이 된 온실가스 감축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야 할 명분과 실리를 모두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