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미식가 도시 1).jpg

호주 식민시대의 유산이 풍성하게 남아 있는 타스마니아(Tasmania) 북부 도시 론세스톤(Launceston)은 역사 도시일 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농산물이 기반이 된 음식 문화로 여행자들을 불러들이고 있다. 이 도시가 최근 유네스코(UNESCO)의 ‘창조도시네트워크’(Creative Cities Network) 계획에 따라 음식문화를 선도하는 ‘City of Gastronomy’로 선정됐다. 사진 : Facebook / Launceston Gastronomy

 

전 세계 36개 'City of Gastronomy' 중 하나, 벤디고에 이어 두 번째

 

타스마니아(Tasmania) 주 제2의 도시인 론세스톤(Launceston)은 호주 식민 시대의 유산이 풍성하게 남아 있는 유서 깊은 도시이며 타스마니아 북부 관광의 중심이기도 하다.

다양한 문화유산뿐 아니라 근래 들어 빼어난 음식문화로 식도락가들의 발길을 잡고 있는 이 도시가 최근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UNESCO)의 ‘창조도시 네트워크’(Creative Cities Network) 계획에 따라 식문화를 선도하는 ‘City of Gastronomy’로 선정됐다는 소식이다.

론세스톤이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미식가 도시로 선정된 것은 이 지역의 수백 여 농산물 생산지, 수십 개에 이르는 바인야드(vineyard)와 와이너이(winery), 오랜 제분소 역사를 가진 이 지역이 세계 최고의 식도락 목적지 중 하나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론세스톤에서 2개의 레스토랑 및 발효식품 회사 ‘Fermentation Tasmania’를 설립, 운영하는 킴 시그람(Kim Seagram) 회장은 “론세스톤이 유네스코로부터 큰 지지를 받았다”면서 “사람들이 더 자부심을 갖고 되고 이곳에서 일하는 우리 모두가 스스로를 더 자랑스러워 할 수 있게 됐으며, 모든 이들이 우리 지역을 주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City of Gastronomy’,

그 영예를 얻으려면

 

‘미식’이라는 말로 이해되는 ‘gastronomy’는 음식과 문화의 관계이며 또는 많은 론세스톤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음식과 사람의 관계이기도 하다.

‘City of Gastronomy’의 영예를 얻기 위해서는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창조도시 네트워크’는 유네스코가 문학 음악 민속공예 디자인 영화 미디어 음식 등 7개 분야에서 뛰어난 창의성으로 인류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전 세계 도시들 가운데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선정한 도시를 말한다.

이는 2004년 시작된 프로그램으로 7개 분야에서 승인된 도시 간의 협력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장려를 목표로 한다.

이 7개 분야 중 음식 부문에서는 현재까지 전 세계 36개 도시가 ‘City of Gastronomy’ 칭호를 얻었다. 호주에서는 지난 2019년 빅토리아 주 벤디고(Bendigo, Victoria)가 가장 먼저 ‘미식가 도시’의 영예를 얻었다.

‘City of Gastronomy’로 인정받으려면 ▲활기찬 미식 커뮤니티, ▲전통 요리에 들어가는 토종 식재료, ▲전통 식재료 마켓 및 식품 산업, ▲미식가 대상의 관련 페스티벌 및 음식 관련 경연대회 전통, ▲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지역 특산 식재료 홍보 등 유네스코가 선정한 여러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종합(미식가 도시 2).jpg

론세스톤이 내세우는 특별한 음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론세스톤에는 지역 목장과 농장에서 생산된 식재료가 식탁의 접시에 올려지는 식재료 생산-유통-요리로 이어지는 음식문화가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말이다. 사진은 매 주말 열리는 론세스톤 하베스트 마켓’(Launceston Harvest Market). 사진 : Caroline Williamson

   

이를 추진한 ‘Launceston Gastronomy board’의 앤드류 피트(Andrew Pitt)씨는 “근래 들어 크게 성장한 론세스톤의 음식문화를 기반으로 유네스코에 ‘City of Gastronomy’를 신청하기로 했다”면서 “론세스톤 규모의 도시에서 우리는 우리 지역의 강점을 부각시키기로 했으며, 그것은 바로 음식이었다”고 말했다.

