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시리즈 1] ‘잊혀진 전쟁’의 사라져가는 사람들
▲ 워싱턴 디시의 한국전 메모리얼 가든(Korean War Veterans Memorial) 에 설치된 참전 미군 베테랑 동상들. ⓒ KWVA |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본보는 이번 호부터 약 3회에 걸쳐 기획 시리즈 ‘잊혀진 전쟁의 사라져 가는 사람들’ 을 연재합니다. 이 기획 시리즈는 한국 ‘언론진흥재단’의 후원을 받아 진행합니다. - 기자 주]
한국전은 한국민들에게 잊을래야 잊을 수 없는 전쟁이다. 1950년 6월 25일 미명에 일어나 1953년 7월 27일까지 3년 1개월 동안 벌어진 전쟁에서 남북한 합하여 222만 명(남북 민간인 160만 명, 남북 군인 62만 명, 2017년 6월 10일 CNN 통계)이 전화(戰火)로 죽었다. 그리고 당초 내전으로 시작한 한국전은 외세가 개입하여 국제전으로 확대된 가운데 승자와 패자도 없이 ‘정전’이라는 이름으로 막을 내렸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2017년 8월에도 한국전 참전 주요 당사자인 미국과 북한의 지도자는 연일 ‘말폭탄’을 쏟아내고 있고, 남북한 국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한민족에게 ‘원죄’와도 같은 분단. 그 분단을 극복하고자 북측이 무리하게 감행한 한국전은 우리 민족에게 씻을래야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안겨 주었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한국민들은 “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날을…” 노래를 그치지 않고 있다.
섭리사관적 한국사를 쓴 함석헌 선생의 말을 빌리자면, 한국전은 '쓰다가 말고 붓을 놓고 눈물을 닦지 않으면 안되는 역사, 써 놓고 나면 찢어 버리고 싶은' 현재진행형의 역사가 되었다. 한국전은 남북한 국민 모두에게 천형 (天刑)과도 같은 증오와 반목과 질시의 고질병을 남겼고, 그 무슨 하늘의 '뜻'이 있어서인지 지금도 고통은 계속되고 있다.
▲ 지난 6월 25일 올랜도 에지워터 베테랑스 클럽에서 열린 한국전 67주년 기념행사에서 양국 국가가 울려퍼지는 가운데 한국전 참전 미군 베테랑 기수들이 경례를 하고 있다. |
‘성가신 전쟁’에서 ‘용사(warrior)’가 된 사람들
한국전은 한국민들에게만 고통을 안겨 준 것은 아니다. 자유민주주의를 지킨다는 대의명분으로 연합군으로 참전한 16개국 참전 군인들에게도 깊은 상흔을 안겨주었다. 특히 한국전에서 5만4000여 명의 사망자(비 전투요원 1만7700여 명 포함)와 수많은 부상자를 낸 미국민들에게 안겨준 상처도 매우 컸다.
1,2차 대전을 겪으며 전쟁의 상흔을 간직하게 된 미국민들에게 중국의 부속 국가 또는 방금까지 일본의 식민지였던 한국은 요샛말로 ‘듣보잡’ 나라였다. 더구나 한국민들끼리 벌이는 내전에 참가할 군사 경제적인 자원과 심정적 여유조차 바닥을 보이던 시점이었다. 국내외에서 ‘이제 전쟁은 그만!’이라는 여론이 비등한 가운데 오랜만의 휴식과 치유를 위한 짬을 즐기던 상황에서 한국전은 귀찮고 성가신 전쟁일 수밖에 없었다.
한국전에 징집되었다가 비행기 사고로 귀환한 마카로니 웨스턴 유명 영화 배우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증언은 당시 미군들의 심정을 잘 드러내고 있다.
“나는 한국전쟁 중에 징집되었다. (하지만) 우리중 누구도 가기를 원하지 않았다…. 2차대전이 끝난지 몇 년이 채 되지 않는 시기였다. ‘생각 좀 해보자구. 방금 그것(전쟁)을 치르지 않았나?’라고들 말했다.” (I was drafted during the Korean War. None of us wanted to go . . . It was only a couple of years after World War II had ended. We said, 'Wait a second? Didn't we just get through with that?)
‘당신은 전쟁에 관심이 없을 수도 있지만, 전쟁은 당신에게 관심이 있다’는 트로츠키의 명언처럼 원하지 않던 전쟁이 벌어졌고, 국가는 ‘당신’을 다시 원했다. 이미 용사가 된 그들은 한국전에서 다시 ‘용사(warrior)’가 된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용사’란 국가권력에 의해 만들어진 용어일 수 있다.
