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룡강도락(稻乐)농업과학기술유한회사가 8.1농간대학과 합작해 국내 첫 벼무토육모유기록색기질판(水稻无土育秧有机绿色基质板) 및 생산공예설비를 연구제작하는데 성공, 아울러 국가발명특허를 획득했다.이 무토기질판 첫 생산라인이 학강시 신화진에 락착된후 이미 무토육모기질판 50만장을 생산했다.이 새로운 기술은 벼무토육모의 공백을 메웠을뿐만아니라 우리나라의 벼육모 기술이 새로운 진전을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벼는 우리나라의 3대 량곡작물중의 하나이며 량곡 총생산량의 40%를 차지한다.전통적인 벼육모는 대량의 부식토와 우질한전토를 모종판에 사용하는데 이로하여 대량의 토양경작층과 표층 양분이 류실되며 생태환경도 파괴된다.때문에 일본,한국 등 나라에서는 일찍부터 벼무토육모기술을 사용해왔다.국외의 선진기술을 인입하기 위해 이 회사의 리금철(조선족)리사장은 기술일군들을 이끌고 한국에 가서 여러차례 고찰을 진행하면서 선진적인 벼무토육모기질판생산기술을 인입했다.그러나 국내에서 반복적인 실험을 해본 결과 국외 무토육모기질판의 영양배합방법이 당지의 벼육모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했다.하여 리금철씨 등은 반복적인 실험을 한 기초상에서 발효옥수수대,이탄(草炭) 등 8가지 이상의 유기섬유복합물과 아미노산 영양성분을 새로 추가증가해 끝내 난제를 풀어나갔다.
이밖에 벼무토육모기질판생산공예 및 설비를 연구제작함에 있어서 새로 280도 고온의 건조가공공예를 증가해 생산해낸 기질판의 각종 병균,해충,잡초 등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소멸할수 있어 육모의 '유기록색'을 확보할수 있었고 비용과 인공도 절감할수 있었다.
이 회사에서 첫 생산한 50만장의 벼무토육모기질판은 흑룡강성은 물론 길림,료녕,내몰골,강소,하남 등 전국 각지의 1.5만무에 시험재배를 했는데 농호들의 보편적인 호펴을 받았다.전국범위내에서 시험한 결과 기질판재배의 벼모는 뿌리가 발달되고 뿌리수가 평군 3.3개가 많았으며 단위당 모 무게가 5.4밀리그램 증가했다.게다가 모종판(秧盘)무게가 34%나 경감되여 운송에도 유리했다.
8.1농간대학 농학원 벼연구센터가 3년간 추종조사 및 종합시험을 해본 결과 벼무토육모기질판 새 기술은 농호를 위해 무당 15원을 절감해주는 한편 벼수확고를 8-15%를 증산하게 한다.
이 회사 리금철리사장은 앞으로 체인형식으로 이 새로운 기술을 보급시킬 예정이며 더 많은 농민들이 새로운 기술이 가져다주는 혜택을 향수할수 있도록하겠다고 '야심'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