 

론세스톤이 내세우는

요리는 딱히 없지만...

 

호주의 음식은 영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전 세계인들에게 보편적으로 인정받을 만한 고유 음식을 꼽기가 어려운 게 사실이다. 피트씨도 이런 점은 알고 있는 듯하다. 그는 론세스톤의 내놓을 만한 요리에 대해 직접적인 답변은 미룬 채 “이 도시에는 지역 목장(또는 농장)에서 식탁의 접시에 음식이 올려지는 ‘음식’ 전반의 문화가 있다”고 말한다.

목장이나 농장에서 식재료가 생산되고 소매 판매를 거치는 론세스톤만의 식료품 시스템과 공급망 전체를 포괄하는 식문화가 ‘City of Gastronomy’의 영광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식도락 도시로서의 영광에 간한) 가장 큰 측면은 식량불안이나 식량에 대한 어려운 접근성, 영양부족, 환경 지속성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창의적이고 협력적 방법으로 생각하는 다른 도시들과 연대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론세스톤은 팬데믹 이전까지만 해도 매년 최대 3만 여 명을 불러들이는 북부 타스마니아 최대 음식 및 와인 축제 ‘Festivale’로 유명한 곳이다. 매주 토요일에는 상당 규모로 지역 농장들이 참여하는 ‘Harvest’라는 이름의 전통 농산물 시장이 열리고 있다. 또한 타스마니아대학교 론세스톤 캠퍼스 내 ‘인버레스크 사이트’(Inveresk site)에는 원주민 음식 정원이 개발될 계획이다.

 

‘City of Gastronomy’선정,

향후 기대되는 것은

 

킴 시그람 회장은 이번 미식가 도시 선정과 관련, “그 영예가 주는 브랜딩을 통해 더 많은 미식가를 끌어들이고, 이로 인해 지역 농축산물 생산자들이 새로운 글로벌 시장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우리는 이제 전 세계 36개의 미식가 도시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농산물을 거래하면서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상호 필요 부분을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종합(미식가 도시 3).jpg

주말 이벤트에 수만 명의 방문자를 끌어들이는 론세스톤의 음식축제 'Festivale'은 이 도시의 식문화를 잘 보여준다. 사진 : Facebook / festivaletas

   

로렌 번(Lauren Byrne)과 마이클 레이필드(Michael Layfield)씨는 론세스톤에서 약 30km 거리에 있는 농장에서 채소를 재배하는 농부이다. 주말이면 이들은 ‘론세스톤 하베스트 마켓’(Launceston Harvest Market)에 나가 직접 재배한 채소를 판매한다.

번씨는 론세스톤이 유네스코로부터 ‘City of Gastronomy’로 선정됐다는 소식에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라는 반응을 보이면서 “우리는 채소를 재배하기에 적합한 기후를 찾아 북부 타스마니아로 이주했다”고 말했다.

