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부터 적용될 신 기후체제 합의안 마련이 목표
▲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개막 소식을 전한 CNN 갈무리 ⓒCNN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기자 = 지난 30일 프랑스 파리에서 전세계 150개국 지도자들이 참석한 기후변화협약 총회가 개막되었다. 전세계인의 가장 심각한 문제로 꼽혀온 지구 온난화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이다.
오는 11일까지 2주간 계속될 이번 총회는 전세계 196개 회원국 대표들이 참석하여 2020년 이후 모든 국가에 적용될 기후변화 대응체제를 마련하기 위해 열띤 토의를 벌인다.
일단 총회에 참석한 각국 대표들은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모두에게 구속력 있는 방안을 마련하자는데 뜻을 같이하고 있다. 전세계 모든 나라가 회원국인 기후변화협약의 목표는 지구 온난화의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을 콘트롤 하여 재앙적인 기후 변화를 막자는 것이다.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2도 이상 상승 억제' 목표치
특히 각국은 지구 온도를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는 실제적인 목표치를 이미 정해놓았다. 이를 위해서는 각국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현재보다 대폭 줄여야 한다. 총회에서는 각국이 실천할 구속력 있는 방안을 조율하고, 2020년부터 적용될 신 기후체제 합의안을 마련하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다.
이전에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인 체제가 있었으나 선진국 중심으로 진행된 것이 문제였다. 지난 1997년 일본 교토에서 열린 기후변화 회의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합의한 교토 의정서가 채택되었다, 하지만 중국과 인도처럼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신흥국들은 제외되어 있었다. 따라서 새 기후변화 대응체제는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을 가리지 않고 모두가 참여하고 구속력 있는 체제를 마련하자는 데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공통의 인식과는 달리 적절한 합의안을 도출해 내는 일은 간단치 않을 전망이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은 각 나라의 경제, 산업활동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지난 몇 년간 여러 차례 열린 유엔 기후변화 회의에서도 주요국의 입장 차이가 첨예하게 대립했다. 어느정도 의견 조율이 이루어 진다 하더라도 국제법적으로 얼마 만큼 구속력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인지도 의문이다.
각국 입장 차이 조율 난망 속 기여 방안 제안
하지만 이번 총회 개막을 앞두고 178개국이 기여 방안을 자체적으로 제안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주요국들이 내놓은 방안을 정리하면, 미국은 2025년까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최대 28% 낮추기로 했고, 유럽연합은 2030년까지 35% 감축안을 제시했다. 온실가스 배출 최대국인 중국도 2030년부터는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 시킨다는 방안을 발표했었다.
한편 이번 기후변화협약 총회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물론, 오바마 대통령,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박근혜 대통령도 참석했다.
반기문 사무총장은 개막 연설에서 각국 지도자들이 이번 총회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결정적인 전환점을 마련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이는 차후 여러 세대에 걸친 인류의 안녕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새 기후변화 대응체제 마련을 위한 각국 지도자들의 노력을 당부하는 한편, 투명하면서도 모든 나라가 의무를 이행하고 있다는 것을 서로 확신할 수 있는 장기적인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