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인의 가계 생활 전반을 조사하는 ‘HILDA Survey’ 조사 중 동성커플 인정 여부 항목에 대한 답변을 기반으로 호주인들의 연도별 인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근래 들어 ‘동등한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는 비율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진단됐다. 사진은 캔버라 의사당 앞에서의 한 동성커플.
QLD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HILDA Survey’ 자료 기반 분석
지난 10년 사이 ‘권리 인정’ 확산... 고학력-고소득층 ‘지지’ 많아
‘동성결혼 합법화’ 문제가 또 다시 호주 사회의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이에 대한 정치권의 결정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국민적 의견을 묻는 우편조사가 시작됐다. 지난 8월24일, 이를 위한 호주 선거관리위원회(Australian Electral Commission. AEC) 등록 신청이 마감됐으며, AEC는 이달 12일(화)부터 설문지 발송을 시작한다.
애초 정부는 동성결혼 합법화 여부를 위해 국민투표(plebiscite)를 실시한다는 계획으로, 이를 의회에 요청했으나 거부되자 의무적 투표가 아닌 우편조사로 선회했다.
오는 11월7일까지를 우편조사 설문지 회수 마감으로 하고 조사 결과는 11월15일 발표한 예정으로, 이 결과는 의회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우편조사 등록 신청이 마감되고 찬반 진영의 캠페인이 본격화된 가운데, 퀸즐랜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Institute for Social Science Research) 프란시스코 페랄레스(Francisco Perales) 수석연구원과 동 대학 박사 과정에 있는 앨리스 캠벨 연구원이 지난 10여 년 사이의 ‘HILDA Survey’(Melbourne Institute가 호주의 가계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주요 조사 연구 중 하나) 자료를 인용, 찬반 계층을 분석해 눈길을 끌었다. 이는 연구, 분석, 뉴스 등을 다루는 멜번 기반의 비영리 온라인 매체 <The Conversation>에 게시된 것으로 지난 31일(목) ABC 방송은 이를 그대로 인용, 소개했다.
▲ ‘HILDA’의 조사 자료= 지난 2005년, 2008년, 2011년, 그리고 2015년 멜번연구원(Melbourne Institute)은 HILDA 조사를 실시하면서 호주 전국의 조사대상 패널들에게 ‘동성애 커플은 이성애 커플과 동일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항목을 제시했고, 이에 대해 ‘전혀’ 동의하지 않는 ‘1’ 수준에서 ‘완전’ 동의한다는 ‘7’까지의 척도로 그 비율을 조사했다.
당시 조사는 최근의 설문 자료와 비교해 볼 때 장단점이 있다. 단점은, 가장 최근의 HILDA 조사의 경우 2015년 7월부터 2016년 2월에 걸쳐 이루어져 비교적 오래됐다는 점이다.
반면, 1만5천 명 이상의 응답자와 다양한 계층의 인구 정보를 가진 풍부한 확률 표본(probability sampling), 대표성 측면에서 통계적 정확성이 높다는 것은 신뢰할 수 있는 부분으로 꼽힌다.
호주에서 ‘동성결혼’은 합법화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국민적 의견을 묻는 국민투표(plebiscite)가 무산된 후 우편투표 조사가 시작된 가운데 오는 11월15일 나올 이의 결과가 주목된다. 이번 우편조사 결과는 의회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결혼 축하 케이크 위의 동성커플.
▲ 동성결혼 지원 정도는...= 연구자들은 2005년과 2015년 사이 ‘동성커플도 이성커플과 같은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호주인들의 의식에 두드러진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2005년, 이에 ‘적극’ 동의하는 비율(‘1’ 수준)은 19.2%에 불과했으나 2015년 조사에서는 46.3%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적극’ 동의하지 않는(‘7’ 수준) 비율은 2005년 26.7%에서 10년 사이 12.9%로 상당히 낮아졌다.
이밖에 중간의 5가지 항목 중 하나를 택한 사람의 비율은 유사하거나 약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7개 항목 중 ‘동의’ 부분에 대한 응답 수치를 5점에서 7점으로 분석하면 2015년 HILDA 조사에서 동성 커플을 인정하는 비율은 2005년 39.8%에서 10년 사이 66%로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4~7’ 항목의 응답자를 환산하면 동성커플 인정 비율은 78%로 늘어난다.
▲ 동성 커플 지지 계층은?= 2015년 HILDA 조사에서의 동성커플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 각 소집단별로 지지도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들의 권리를 인정하는 계층은 여성, 비이성애자(게이 및 레즈비언, 양성애자 등), 젊은층, 대학 또는 12학년 이상의 고학력 계층, 비종교인, 호주에서 태어났거나 영어권 이민자 그룹(비영어권 출신 이민자 그룹에 비해 높은 비율), 고소득층, 대도시 거주민(지방 지역 거주민보다 높은 비율) 등이었다.
