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백악관 측은 “평양이 무모한 핵 프로그램과 대륙간 탄도 미사일 도발 중단을 거부할 경우 파멸될 것”이라며 군사대응 가능성을 강력히 제기했다.
이에 대해 호주정부도 “이를 적극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미국의 이같은 반응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간의 17일 전화 통화 직후 불거져나왔다.
양국 정상은 "북한 정권이 도발을 계속할수록 더 강한 외교적 고립과 경제적 압박을 받아 몰락의 길에 들어설 것임을 깨닫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더 강력하고 실효적인 제재와 압박을 강화해 나가자"는 데 합의했다.
이날 한·미 정상 간 통화는 문 대통령 취임 이후 5번째로, 북의 핵실험에 이어 지난 15일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발사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해 이뤄졌다.
통화 이후 트럼프 정부 외교안보라인은 연일 대북 군사대응 가능성을 거론하며 초강경 기조를 이어갔다.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조되는 만큼 군사 카드를 포함한 발 빠른 대응을 촉구했다.
니키 헤일리 유엔대사도 군사 대응 가능성을 거듭 경고했다.
그는 “북핵을 저지하기 위해 우리는 다른 가능성을 모두 시도하겠지만 많은 군사대응 카드도 테이블에 있다”고 경고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역시 평화적 해법을 강조하면서도 외교적 노력이 실패하면 남은 건 군사 대응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호주의 크리스토퍼 파인 방위산업부 장관은 "미국 정부의 입장은 현재의 상황이 어느 정도 심각한 것인지를 제대로 반증한다"면서 “미국의 입장을 호주는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파인 장관은 “미 행정부를 비롯 대다수의 국가들은 이런 경고를 가볍게 하지 않는다"면서 "신중한 검토를 거쳤고 미국과 미 우방국들은 북한 사태 해결을 위해 가능한 모든 옵션을 검토했으며 선택 가능한 모든 방안을 검토한 만큼 북한 김정은은 미국의 경고를 가볍게 여겨서는 안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18일 취임 후 처음으로 유엔(UN) 총회 참석을 위해 3박 5일간의 일정으로 미국 뉴욕을 방문한다.
문 대통령은 21일엔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한 뒤 트럼프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 회동을 가질 예정이다.
©TOP Digital
http://www.topdigital.com.au/node/4599