▲ 한국전에서 한 미군 병사가 두려움떨고 있는 소년병을 팔로 감싸안고 있다. ⓒ KWVA, NARA |
기자는 이 글을 쓰면서 이 ‘용사’들을 ‘한국전 베테랑(Korean War Veteran)’이라 칭하고자 한다. ‘베테랑’이라는 단어는 사전적으로 ‘어느 한 분야에 오래 일을 하여 익숙하고 노련한 사람. 특히 군대에 오래 복무한 퇴역병, 노병’을 통칭하는 말이다. ‘베테랑’은 자발적이고 호전적인 뉘앙스가 풍기는 ‘용사’보다는 훨씬 정직한 표현이기도 하고, 미국민들도 좋아하는 일상 용어이기도 하다.
한국전 베테랑들은 매년 6월 25일과 7월 27일이 되면 한 곳에 모여 어설픈 발음으로 ‘아리랑’을 부르고 ‘김치’와 ‘잡채’와 ‘불고기’를 먹고, ‘오산’과 ‘군산’ ‘춘천’ ‘의정부’ 등을 거론하며 젊은날의 회상에 빠지기도 한다. 한인동포들은 이들을 ‘참전영웅’으로 불러주며 감사를 표하지만, 갈수록 쓸쓸하고 씁쓸한 느낌까지 드는 것은 기자만의 감정일까.
미국은 한국전에서 무려 180억 달러의 전비를 투입하면서 572만 명의 군대를 파견했고, 5만4천여 명의 전사자 외에 10만3천여 명의 부상자를 냈다. 행방불명이 되어 시신조차 찾지 못한 군인들도 7700여 명에 이른다. 단일 전쟁으로 단 시간에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전쟁으로 알려진 한국전이 잊혀진다는 것은 베테랑들에게 매우 억울한 일이다. 미국사회에서 한국전이 ‘잊혀진 전쟁(forgotten war)’으로 불려지기 시작하여 이제는 보통명사가 되었고, 잊혀진 것은 전쟁만이 아니었다.
▲ 지난 6월 25일 올랜도 에지워터 베테랑스 클럽에서 열린 한국전 67주년 기념행사에 고령의 미군 베테랑이 입장하고 있는 모습 |
한국전이 ‘잊혀진 전쟁’이 된 이유
한국전이 ‘잊혀진 전쟁’으로 낙인이 찍혔지만, 일부에서는 미국의 대외 군사정책과 관련하여 결코 ‘잊힐 수 없는 전쟁’으로 여긴다. 이 같은 주장을 하는 이는 ‘한국전쟁의 기원’이라는 저작으로 유명한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 대학 석좌교수다. 그는 한국전이 미국의 대외정책이 ‘군사주의’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군사주의’란 국제사회의 거의 모든 문제들을 군사력으로 해결하겠다는 것으로, 미국은 한국전을 계기로 영구적인 군사주의 국가가 됐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
브루스 커밍스가 2010년에 출간한 <한국전쟁(The Korean War: A History)>의 일부를 인용해 본다.
"한국전쟁은 미국을 이전과는 전혀 다른 국가로 변모시키는 결정적 계기였다. (전쟁 이후) 미국은 해외에 수 백 개의 상설 군사기지를 두고 국내에 대규모 상비군을 갖춘 영구적인 안보국가가 됐다. (…) 후에 애치슨은 한국전쟁이라는 위기가 "나타나 미국을 구했다"고 말했다. 이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NSC 68이 최종 승인됐고, 의회에서 미 국방비의 4배 증액이 통과하게 됐음을 말한다.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미국의 방대한 해외 군사기지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국내 군산복합체가 미국의 세계적 지배력의 원천이 된 결정적 계기는 2차 대전이 아니라 한국전쟁이라는 점이다. (…)"
한국전쟁이 미국의 군산복합체 경제 체제를 갖추고, 대외정책의 방향을 틀어 정착시킬 정도로 ‘공헌’을 했다는 커밍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정치군사적 역학관계를 속속들이 알 리 없는 미국민들에게는 여전히 ‘잊혀진 전쟁’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한국전이 미국에서 ‘잊혀진 전쟁’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전문가들은 한국전을 베트남전 또는 2차대전과 비교하여 그 이유를 설명하곤 한다.
우선, 한국전 당시에는 신문이나 리디오가 일반적인 대중매체였던 시절로, 미디어의 발달이 미흡하여 베트남전에 비해 언론의 관심이 적을 수밖에 없었다. 베트남전에 대한 미디어의 관심은 기나긴 전쟁 기간 계속되었다. 베트남전이 장기화되면서 반전 평화운동으로 확산하고 미디어의 지속적인 보도가 연동되면서 베트남전 기억을 오래 남도록 했다.
물론 3년 1개월로 멈춘 한국전은 19년 6개월 지속한 베트남전에 비해 기간이 훨씬 짧았던 것도 잊혀진 전쟁이 되기 쉬웠다. 한국전쟁은 두 번의 대 전쟁과 긴 전쟁의 와중에 ‘잠깐 치러진’ 막간 전쟁이 된 것이다.