이들 부부는 이 농장에서 차가운 날씨에서 좋은 식재료로 자라는 양배추, 브로콜리, 케일 등의 달콤한 야채류를 생산하고 있다. 번씨는 “또한 여름의 더운 날씨에는 멜론 등을 재배하면서 지속적으로 좋은 먹거리를 생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녀는 ‘음식은 우리 모두를 하나 되게 한다’(food connects us all)는 아이디어로 더 많은 이들을 론세스톤으로 불러들이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어 번씨는 “음식은 우리 모두의 공통 소재이며 타스마니아에서 이처럼 환상적인 농산물, 씨앗에서 접시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열정적인 생산자가 있다는 것은 이 도시의 행운”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미식가 도시 1).jpg (File Size:134.3KB/Download:19)
  2. 종합(미식가 도시 2).jpg (File Size:99.5KB/Download:23)
  3. 종합(미식가 도시 3).jpg (File Size:177.4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651 호주 호주 각 도시 임대주택 공실률, 지난 수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5650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택가격 상승 지속 이유는 ‘백신에 대한 믿음’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5649 호주 지난 달 시드니-멜번 주택 경매 중간 낙찰가, 전월대비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564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알렉산드리아 테라스 주택, 어렵게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5647 호주 “개발도상국의 백신접근 어려움... 오미크론으로 큰 문제 야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6 호주 5연임 이어가는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기후 문제’ 주력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5 호주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이유, ‘오미크론’이 지금 나온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 호주 타스마니아 북부 도시 론세스톤, 유네스코의 ‘미식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3 호주 TGA, 5-11세 어린이 대상 COVID-19 백신접종 ‘잠정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2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성인 대상 부스터샷으로 모더나 백신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1 호주 ATAGI, ‘오미크론 변이’ 긴장 속 “부스터 프로그램 변경 계획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0 호주 주거용 부동산 투자를 고려할 만한 호주 상위 20개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39 호주 11월 호주 주택가격, 상승세 이어져... 성장 속도는 다소 둔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38 호주 ‘Housing Affordability’ 문제, “사회주택기금으로 해결 가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3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랜드윅 소재 저택, 897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36 호주 전 세계 긴장시킨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델타’만큼 확산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5 호주 유학생 및 여행자 호주 입국 허용, '오미크론 변이'로 2주 연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4 호주 논란 많은 ‘자발적 조력 죽음’, NSW 주에서 합법화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3 호주 연방정부, 동성애 학생 및 교사 등 보호 위한 ‘종교차별 금지 법안’ 발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2 호주 NSW 주 정부, 접종률 95% 이후의 COVID-19 제한 완화 로드맵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1 호주 ‘living with COVID’ 전환 국가들, 호주 당국에 주는 조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0 호주 연방정부의 ‘긍정적 에너지 정책’, 공공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29 호주 주택가격 상승률 높은 시드니 지역은... 브론테, 연간 55.1%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28 호주 호주 각 주 도시에서 주택가격 저렴하고 살기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2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늘어난 매물로 예비 구매자 선택 폭 넓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26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5 호주 정부, 한국 등 여행자 포함해 유학생-숙련기술 근로자 받아들이기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4 호주 12세 미만 아동 백신접종 필요성은 ‘감염위험 및 전파 가능성’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3 호주 밴 차량서 장기간 생활 호주 여성 증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2 호주 아시아 태평양 여행-관광산업 회복, 전년 대비 36% 이상 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1 호주 팬데믹 상황이 가져온 호주인의 지방 이주, 변혁적 아니면 일시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0 호주 코로나 팬데믹 20여 개월 500만 명 사망... 실제 사망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9 호주 봅 카 전 NSW 주 총리, “안티 백서들의 메디케어 박탈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8 호주 호주인들, 코로나19 제한 조치 완화 후 관련 질문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7 호주 봉쇄 조치 완화 불구 호주 실업률 6개월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6 호주 “2030년까지 NSW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차의 50%, 전기차가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5 호주 블루마운틴 서쪽 끝 부분, 새로운 생태관광-어드벤처 목적지로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4 호주 “11세 이하 어린이 COVID-19 예방접종, 내년 1월 전에는 힘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3 호주 퍼스 여성 에리카 로리, 1천 km ‘비불먼 트랙 달리기’ 새 기록 수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파이브덕 소재 주택, 3년 만에 180만 달러 수익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1 호주 호주 코로나19 예방접종 80%... 제한 완화 설정 목표 도달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10 호주 연방정부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 시작... 접종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9 호주 호주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프로그램, 11월 8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8 호주 연방정부, ‘호주 입국’ 조건에 인도-중국의 또 다른 COVID-19 백신도 인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7 호주 코로나19 검역 절차 없이 호주인이 입국할 수 있는 해외 국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6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모든 농장 근로자에 최저임금 보장해야” 규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5 호주 NSW 아웃백의 한 목장, 동식물 보호 위한 국립공원으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4 호주 시드니 공항, 국제 컨소시엄과의 236억 달러 바이아웃 제안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3 호주 각 주 도시의 부동산 가격 급등, 임대주택 수익률은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2 호주 시드니 각 학교 주변 주택가격, 1년 사이 두 자릿수 상승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