아울러 동성커플을 인정하는 이들 계층은 호주 각 주 및 테러토리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 ‘중간 항목’ 응답자는 누구?= 지난 2015년 HILDA 조사에서 동성커플의 권리를 묻는 항목 중 ‘적극’ 동의하지 않는 쪽의 중간 항목을 선택한 비율은 12.4%였다.
연구자들은 이들이 동성커플에 대한 인정 여부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한다. 동성애자들의 권리를 인정하거나 반대로 ‘적극’ 인정하지 않는, 그 어느 쪽으로 흔들릴 수 있는 계층이라는 것이다.
이 계층 사람들의 배경을 보면 남성, 이성애자, 40세 이상의 종교인, 12학년 이하 교육 계층, 비영어권 이민자 그룹의 특정 전문 자격증 소지자 그룹, 최하위 소득 계층의 4분의 1, 그리고 대도시에서 먼 내륙 지역 사람들이었다.
▲ 사회적 변화는= HILDA 조사는 지역, 연령, 종교 등에 따라 인구를 세분화하고 장기간의 설문조사를 통해 각 그룹 내 동성결혼에 대한 지지 정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2005년에서 2015년 사이, 각 인구 그룹별 동성커플 지지는 전 계층에서 증가했다. 이는 가장 낮은 수준의 지지를 표명한 그룹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게다가 동성커플을 지지하는 각 인구그룹에서도 ‘지지’ 비율은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예외사항 가운데 흥미로운 점은 대학교 이상의 교육 수준을 가진 그룹에서 ‘무조건 지지’(support premium)한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최근 수년 사이 동성결혼 합법화 문제는 호주사회의 주요 이슈 중 하나로 부각된 상태이다. 사진은 지난 2015년 동성결혼 합법화를 지지하는 이들의 시드니 도심 행진.
▲ HILDA 조사 내용이 보여주는 것은...= 연구자들은 이 같은 수치에 대해 “호주 사회에서 동성커플의 권리를 인정하는 분위기가 압도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특정 인구 그룹은 동성커플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는 분명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이들 그룹은 남성, 고령자, 종교인, 비영어권 이민자 그룹 등에서 두드러진다.
물론 이들 그룹의 반응은 ‘동성커플의 권리’에 대해 아직은 확고한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추측할 수도 있다. 연구자들은 “우편 투표를 앞두고 ‘Yes’ 캠페인 그룹이 보다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아울러 연구자들은 여론조사의 우호적인 분석에도 불구하고 성소수자(LGBT.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커뮤니티 측에 대한 도덕적 조사는 장기간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동성 커플의 권리에 대한 사회적 마찰과 논쟁은 이번 우편 조사 이후에도 수그러들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연구자들은 “동성커플도 이성 커플과 마찬가지로 똑같은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설득할 인구 그룹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 동성 커플의 권리 ‘지지’ 비율
(이성커플과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
-2005년 : 14.8%
-2008년 : 24.3%
-2011년 : 31.6%
-2015년 : 46.3%
Source: HILDA Survey 2005-2015
■ 동성 커플의 권리 ‘동의’ 비율
(이성커플과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것에 동의한다)
-2005년 : 39.8%
-2008년 : 46.9%
-2011년 : 54%
-2015년 : 66%
Source: HILDA Survey 2005-2015
■ 동성 커플의 권리 ‘지지’ 계층
▲성별
-남성 : 61.8%
-여성 : 74.3%
▲ 성적 성향별
-Heterosexual(이성애자) : 66.9%
-Gay / lesbian(동성애자) : 97.3%
-Bisexual(양성애자): 91.7%
▲ 연령별
-15-39세 : 79%
-40-59세 : 67.5%
-60세 이상 : 50%
▲ 교육 수준별
-석사 이상 : 77.9%
-대학 또는 특정 전문 직종 자격 과정 : 64.5%
-12학년 졸업 : 76.7%
-12학년 이하 : 58.3%
▲ 이민자 그룹별
-호주 태생(비원주민) : 71.1%
-원주민 : 69.1%
-영어권 이민자 : 70.4%
-비영어권 이민자 : 49.9%
▲ 종교 여부
-비종교인 : 77.4%
-종교인 : 47%
▲ (4개 단계의) 소득수준별
-25%의 상위소득층 : 75.3%
-25%의 저소득 계층 : 58%
▲ 지역별
-주요 도시 거주자 : 72.1%
-도시 인근의 지방 지역 : 65.7%
-주요 도시에서 먼 외곽 : 56.8%
Source: HILDA Survey 2015
■ 종교인/비종교인 연도별 ‘지지’ 변화
(연도 : 종교인 / 비종교인)
-2005년 : 25.7% / 45.6%
-2008년 : 31.8% / 55.5%
-2011년 : 38.2% / 65.3%
-2015년 : 47.0% / 76.6%
Source: HILDA Survey 2005-2015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 종합(동성결혼 1).jpg (File Size:35.2KB/Download:36)
- 종합(동성결혼 2).jpg (File Size:38.4KB/Download:32)
- 종합(동성결혼 3).jpg (File Size:78.1KB/Download: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