한국전의 기간이 짦은 만큼이나 2차대전의 미군 전사자 40만 명에 비할 바가 아니었던 것 역시 미국민들의 관심도와 기억장치에 영향을 미쳤다. 베트남전은 긴 전쟁 기간에 비해 6만 여명의 미군이 전사하는 것으로 그쳤으나, 네이팜탄 피해자들과 PTSD(전후 외상후 스트레스증후군)등의 부상자들이 엄청나 전사자들 못지 않은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전쟁 기간과 희생들의 수에서 미국민들에게 한국전은 ‘국지전’ 정도로 인식된 것이다.
미국민들의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관심도가 애초부터 높지 않았다는 점도 한국전을 쉽게 잊게 한 것으로 보인다. 뭔가 조금은 안다는 미국인들에게 한국은 기껏해야 ‘숨겨진 왕국’ ‘조용한 아침의 나라’였고, 일반인들에게는 오랫동안 중국과 일본의 속국 또는 식민지였다가 강대국 덕분에 겨우 독립한 약소국이어서, 그와 관련한 어떤 역사적 사건을 진하고 길게 기억할 만한 이유가 없었다.
심지어는 70~80년대에 들어서까지도 ‘한국’이라는 존재는 엎치락 뒷치락 쿠테타가 일어나는 뒤시끄런 나라였고, 최근 들어서도 미국민들의 한반도에 대한 관심은 생각보다 크지 않다. 핵전쟁을 치를 지도 모르는 한반도의 북쪽 나라가 어디에 붙어있는 지 모르는 미국인들이 태반일 정도다.
▲ 지난 8월 8일 방영된 '지미 킴멜 라이브쇼(Jimmy Kimmel Live Show)'에서 북한이 어디에 있느냐 는 인터뷰어의 질문에 단 한 사람도 북한의 정확한 위치를 짚어내지 못했다. 이들 가운데는 미국 옆구리 섬, 중동, 유럽, 심지어는 묵극이나 남미 아랫쪽을 가리키는 사람도 있었다. ⓒ ABC.com |
“노병은 사라질 뿐 죽지 않는다”?
미국민들에게 한국전은 이래저래 기억할 거리가 별로 많지도 크지도 않은 ‘스쳐간 전쟁’이었고 이제는 ‘잊혀진 전쟁’이 되고 말았다. 잊혀진 것은 ‘역사적 사실’로서의 전쟁뿐 아니라, 20세 전후에 머나먼 땅에 지친 몸으로 들어와 몸을 던진 ‘용사’들이다. 인간에게 자신의 ‘존재’가 기억되지 않는다는 것은 얼마나 서러운 일인가. 이런 경우, 존재가 잊혀진다는 것은 그 '가치'까지도 잊혀진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한국전을 총 지휘하다 트루먼 대통령과 마찰을 빚어 해임당한 더글러스 맥아더가 “노병은 결코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Old soldiers never die. They just fade away.)”라는 멋진 말을 했다. ‘외형은 없어지지만 존재 가치는 영원히 남게 된다’는 뜻일 터이지만, 한국전 베테랑들은 나이들어 하나 둘씩 사라져 가고, 동시에 존재 가치도 잊혀져 가고 있다. 한국전 노병은 사라질 뿐만 아니라 죽어가고 있다.
그래서일까. 한국전 베테랑들은 자신들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고 싶어한다. 그들은 최소한 가장 지치고 힘든 시기에 ‘국가에 충성했다’는 것과, ‘자유진영을 위해 싸웠다’는 결과론적 대의명분 정도는 기억되기를 바라고 있음에 틀림이 없다. 노구를 이끌고 휠체어를 밀고 한국전 행사에 참가하여 애써 김치와 불고기를 먹는 것조차 실존 확인을 위한 몸짓이 아니었을까?
▲ 지난 6월 25일 올랜도 에지워터 베테랑스 클럽에서 열린 한국전 67주년 기념행사에서 한국전에서 부상당한 미군 베테랑이 선물을 받고 기뻐하고 있는 모습. |
기자는 약 3회에 걸쳐 사라져 가고 있는 한국전 참전 미군 베테랑들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수량적인 실태를 넘어서, 한국전이 자신들에게 어떤 의미의 전쟁이었는지, 한국전이 자신들의 삶에 미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인지, ‘잊혀진 전쟁’과 관련하여 어떤 생각을 하고 있으며, 어떤 액션을 취해 왔는지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전쟁에 참여한 사람들의 상처와 애환이 어떤 방식으로 치유되고 극복되어 왔는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어쩌면, 준비된 질문과 상황에 따라 즉석에서 던져진 질문 자체만으로도 노병들의 존재 가치를 인정해 주는 명약이 될 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